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악가, 언어학자, 일문학 교수...65세 첫 개인전 <MY Story>


    
[스크랩] 프레시안 /  박세열 기자

ⓒ이재강



할머니는 76세에 그림을 그리기 시작했다. 그가 78세 되던 해인 1938년, 한 평범한 그림 수집가가 시골의 약국 창문에 진열된 그의 그림을 발견했다. 수집가는 그의 그림을 점당 3달러에서 5달러를 주고 10점을 샀다. 이 그림의 힘은 놀라웠다. 뉴욕 맨해튼 시내에 할머니의 그림을 내걸리자 금새 팔려버렸다. 할머니는 80세 되던 해인 1940년에 첫 개인전을 열었다. 제목은 <한 촌부(村婦)가 그린 것>(What a Farm Wife Painted). 이 할머니는 101세에 돌아가시기 직전까지 그림을 그렸다. 100세에만 작품 25점을 남겼다. 

'어른들을 위한 동화' 속 이야기가 아니라 미국의 '국민화가'로 불리는 그랜마 모지스(Grandma Moses, 본명은 Anna Mary Robertson Moses, 1860~1961)의 이야기다. 

65세의 여성 화가가 전시회를 연다. 주제는 <MY Story>. 자신의 삶을 내면의 의식 흐름 기법으로 그려낸 화가 이재강(65세)의 첫번째 개인전이 오는 2월 13일 수요일부터 19일 화요일까지 서울 종로구 인사동의 '갤러리 이즈(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인사동길 52-1)'에서 열린다. 



ⓒ이재강


이재강의 이력은 독특하다. 성악도에서 언어학도로, 일문학 교수에서 60살엔 화가로 변신했다. 성악을 전공한 이 작가는 이후 언어학도로 변신, 석사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89년에는 서울대와 한양대에서 언어학 박사와 일문학 석사 학위를 동시에 취득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음악과 언어에 대한 탐구는 일본의 엔카를 공부하면서 깊어졌다. 그는 대전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로 정년퇴임을 3년 앞두고 '문화센터'에서 취미로 배우기 시작했다. 그리고 3년만에 대한민국미술대전, 이른바 각종 '국전'에 입선한다. 그간 50여 점에 가까운 그림을 그려냈다.  

60살이 넘어 그림을 그리기 시작한 그에게 영감을 준 인물은 미국의 국민화가 '모지스' 할머니다. 모지스의 말을 인용해 그는 "시작에 있어 나이란 의미가 없어요. 인생에서 늦은 때란 없습니다"라고 말한다. 60~70대에 대뷔해 관심을 모으는 예술가들은 많다. 역대 최고령 아쿠타가와상 수상 작가인 일본 소설가 와카타케 지사코도 63세에 소설가로 데뷔했다. 이재강 작가는 "그림은 정신과 육체의 무서운 집중을 필요로 하는 작업"이라면서 "학문을 해도 채워지지 않는 무엇이 그림으로 많이 해소됐다"면서 이라고 설명한다. 

이번 첫 개인전에는 작가 내면이 의식을 꼴라쥬 형식으로 표현한 서양화의 비구상 아크릴 그림 40여점이 전시된다. 전시는 다섯가지 주제로 나뉘어 진행되며 각각의 제목 (My Story- you,  My Story 0 image 1~3 여고시절, 우리아버지 이야기, 우리 엄마 이야기)에 따라 이야기를 담고 있다.  



ⓒ이재강












리작가_hug me_세라믹_24×19×14cm×2_2017

●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리작가 홈페이지로 갑니다.


