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 주변을 지나치다 보면, 동자동을 거점으로 떠도는 노숙자들을 자주 만나게 된다.
그들은 대개 지하철 출구의 셔터가 닫히는 후미진 곳에서 자는데, 차거운 바닥은 박스에 의지하지만,

입구에서 내려오는 찬바람은 막을 수가 없다. 어떤이는 우산으로 얼굴을 가리고 자, 안쓰럽기 그지없다.

그들에게 온 몸이 쏙 들어갈 수 있는 침낭이라도 하나씩 제공해 주었으면 좋겠다.

더 날씨가 추워지기 전에 적극적인 대책이 있어야 할 것 같다.

동자동 주변과 서울역 지하철 11번 출구를 무대로 오가는 노숙자들을 자주 만나는데,

그들의 바램은 기초생활수급자가 되어 동자동 쪽방 촌에 입주하는 것이다.

그러나 아직 일할 수 있다는, 연령제한 등의 갖가지 사정으로 혜택을 받지 못하는데,

문제는 일용직 자리도 얻기가 쉽지 않다는 데 있다. 무료급식소에서 밥은 얻어먹을 수 있으나,

밥만으로 그들의 외로움과 고생스러움을 못견디어, 구걸하여 술을 마시게 된다.






지난 일요일 늦은 시간, 지하철 타러 가다, 잘 아는 노숙자들을 만났다.
세 사람이 술값 마련을 위해 짤짤이를 하고 있기에 나도 끼어들었다.

막걸리 한 병 값이라도 보태주고 싶은 심정이었으나, 잃어 주는 것도 쉽지 않았다.

시간이 없어 동전을 나누어주려니까, 한 잔이라도 마시고 가라며 손목을 잡는다.

사실 술도 술이지만, 그들은 정에 더 굶주려 있다.









2012년에 시행한 전국 노숙인 조사 통계에 따르면 전국 노숙인의 수는 13,262명으로

이 중에서 거리 노숙을 하는 사람은 1,811명이고 시설 거주자는 11,451명이라고 한다.

사실상, 노숙인의 규모를 단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통계 자체를 믿을 수 없는 것은 고시원에서 지내는 사람도 상당하기 때문이다.

대도시의 일용직이나 오 갈 때 없는 사람들이 고시원에서 생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들도 바로 노숙자가 될 수 있는 잠재적 대상인 것이다.

대개 노숙인이 되는 과정은 질병이나 사고에 따른 노동력 상실, 사업 실패에 따른 실업,

가출이나 이혼 같은 가정문제 등으로, 대개 경제적인 문제다.

그러나 여성이 노숙인이 되는 과정은 일자리를 잃은 남성 노숙인과는 다르다.

실업 상태의 남성은 사회 경제적 안전망의 부재가 중심이라면 여성의 경우에는 가족 관계에서

발생하는 가정 폭력 등 가부장적 가족 구조 속에서 생겨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자녀가 있는 여성의 경우에는 양육이라는 난제도 따른다.











대개의 시민들은 노숙의 원인을 게으름과 알코올 중독, 정신건강상의 문제 등

일하기 싫은 나태함으로 노숙자가 되었다는 부정적인 인식이 많다.

이러한 인식들이 노숙인 사회복지현장에서 걸림돌로 작동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대표적으로 노숙인 쉼터 이전이 지역주민의 반대로 무산된다거나, 항의성 민원으로 인해 쉼터가 폐쇄되는 경우다.

하지만 노숙인 역시 지역사회와 함께 호흡하며 같이 살아야 할 사회 구성원의 한 사람인 것이다.

특히 이들이 취업의 접근성이 용이한 곳에서 지내야 한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다.









거리 노숙인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드러난 것은 개인 공간 확보가 제일 우선이었고,

그 다음이 일자리 확보와 건강문제 순이라고 한다. 따라서 이들에게 적합한 취업 연계, 직업 교육, 의료서비스만 제공된다면

상당수가 거리 노숙에서 벗어나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본다.


이제 사회의 가장 빈곤층인 노숙자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정치인들은 그들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을 입안해야 되고, 지자체에서도 적극 나서야 한다,

그러한 해결책이 마련될 때까지라도 우리 모두가 그들을 껴 안아주었으면 좋겠다.


우선, 집에 사용하지 않는 침낭은 없는지, 구석구석 살펴봅시다.

있으면 좀 보내 주세요. 나이 많은 노숙자부터 차례대로 전해 주겠습니다.

그러나 새 침낭은 보내지 마세요. 신품은 남대문시장에 팔아 술을 마십니다.


보낼 주소: 서울 용산구 후암로 57길 3-14 (동자동) 1동403호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