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마다 년 말이 다가오면 연례 행사처럼 지원품이 몰려온다.

 

지난 8일과 9일은 동자동 주민들에게 연이은 식료품 나눔이 있었다.

한국가스공사한국에너지공단에서 보내 온 지원품을

서울역쪽방상담소에서 두 차례에 걸쳐 나누어주었는데,

8일은 200, 9일은 500명 선착순이라는 벽보가 나붙었다.

 

200명에게 나누어 주는 8일의 지원품은 두 시간 전부터

쪽방상담소 앞으로 주민들이 몰려들기 시작하여 세 시간 가까이 추위에 떨어야 했다.

그런데, 식료품을 나누어 주기로 한 두 시가 지나니 번호표를 주기 시작했다.

번호표를 주려면 좀 일찍 나누어 주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

 

그리고 다음 날 500명에게 나누어준 지원품도 전날과 비슷한 식료품인데,

왜 한꺼번에 나눠주지 않고, 이틀에 걸쳐 줄을 세울까?

발 빠른 주민들은 두 번이나 혜택을 받았지만, 벽보를 보지 못한 주민은 한 번도 타지 못해 불공평했다.

긴 시간을 추위에 떨어야 하는 주민들의 고충은 전혀 고려하지 않은 처사다.

 

서울시립 '서울역쪽방상담소'2018년 '온누리복지재단'에서

서울특별시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는 곳이다.

왜 동사무소에서 할 업무를 민간업체에 위탁했을까?

그곳에서 하는 일 중의 하나가 기업체에서 보내는 지원품을 나누어 주는 일이다.

 

 매번 주민들을 줄 세워 굴욕감을 조성해 주민들의 불만을 샀다

서울역쪽방상담소’,직원들의 고압적인 자세는 일을 돕는 봉사원까지 영향을 미친다.

 

매번 줄 세울 때마다 주민들과 부딪히는 문제는 마스크 착용 여부다.

대부분 마스크를 쓰고 오지만, 간혹 잊어버리고 나올 경우도 있다.

한 참 기다렸는데, 다시 줄을 서라면 기분 좋을 사람이 있겠는가?

 

'서울역쪽방상담소' 사무실에 많고 많은 것이 마스크인데,

잊어버리고 나온 주민에게 한 장 주면 간단하게 해결될 일이 아닌가?

기어이 집으로 돌려보내 주민의 불만을 사는 건 이해할 수 없었다.

이게 권위주의에 사로잡힌 갑질이 아니고 무엇인가?

 

지난 9일은 새꿈공원에서 한국에너지공단에서 보내 온 지원품을 나누어 주었는데,

정해진 시간보다 30분이나 늦게 나갔으나, 기다리는 사람은 좀체 줄지 않았다.

꼬리에 꼬리를 문 긴 줄을 서서 하염없이 기다렸는데, 처음 보는 사람도 많았다.

 

그런데, 지원품을 나누어 주는 혼잡한 공원에서 소란스런 일이 벌어졌다.

마스크를 쓰지 않은 주민 한 분이 서울역쪽방상담소의 제재를 받았는데,

어떤 모욕감을 주었는지 주민의 반발이 만만치 않았다.

 

집으로 돌아가 마스크를 쓰고 와서 다시 싸우는 걸 보니, 당한 분이 풀리지 않은 것 같았다.

고성이 오가는 몸 싸움이 길게 이어졌으나, 아무도 고집을 꺾지 않았다.

 

문제는 주민들이 쪽방상담소 편을 들지 않는 데 있다.

두 사람 모두 큰 소리로 싸우며 밀고 당기는 실랑이를 벌이다 경찰까지 불렀으나,

폭력을 행사하지 않아 경찰이 해결할 사안도 아니었다.

 

나이 많은 주민에게 고개 한 번 숙이면 간단히 해결될 문제였으나, 상담소 직원 역시 한 치의 양보도 없었다.

그 많은 주민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마치 기 싸움하는 것 같았다.

내가 선 자리에서 150미터쯤 이동하여 지원품을 받을 때까지 싸웠으니, 지루하기 그지없는 몸싸움이었다.

 

 지원품을 찍고 있는 내게도 시비를 걸어왔다.

무슨 이야기를 쓸려고 그걸 찍느냐?”는 것이다.

고마워서 찍는다며 웃었으나, 어이없는 시비였다.

도둑이 제발 저린다듯, 아무래도 자신의 행동이 마음에 걸렸던 모양이다.

 

'서울역쪽방상담소'는 주민을 우습게 보는 갑 질은 그만하고 자세를 낮추라.

모든 일을 업무의 편의성이나 효율성보다 주민의 입장에서 살펴라.

그리고 월급 받는 자가 갑이 아니라, 주민이 갑이라는 걸 항상 명심하라.

 

사진, / 조문호

 

 

 






서울시에서 위탁 운영하는 '서울역쪽방상담소'는 '서울역노숙인상담소'로 명칭을 바꾸고,

동자동 쪽방에 대한 지원 업무는 동사무소(주민자치센터)로 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민등록지도 없는 노숙인들의 진로를 고민해야 할 상담소가

쪽방의 이름을 달고 빈민들을 거지로 길들이며, 자괴감만 높이고 있는 것이다.





'쪽방상담소'는 지난 2000년 당시 대통령 업무 지시에 의해 만들어졌으나, 현행법상 명시되거나 규정된 것은 아무것도 없다. 

