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가다 판에서 인생을 불사른 최성환씨가 동자동에 들어온 지는 작년9월이다.
나이 일흔 다섯에 아직까지 장가도 못 갔지만, 장가 안가길 천만다행이다 싶다.
혼자 살기도 어려운데, 가족을 부양한다는 것은 꿈에도 생각지 못할 일이다.






그는 노가다 판에서도 아무 일이나 하지 않았다.
처음부터 벌목장에서 목도를 하기 시작했으나,
그 후는 조경업체에서 나무 옮기는 일을 전담했는데,
일이 있는 날보다 없는 날이 더 많았단다.






동자동에 오기 전엔 뚝섬에서 살았는데, “뚝섬갈비”하면 아는 사람은 다 안단다.
남자들이 군대 이야기 빼면 할 이야기가 없듯이 여전히 군대 이야기로 침 튀긴다.
특수부대에 들어가 좆뺑이 친 것에서부터 김신조가 청와대 침투했던 때 이야기까지 신바람 났다.
힘들어도 군대생활이 그에게는 유일한 자부심이라면 자부심이었다.






“왜, 일거리가 많지 않은 목도 일만 했냐?“고 물었더니, 그게 목도꾼의 가오란다.
목도는 아무나 할 수 없는 일이라며, 벌떡 일어나 시범까지 보여준다.
다른 사람과 호흡이 맞아야 하기에 구령하는 자기 역할이 중요하다고 했다.
그놈의 가오가 무엇인지, 일당 받아 술값으로 가오 잡다보니, 요 모양 요 꼴이 되었단다.






그런데, 퇴직금 없는 노가다의 노후보장은 누가 책임지나?
메달을 따지 못한 운동선수의 노후보장은 어떻게 해야 하나?
서울역 주변을 떠도는 노숙자들의 대부분이 노가다 출신이거나
운동선수 출신이라는 걸 알기나 한가?



구계목도 시연장면 / '여성뉴스'사진 / 스크랩



목도 이야기를 들으니 ‘구계목도 보존회’장으로 있는 고향친구 김공조가 생각난다.
구계목도놀이는 영산면 구계리에서 벌목한 목재를 운반할 때 여러 명이 어깨에 메고
구령에 따라 보폭을 맞추어 나르던 노동을 재현한 것으로,
힘겨운 노동의 애환을 민속예술로 승화시킨 무형문화유산이다.
몇 년 전 경상남도 민속예술축제에서 금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옛날의 노동을 가끔씩 재현하는 일에는 이처럼 박수 받지만,
현장에서 실제로 일하는 사람이 천대받는 이 모순은 어떻게 이해해야 될까?






가끔, 거리에 홀로앉아 한잔 술에 시름을 달래지만, 무료함을 떨치기 위해 그림도 그린다.
손재주가 있기는 하나, 자동차바퀴의 위치가 뒤틀린 것으로 보아 아직 서툴렀다.
그러나 근사한 오픈카에 마후라 휘날리며 달리고 싶은 그의 꿈이 오롯이 담겨 있었다.






“오늘 잘 때, 근사한 오픈카에 멋진 여인 태워 천국을 무한 질주하는 꿈이나 꾸시게...
그런데, 자네 운전면허증이나 있는가?“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