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보성아트센터’ 신년 초대전으로 박찬원씨의 ‘돼지가 우리를 본다’ 사진전이 열리고 있다.
지난 1월3일 오후5시에 개막된 이 전시는 사진평론가 최연하씨가 기획하고, 송호철씨가 설치를 맡았다.





개막식이 열리기 전에 들렸는데, 2개층의 전시장은 온통 돼지들로 가득했다.
중앙무대 벽에는 고사상에나 올라가는 돼지머리 연작 사진들이 인간을 조롱하듯 웃고 있었다.
오로지 고기로 태어나 인간들에게 몸을 내맡기며, 죽어서도 웃고 있는 형상에 섬뜩한 생각마저 들었다.
우매한 돼지가 아니라 신 같았다.






탯줄을 달고 있는 갓 난 돼지에서부터 발정에 헐떡거리는 돼지에 이르기까지 천태만상이었다.

아래층은 조립식 비계를 사용해 돼지우리처럼 꾸몄는데,
한쪽에선 꿀꿀거리는 돼지 소리와 함께 돼지들의 동영상이 돌아가고 있었다.






난, 사진가 박찬원씨를 지난 년말 곽명우씨 소장전에서 처음 인사를 나누었지만,
이 사진들은 2년 전 ‘류가헌’ 전시에서 본 적이 있었다.
그 당시에는 왜 하필이면 돼지에 집착할까라는 생각도 들었지만,
어떻게 보면 악의 무리인 인간보다 낫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그런데, 박찬원씨와 돼지와의 인연은 우연이 아니라 필연인 것 같았다.
어릴 적 별명도 돼지였다지만, 소년시절 교지에 써 올린 ‘돼지’에 관한 수필도 있었다.
사진뿐만 아니라 돼지를 그린 수채화도 있었는데, 글과 사진, 그림 등 다재다능했다.





그리고 지난 전시 때 관람객들이 그려 놓은 돼지 그림에서부터
집안 어르신이 썼다는 시조도 걸려 있었다.
시조에는 이런 글귀가 있었다. '작은 눈 지그시 감고 액귀를 쫓는구나.'






나 역시 돼지띠기도 하지만, 돼지고기를 유별나게 좋아해 돼지와의 인연은 남다르다.
그런데, 왜 인간들은 돼지를 마치 돈의 상징처럼 보았을까? 돈, 돈, 돈, 이름이 닮아 그럴까?
그냥 복덩이로 보면 좋을 걸, 그 더러운 돈과 연결 지어 돼지들도 기분 더러울 것이다,
돼지 꿈만 꾸면 복권부터 사는 데, 돈이 인간을 병들게 하는 걸 정작 모르는 걸까?






전시된 사진들은 원주의 한 양돈장에서 100일간 촬영한 사진이라고 했다.
난 여지 것 돼지우리에서 키우는 한두 마리의 돼지만 보았지,
이처럼 닭이나 소처럼 집단 사육되는 것도 처음 보았다. 가축이 아니라 먹이 공장이었다.
고기만 처먹을 줄 알았지, 정말 우물 안 개구리였다.




-금보성아트센터 사진자료-



전시장에서 반가운 분도 여럿 만났다.
금보성 관장은 입구에서 주차관리에 여념 없었고, 전시장에서 작가 박찬원씨와 최병관씨를 만났다.
최병관씨는 오랜만의 회우였다.






전시를 기획한 최연하씨를 비롯하여 엄상빈, 장 숙씨도 있었다.
그러나 인사동에서 약속이 있어, 개막식도 보지 못한 채 자리를 떠야 했다.
얌체 같지만, 개막식 사진은 ‘금보성아트센터’에서 올린 사진 다섯 장을 스크랩했다.




-금보성아트센터 사진자료-



'돼지가 우리를 본다'전은 오는 12일까지 열린다.
새해의 복덩어리 만나러 평창동 ‘금보성아트센터’(02-396-8744)로 가자.



사진, 글 / 조문호




-금보성아트센터 사진자료-

-금보성아트센터 사진자료-

-금보성아트센터 사진자료-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