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녀 맞이’전이 지난 29일 ‘창성동 실험실’갤러리에서 개막되었다.






황해도 굿을 하는 이지녀 만신은 김금화선생 신딸로 예능에 다재다능하다.
옛날에는 무당도 기생처럼 소리와 춤은 물론 무속화나 지화를 만드는 등 여러 가지 재능이 있어야 했다.

요즘은 무속화나 지화 등 대부분을 전문가에게 맡기지만, 이지녀 만신은 모든 걸 스스로 해결한다.
본래부터 무당은 끼를 타고 나야 할 수 있으나,
그 끼에 부단한 노력이 합쳐져 이지녀 만의 꽃을 피워낸 것이다.






서도소리를 배우기 위해 서도소리 이수자인 오복녀 선생을 따라 다녔고,
무신도를 그리기 위해 단청장 만봉스님과 판화가 김봉준 화백으로 부터 지도를 받았다.
굿문화연구소나 흙손 공방, 우리 옷 만드는 모임에서 활동하는 등
모든 기능을 온 몸으로 습득했다.






다양한 재주야 진즉 알았으나, 무신도 전시회를 한다는 소식에 깜짝 놀랐다.
무신도가 신당을 장식하는 수준을 넘어 예술의 경지에 이르렀다는 말이 아닌가?






요즘 전시장에 잘 다니지 않지만, ‘이지녀 맞이’ 전시는 꼭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더구나 이지녀씨는 인사동 사람들 모임이었던 ‘창예헌’ 맴버이기도 했다.






29일 일찍부터 서둔 것은 꼭 보아야 할 영화 ‘김군’이 끝나는 날이기 때문이다.
관람 시간에 차질이 생겨 좀 늦었는데, 초행길이라 한 참을 헤매었다.
시골영감이 서울 김서방 집 찾아 가는 격이었다.
자하문로를 돌고 돌다 찾게 된 것은 조그만 한옥 전시장 앞에 세워놓은 무당집 같은 오방색 깃발 때문이다.






전시장은 발 디딜 틈 없었다.
이지녀 만신과 박수 등 굿판을 벌일 주인공은 말할 것도 없고
채현국선생을 비롯하여 박현수, 홍석화, 임계재, 김신명숙, 권오중, 김용선, 이한구씨 외에 
모르는 분이 더 많았는데, 안쪽에 정영신 동지의 모습도 보였다.
전시장에 올 줄 알았더라면 바쁜 걸음 칠 필요 없이, 시간 날 때 천천히 와도 될 텐데...






비집고 다니며 작품부터 보았는데, 무신도를 비롯하여 흙으로 빚은 신전, 지화, 장신구 등 다양한 작품을 선보였다.
마치 신당에 들어선 느낌인데, 이지녀 만신의 신 끼가 돋보이는 자리였다.





신의 모습을 형상화한 ‘무신도’ 또는 ‘맞이’라는 그림에는
일월성신, 옥황상제, 삼신, 칠성, 제석, 산신, 서낭, 장군, 동자, 대사 등 많은 신들이 등장한다.






무신도는 본래 민화처럼 과장되거나 익살적인 표현이 있어 흥미롭다.






이지녀 만신의 무신도는 무시무시한 기존의 스타일에서 벗어 난 모던한 창작이라 친근했다.
지금은 고인이 된 많은 만신을 만나면서 들었던 이야기와
자신이 무당의 길을 걸으며 느꼈던 소중한 경험이 더해져 잔잔한 울림이 있다.






그런데, 전시준비에 힘들었던지 이지녀씨 표정이 편치 않았는데, 아니나 다를까 아팠단다.

그녀의 표현으로 ‘시집가는 날 등창 난다“는 속담처럼 간신히 추슬러 나왔다는 것이다.






또 하나 놀란 것은 이지녀씨의 인기도였다.
펜클럽이 생길 정도인데, ‘이지녀 맞이’도 펜클럽에서 주선했다는 것이다.






축사를 해주신 채현국선생께서는 돌아가신 자당께서도 신 끼가 있어

그걸 억누르고 사시느라 힘들었을 것이라는 옛날 이야기도 하셨다.

당시야 양반가문에서 있을 수 없는 천한 직업으로 여겼으니까...





난, 무속을 종교이기 전에 종합예술로 본다.

춤, 소리, 그림, 조각 등 모든 예술이 어우러진 자리인데,

진득한 삶의 이야기로 많은 사람들에게 위안을 주니 이보다 더한 예술이 어디 있겠나?






이지녀 만신은 30여 년 동안 황해도 굿을 해왔으나, 서도 소리꾼으로 더 유명하다.
황해도 굿은 두 차례 밖에 보지 못했지만, 전국민요경창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은 서도소리는 여러 차례 들었다.
몇 년 전에는 국립국악원에서 열린 서도소리 창극에 출연했는데,
오랫동안 다져진 이지녀 만신의 소리가 압권이었다.





잔잔한 농음의 애잔한 소리는 듣는 사람의 애간장을 살살 녹였는데,
그 때 이지녀씨 대감놀이가 창극의 하이라이트 였다.
이 날도 인사와 축사가 있은 후 맞이굿과 대감놀이를 했는데,
신명난 굿판에 복이 슬슬 들어오는 것 같더라.






그런데, 좀 섭섭하더라.
복을 축원하며 시루떡을 잘라 주는데, 다른 사람은 입에 넣어주면서 나는 손에 집어주더라.
이거 사람 차별하는 거 아닌가? 그냥 웃으려고 해 본 소리다.


무신도의 진수도 맛보고 복까지 받았으니, 도랑치고 게 잡는 일이 아닌가.






이 전시는 자하문로 12길 11-5 ‘창성동 실험실’갤러리(010-5413-6552)에서
6월4일까지 이어지니, 놓치지 마시길...


사진, 글 / 조문호





























































잔잔한 농음위에 콧소리가 섞인 애잔한 소리가
듣는 사람의 애간장을 살살 녹이는 서도소리의 진수를 맛보았습니다.
서도소리 본거지인 달매산 아랫마을사람들의 소박한 삶의 이야기로 구성된
창극은 재미와 함께 진한 향수를 불러일으켰습니다.
그래도 창극의 하일라이트는 이지녀씨의 대감놀이였습니다.

12월 4일 오후7시30분부터 국립국악원 예악당에서 열린 공연에는
본회의 채현국 고문님 내외를 비롯하여 조문호, 정영신, 노광래씨를 비롯한
8명이 관람하며 보람된 시간을 가졌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