초대일시 / 2017_0902_토요일_05:00pm

후원 / 문화체육관광부_서울특별시_서울문화재단

관람시간 / 10:00am~07:00pm



갤러리 이즈

GALLERY IS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52-1

Tel. +82.(0)2.736.6669

www.galleryis.com



화창한 어느 늦여름의 한낮 나른한 풍경방문을 닫고 조용히 귀를 기울여 보면 숨 쉬는 소리가 들릴 듯 말 듯 나의 귀를 간지럽힌다. 그 소리는 이내 모든 사물에서 느껴지며 조금 더 나아가 뽀얀 살결을 보이며 나에게 장난을 걸기 시작한다. ● "놀아 줘~" "우리 뭐하고 놀까?" "가위 바위 보 할래?" "아니면 창문 밖으로 지나가는 사람들 구경이라도 할까?" ● 이제는 더 이상 숨지 않고 나를 놀리기까지 한다. 엉덩이를 살살 흔들며, "You can never catch me. Catch me If you can." 놀아줄 법도 하지만 오늘 하루는 정말 피곤하다. 그래서 나는 귀찮은 듯 한마디 내뱉는다. "미안해. 내일은 꼭 놀아줄게."



리작가_take a look_세라믹_21×12×16cm, 21×10×14cm_2017


리작가_꽃hip_세라믹_21×16×17cm_2017


모든 사물에는 숨결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더욱 더 조심스럽게 다루어야 하고 함부로 대하면 안 된다. 나의 작품에는 손, 발, 얼굴, 가슴, 엉덩이 등이 달려있다. 그 자체가 하나의 생명체인 것이다. 가위 바위 보를 하거나, 달리기를 하거나, 친구들을 괴롭히거나... 작품들은 마치 꼬마아이와 같은 행동을 하면서 나에게 무한한 자극과 상상력을 부여한다.


리작가_Rock Paper Scissors_세라믹_11.5×15×11cm, 14×16×12cm_2017


리작가_Just play_세라믹_10×13×10cm, 12×13×13cm_2017


리작가_boring_세라믹_19×20×13cm_2017


리작가_Park_캔버스에 유채_40×40cm_2017


나는 한가지보다는 두 가지 이상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좋아한다. 그냥 컵이 아닌 아이가 있는 컵. 단순한 형태가 아닌 엉덩이를 씰룩거리는 오브제. ● 또한 나의 작품은 이야기를 담고 있다. 가위 바위 보를 하는 아이들의 다음 행동은 어떠했을까? 다리를 벌리고 편하게 앉아있는 아이는 도대체 무엇을 바라보고 있는 것일까? 그 아이는 넘어져 있는 상태인 걸까? 아니면 단순히 쉬고 있는 모습일까? 나의 작업은 항상 이런 식이다. 그래서 작업실은 항상 시끄럽고 북적거린다. 숨 쉬는 소리에서 떠드는 소리, 떼를 쓰는 소리까지... 그래서 심심할 겨를이 없다. 나의 손은 더욱 더 엉망이 되어버린다. ■ 리작가


리작가_woman_세라믹_15×16×14cm_2017


리작가_HaJju Cup_세라믹_2017


On a lazy late summer afternoon ● close the window and let the fading sunlight come in the room. Strain your ears to the sound. The breathing sound that tickles your imagination. The sound comes from everything in the room and soon reveals its friendly face to you, asking for you to play with it: ● "Let's play!" "What game do you want to play?" "Why don't we play rock -paper- scissors?" "Or do you want to look out the window to see people passing?" ● Before you know, it dares you to catch it, waving its bare bottoms at you. "You can never catch me. Catch me if you can!" You may think of sparing some time for this imp, but you think twice. You feel too tired today. So you just leave a tiresome message today : Sorry, I can't. Let's play tomorrow. ● Things breathe with life. That's why we have to be careful with these things as if we are handling with other beings with life. My work has body parts : hands, feet, faces, breasts, bottoms and so on. They are life forms. They want to play rock-paper-scissors, run, or tease friends like any little kids would do, and this is the source of my imagination. I like things to have more than two forms together. Not just a cup, but a cup and a boy. Not just a standing boy but a boy mooning at you. There are also stories. What would the kids do after the rock-paper-scissors? What is the boy gazing at sitting so comfortably with his legs spread-out. Has the girl fallen down or just resting on the floor? This is what my workshop is usually like. Noisy and crowded with all the sounds from breathing, to chattering, and to teasing. And this does not give any time to be bored. My hands work quicker trying to catch the sounds ■ LEE JAKA



