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 많은 사람들의 얼굴이 그리움에 묻혀 떠오른다.

한국기원, 유전다방을 중심으로 한 우리들의 60년대 후반 관철동 시대가 지나, 하나 둘씩 자연스럽게 발길이 인사동으로 옮겨졌다. 우리가 존경해 마지않는 거리의 철학자 민병산 선생이 그렇게 하셨기 때문이다. 여기서 우리란 신경림, 민영, 황명걸, 구중서, 강민 등을 말한다. 물론 그 주변에는 신동문, 박재삼, 이시철, 천상병, 김심온, 강홍규, 방영웅, 박이엽 등의 선배, 동료, 후배들이 있었다.

인사동 하면 생각나는 세 사람이 있다. 민병산, 천상병, 박이엽. 그리움이 절로 솟구친다.
민병산 선생은 그 분 특유의 허름한 옷차림에 허름한 가방을 매고 황혼녘의 우리들 앞에 잘 나타나셨다.
“선생님, 안녕하십니까?”
그러면 그저 빙그레 웃을 뿐 별 말씀이 없으시다. 그리고 주섬주섬 그 허름한 가방 속에서 세로판지에 싼 붓글씨를 꺼내 주신다. 그 분만이 쓸 수 있는 천의무봉의 청구자(靑丘子) 민병산체의 자유분방한 서예작품이다. 그리하여 우리는 누구나 그 작품을 몇 개씩 갖게 되고, 어느덧 웬만한 찻집, 음식점에도 그 서예작품이 내걸리게 되었다. 어쩌다 원고료가 생기시면 자연스레 몰려든 후배며 학생들을 상대로 술좌석을 마련하시고 사람 살아가는 얘기며 사회 정의, 동서양의 교양, 철학에 대해 강론을 해 주셨다.
그러던 어느 날, 바쁜 직장 일 때문에 한동안 인사동 출입을 못하고 있는데, 민영 시인에게서 연락이 왔다. 곧 민 선생의 회갑이 돌아오는데 우리끼리 약간의 모금을 해서 회갑연을 마련해 보자는 것이었다. 무조건 동참하기로 하고 일은 진행되었다. 평생 남에게 줄줄만 알고 철저한 무소유로 일관하고 결혼도 하지 않으신 그 분의 외로움을 조금은 위로해 드리자는 취지였다. 내일이면 ‘누님손국수집’에서 회갑연이 열리게 된 전날, 우리는 찻집에서 민병산 선생을 중심으로 모여 환담을 나누었다. 거기서도 민선생은 듣기만 할 뿐 별 말씀이 없으셨다. 그저 왜 쓸데없는 짓들을 하느냐는 듯 쓴웃음만 짓고 계셨다. 이튿날 잔치에 입을 한복을 그날 찾아드렸다고 한다. 우리는 그렇게 헤어졌다.
다음날 당일, 직장에서 근무하고 있는 내게 전화가 왔다. 민병산 선생이 돌아가셨다는 것이다. 그야말로 믿을 수 없는 부음이었다. 그리하여 우리는 회갑연이 아닌 그 분의 장례식을 치렀다. 그 한복을 수의(壽衣)로 쓰고---. 어쩌면 당신 입장에서 보면 번거로운 그 행사를 피하려고 서둘러 이승을 떠나셨는지도 모른다.

천상병 시인의 환갑잔치도 ‘누님손국수집’에서 있었다.
좀 늦게 간 내가 들어서자 이미 많은 하객들이 와 있었다. 주인공인 천상병 시인을 중심으로 좌우에 부인 목순옥 여사와 신동문 시인이 앉아 있고, 낯익은 얼굴들이 줄지어 앉아 있는데, 내가 들어서자,
“아, 민이 왔구나. 민아, 민아, 민아, 어서 와, 어서 와.”
쭈그러진 얼굴에 한껏 웃음을 띠고 그 특유의 외마디 소리로 나를 맞아 주었다.
그를 흔히 ‘기인(奇人)’ 운운한다. 분명히 그런 면도 있지만, 그는 천재다. 50년대초, 그는 이미 <주간문학예술>에 평론을 쓰고 얼마 후 <문예>지에 시를 쓰고 있다. 앞으로는 매스컴도 그의 천재성을 더 부각시켜 주었으면 좋겠다.
그도 이제는 그의 시처럼 귀천(歸天)하고 우리 곁에 없다.

50~60년대의 명동에서 김관식, 이현우, 백시걸 시인 등, 그야말로 모두 기인이라면 기인인 천재들과 어울려 우리들 속물들을 비웃던(?) 그가 새삼스럽게 그리워진다.
“민아, 너 요즘 뭐 하고 지내? 번역 일 좀 안 할래?”
직장을 떠난지 오래되어 어려워진 내게 박이엽으로부터 전화가 왔다. 얼마나 고마운 일인가. 허나, 일의 내용이 나와 무관한 미술평론이고 내 힘에 부치는 것 같았다. 내가 분명한 답변을 피하자 며칠 후 다시 연락하겠다고 그는 전화를 끊었다. 그러더니 얼마 후 집을 파주로 이사했다고 전화를 해 왔다. 전화번호와 주소를 가르쳐 주고 무슨 일이 있으면 연락하란다. 그리고 우리는 이따금 인사동 그의 단골 찻집에서 만났다. 그는 늘 조용하고 말수가 적었다. 언제나 영국신사풍의 멋쟁이, 늘 남을 배려하는 인정 넘치는 사나이, 그런데 그는 늘 병약하고 술을 입에 대지 않았다. 채현국, 황명걸, 김하중, 김승환 등과 친한 그는 그래서 늘 외로워 보이고, 어쩐지 그늘 같은 분위기를 지니고 있었다. 그가 군사정권 시절 방송작가협회의 일을 보다가 그들의 요구를 들어 주지 않아 그 자리에서 쫓겨나고, 그 후 제도권 방송사에서 일을 주지 않아 겨우 기독교방송국 일만으로 연명한 것은 다 아는 이야기다.
그런 그가 입원했다는 소식이 들리더니, 어느 날 불쑥 부음이 날아들었다. 그의 집 주소며 전화번호는 지금도 내 수첩에 남아 있는데.....

전쟁 전에는 조계사 앞에 있는 학교에 다니며 인사동 끝에 있던 ‘종로도서관’에 드나들며 일어로 된 문학서적을 남독하며 공부를 하고, 이제는 인생의 황혼에서 여전히 인사동을 떠나지 못하고 남은 벗들과 여인들과 찻집과 술청 주변을 맴돌고 있다. <민예총>, <민미협>의 김용태, 주재환, <작가회의>, 나 같이 인사동을 떠나지 못하는 문우, 화가, 사진작가, 그 밖의 젊고 나이든 그리운 얼굴들.....












강 민(시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