전국적으로 열 곳이 있지만, 서울지역은 서울역, 돈의동, 동대문, 남대문, 영등포 등 다섯 곳으로

서울시와 각 소속 구청의 지원 아래 위탁 운영되고 있다.

상담을 통한 진로 문제를 주요 사업으로 만들어졌으나. 지금은 주객이 전도된 셈이다.





쪽방 촌은 한 두 사람이 들어갈 크기로 만들어 놓은 작은 방들이 밀집한 지역이다. 

보통 방 하나가 0.8평에서 1평 정도의 크기로 겨우 발을 뻗고 누울 수 있는 정도로 매우 좁다. 

7년 전 조사에 따르면 서울시내 4개 구 9개 동의 287개 건물에 총 3,504개의 쪽방이 있다고 한다. 

쪽방에 거주하는 주민은 3,201명으로 그중 삼분의 일이 서울역에 인접한 동자동에 몰려있다. 





거주민의 약 40%가 기초생활수급대상자이며, 홀몸노인과 장애인이 약 45% 정도를 차지한다. 

보통 방세는 일세와 월세로 계산되는데, 일세의 경우 하루에 만원, 월세의 경우 20만원대 초반 정도의 수준이다. 

쪽방촌 거주민들의 대다수는 공동화장실을 사용하며, 절반이 넘는 약 54%의 가구가 휴대용 버너로 취사를 한다.







그동안 ‘서울역쪽방상담소’의 활동을 2년 넘게 지켜보며, 문제점에 대한 시정을 요구해 왔다.
특히 보내 온 물품을 수시로 줄 세워 나누어 주었는데, 이는 주민들의 타자화로 자립심을 잃게하는 일이다.
그리고 아무리 취지가 좋아도, 일하는 이의 마음에서 우러나지 않으면 하지 않는 것만 못하다.





정수현씨가 소장으로 있을 때, 주민들 줄 세우지 말라는 요구를 줄기차게 한 결과 조금씩 개선되어 갔다.

그러나 올 2월 ‘온누리복지재단’으로 운영 주체가 바뀌고, 김갑록 소장이 부임하며, 오히려 전보다 더 못해진 것이다.

보여주기 위해 쪽방촌을 찾는 정치권 인사들 안내자 역활에 더 충실해 보였다. 





'서울역쪽방상담소' 운영 주체가 바뀌면서 매주 목요일마다 찾아가게 하는 밑반찬 지원이 사라졌고,
‘화요카페’라는 이름을 단, 식품들을 줄 세워 나누어 주기 시작했다.
한 번은 계란10개, 한 번은 라면5개식으로 화요일마다 나누어 주었는데, 쪽방 사람들에게는 밑반찬 지원이 더 절실하다.
주방 없는 쪽방의 살림살이는 김치나 짱아치 등의 밑반찬이 더 필요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주민들의 필요보다, 보여주기 좋고 손 쉬운 그들의 생각이 중요했던 것 같다.






그 것도, 전 처럼 시간 나는 대로 찾아가는 게 아니고, 거지 구호물품 나누어 주듯 시간을 정해 줄 세웠다.
그렇게 생색을 내고 싶고, 그리도 갑 질하고 싶은지 모르겠다.
더구나 올 여름은 날씨가 얼마나 더웠나?
그 땡볕에 노약자들을 한 시간 이상 줄서서 기다리게 한다는 게 말이 되냐? 


 




제발! 빈민들을 거지로 보지 말고, 주민으로 보아 달라.
주민을 타자화 시키는 이런 짓거리야 말로 개가 들어도 웃을, 시대에 뒤 떨어진 일이다.






앞으로는 날짜를 정해 주민들이 직접 찾아가게 하고, 찾아가지 않는 분은 전화를 해야 한다.
고독사가 잦은 쪽방에서, 전화를 받지 않으면 한 번 찾아보는 것이 원칙이다.
또한 늘 상 받는 사람만 받아가고, 몸이 불편하거나 정보가 어두운 분은 매번 소외되어야 하는가?






그리고 한가위 공동차례상도 이런 식으로 하려면 하지 않는 것만 못하다.
추석 당일에 지낼 제사를 삼일이나 앞 당겨 지낸다는 게 말이 되냐?
직원들도 명절에 쉬어야한다면, 제사를 주민자치회에 넘기면 될 것 아닌가?
증거자료로 사진이 필요하다면, 부탁만 하면 얼마든지 찍어 줄 수 있다.






정수현씨가 '서울역쪽방상담소' 소장으로 있던 지난 명절에는 그러지 않았다.
명절 당일 제사를 치 루어, 고향에 가지 못하는 주민들이 다 같이 제사를 지내도록 했다.
그 때 나왔던 상담소 직원은 고향도 없고, 가족이 없어 나온 것이 아니다.
주민들에게 마음이 가지 않는, 편한 밥벌이로 여기니까 이런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만약 공무원이 맡아 한다면 책임의식에 그렇게 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한가지 대안으로, 공무원 중 한 명을 소장으로 발령하여 족방촌에 파견할 것을 서울시에 제안한다.
그의 책임아래 동네 인력을 활용하거나, 주민자치회를 활성화해 운영하라는 것이다.
'쪽방상담소'는 '노숙인상담소'로 명칭을 바꾸어, 본래의 취지대로 노숙인 상담과 진로에 전념하게 하라.

그리고 쪽방 지원 업무 전부를 동사무소에 통합시켜, 빈민을 차별화 하지마라.





빈민들은 짐승이 아니다. 제발 사람대접 좀 해다오.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