Vol.20170830c | 리작가展 / LEE JAKA / ceramic.painting



Black Balloon
이서윤展 / LEESEOYUN / 李瑞允 / sculpture
2016_0601 ▶ 2016_0606


이서윤_Black Balloon_현무암, 오석, 스터드_55×35×35cm_2016

●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이서윤 홈페이지로 갑니다.


초대일시 / 2016_0601_수요일_06:00pm

관람시간 / 10:00am~07:00pm


갤러리 이즈GALLERY IS

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52-1(관훈동 100-5번지) 3층

Tel. +82.2.736.6669

www.galleryis.com


유년시절 나는 풍선공장 근처에 살았다. 많은 풍선을 볼 수 있었고 남들보다 비교적 많이 가지고 놀 수 있었다. 컬러풀한 풍선은 바로 불고 놀았고 흔히 볼 수 없던 검은색 풍선은 불지 않은 채 간직 해 두었다. 시간이 흐른 후 검은색 풍선을 불었을때, 풍선은 검은색이 아닌 보라색이었고 동심과 환상은 허탈감과 실망감으로 변했다. ● 그 이후로 내가 생각하던 세상과 현실이 다르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환상과 호기심은 두려움과 거부감으로 변했다. 내가 마주봐야했던 세상의 폭로 중에서는 MONEY & SEX가 제일 두렵고 무서웠으며, 보라색 풍선의 일을 상기시켰다. 거부감이나 두려움에서 벗어나고 싶었던 나는 어두운 세상을 동심으로 바라보고 나만의 감성으로 재해석하기 시작했다. 거부감은 이상하지만 재미있는 감정으로 바뀌었고, 유치하고 B급스러운 판타지가 나만의 유토피아적 해소방법이 되어 나의 어둡고 부정적인 감정들로부터 탈출 할 수 있게 해주고 있다. ■ 이서윤


이서윤_Flumeride_대리석, 오석, 바비인형_45×25×35cm_2016


이서윤_Piggy Bank_디지털 C 프린트_84×59.4cm_2016


이서윤_Piggy Bank_디지털 C 프린트_84×59.4cm_2016

이서윤_Mamma Mia_대리석, 오석_60×30×40cm_2016


이서윤_Magic balloon_사암, 오석, 스터드_65×30×40cm_2016


이서윤_The Road to Utopia_디지털 C 프린트_72.7×150cm_2016

I used to live near a balloon factory when I was young. Appropriately, balloons were ubiquitous in my childhood and I got to play with them more often compared others. Out of all the colorful balloons that I could obtain, the black balloons were the most rare. Instead of blowing them up and playing with them right away, like I did for other colorful balloons, I collected the black balloons and kept them safe. Some time later I remembered about the black balloon collection that I had and blew them up with nostalgia, childhood memories, and some kind of a fantasy that I had for the black balloons. However, after I finished blowing them up it turned out that the color of those balloons were purple, not black, and all the nostalgia, childhood memories, and fantasy evaporated, leaving only disappointment and despondency behind. ● Since then, the fantasy and curiosity continued to evaporate as I kept on finding out that the world is in fact different from what I imagined it to be. Every time, I was left with only disappointment and despondency. Out of all the revelations that I had about the world, money and sex were the most fearful and frightening, and it reminded me of the purple balloon. Hoping to escape from this fear and fright, I envisioned the real but dark world through the window of childhood and translated the fear and fright into my own emotional insights. Fear and fright then became a little weird but amusing emotions, and this childish and crude fantasy became a utopian settlement that allows me to escape from the dark and pessimistic emotions. ■ LEESEOYUN



Vol.20160602f | 이서윤展 / LEESEOYUN / 李瑞允 / sculptur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