‘사내가 애를 업고 다니냐?’

 

지금은 남자들도 애를 보지만, 옛날에는 쪽팔리는 일이었다.

조롱하는 친구의 동작과 쑥스러워 하는 표정이 너무 정겹다.

등에 업힌 어린애의 눈길 한 번 보라.

이게 사는 재미고, 이게 사진이다.

 

1972년 이수종선생께서 찍은 사진을 '한국현대사진대표작선집'에서 옮겼다.

 

 

동생을 업고 공부하는 학생

 

학교에서 동생을 등에 업고 공부하는 걸 생각이나 해 보셨나요?

모두들 못 배운 게 한이 되어 힘들게도 배웠다.

너무 많이 배워 탈인 요즘 보니, 아픈 추억도 그 때가 그립다.

 

부천의 김수열선생이 1974년 낙도에서 찍은 사진이다.

‘한국현대사진대표작선집’에서 옮겼다.

 

 

고삐 풀린 소

 

소 몰고 나온 소녀에게 이변이 생겼다.

왜 소의 고삐가 풀렸을까?

안간힘을 다해 소꼬리를 움켜진 소녀의 표정은 금방 울음이 터질 것 같다.

 

1968년 장지영선생께서 포착했다.

‘동아사진컨테스트 입상 작품집’에서 옮겼다.

 

 

한정식선생의 “Don’t go!”

 

이 사진은 한정식선생께서 아마추어로 활동하시던, 1968년에 찍은 사진이다.

‘동아일보사’에서 주최한 ‘동아사진콘테스트’에 입상한 사진이다.

지금은 선(禪)에 가까운 사진을 하는 선생의 사진세계를 헤아린다면,

너무 재미있는 사진이 아닐 수 없다. 얼마나 해학적인가?

특히 외래어 쓰는 것을 싫어하는 선생께서 “Don’t go!”라는 사진 제목을 붙인 것도 이례적이다.

 

‘동아사진콘테스트 입상 작품집’에서 옮겼다.

 

 

봄 사건 났네.

 

모처럼의 봄나들이에 마냥 즐겁다.

봄바람에 치마만 날리는 게 아니라 마음까지 날린다.

“연분홍 치마가 봄바람에 휘날리더라~”

 

1966년 봄에, 진주의 이영달선생께서 찍은 사진이다.

‘한국현대사진대표작선집’에서 옮겼다.

 

 

꽃 팔러가는 처녀들

 

아침 햇살을 머리에 이고 꽃 팔러 나서는 처녀들의 뒷태가 너무 정겹다.

70년 전 임응식선생이 찍은 사진으로,

사진 속의 처녀들은 돌아가셨거나 살아계셔도 백수가 가까운 할머니들이다.

임응식 선생께서 부산 계실 때는 주로 광복동에서 활동하셨으니,

아마 국제시장으로 국화 팔러 가는 모습이 아닌가 생각된다.

 

'임응식회고 사진집'에서 옮겼다.

 

 

그 시절이 그립다.

 

자동차가 지나가면 흙먼지가 풀풀 날던, 그 때 그 시절이 그립다.

그 당시는 길을 오가며 흙먼지께나 뒤집어썼다.

때로는 자동차바퀴에 튄 자갈에 맞아 이마가 터지기도 했지만...

 

1962년 부산의 김복만선생께서 찍은 사진으로 '한국현대사진60년'도록에서 옮겼다.

 

 

해방의 순간

 

일제 강점기에서 해방된 1945년 사진가 현일영선생께서 찍은 감격의 순간이다.

 

"광복60년, 사진60년 / 시대와 사람들"도록에서 옮겼다.

 

 

여기는 마포 종점이 아니라 마포 나루터다.

 

1945년도 정남영선생께서 찍은 사진이다.

.

'한국사진역사전' 도록에서 옮겼다

 

 

북녘, 도심의 한 모습이다.

 

유령의 도시처럼 텅빈 거리와,

군복을 입은 아버지 가슴에 안긴 애기의 모습에서 찡한 인간애를 느낀다.

 

1997년 평양에서 찍은 Martin Parr 사진이다.

-PRESTEL- 'A YEAR IN PHOTOGRAPHY'에서 옮겼다.



자기 키 만한 광주리를 등에 짊어진 어린이의 모습이 애잔하면서도 정겹습니다.
광주리에 담긴 강아지의 모습이 웃기기도 하지만, 등짐 맨 새끼줄이 금방 풀릴 듯 위태롭습니다.

장에 팔러 가는 걸까요? 이사 가는 걸까요?
뒷모습이라 그 표정까지 궁금해지는 재미있는 사진입니다.

1964년 부산의 김복만선생께서 찍은 사진을, ‘한국현대사진대표작선집’에서 옮겼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