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부터 50년 전, 내가 총각딱지 떼던 때 이야기다.
영화에 푹 빠진 고딩 때는 ‘서라벌예대’에 진학해 멋진 영화 찍는 게 꿈이었다.
딴따라 대학이라며 않된다는 집안 반대에 도망질 쳐, 서울서 책 외판원도 했다.
몇 달을 고생만하다, 결국 덜미 잡혀 내려갔지만...

그 때는 이성에 뜨거웠던 사춘기지만, 내성적인 탓에 말도 제대로 못 건 냈다.

당시 종삼을 드나들던 분들 중에 글께나 쓰는 먹물들도 있다는 소문에 힘을 내, 

종삼 뒷골목으로 겁 없이 들어 간 것이다.

피카디리극장을 막 지나는데, 왠 여인이 어깨를 툭 치며, 오라고 손짓했다.
말없이 따라 간 골목 끝자락의 허름한 여인숙 방은, 선반위에 신발을 올려야 할 정도로 좁았다.

우두커니 서 있으니, 누나 뻘 되는 여인이 말했다.  “너 초짜구나?”

낌새를 알아차린 뒤부터 일사천리로 사랑 놀음을 끌어갔다.
벗으라면 벗고, 누우라면 눕고, 시키는 대로 홍콩 가는 비행기를 탔다.
얼마나 좋았으면, 반세기가 지난 지금까지 그 순간 순간들이 이토록 생생할까.

성교육 하나는 제대로 받았다 싶다.


‘종삼’이라 불리는 이 윤락가는 종로3가에서 부터 4가까지로 낙원동, 묘동, 봉익동, 훈정동,

인의동, 와룔동, 권농동, 원남동 등 꽤 넓게 번져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글 쓰는 문인들이 ‘종삼’을 많이 드나들었다고 한다.

전쟁 후의 황폐함과 허무감을 달래 줄  영혼의 안식처로 생각한 것이다.

한 원로시인은 1950년대의 폐허에서는 명동의 술과 '종삼'의 여자만이 작가의 고향이라 적기도 했다.

1968년 김현옥 서울시장은 도심 한 복판에 버틴 ‘종삼’을 없애기 위해 ‘나비작전’이란 것을 펼쳤다고 한다.

사창가를 없애려면 윤락녀보다 손님들을 못 오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이런 이름을 붙였다고 한다.

나비 작전으로 250여 가구 1,400여명에 이르던 여인들이 ‘588’이나 ‘용산역’ 등으로 뿔뿔이 흩어졌다.

1968년 10월5일 새벽 다섯 시를 기해 마지막 남은 72명을 체포해 수용소로 끌고 갔는데,

버스 안에서 유리창을 깨부수며 난동을 부렸지만, 결국 ‘종삼’의 역사는 거기서 끝나고 말았다. 


나는 이십여 년이 지난 후, 사진에 미쳐 잘 나가던 가게 말아 먹고, 또 다시 서울로 도망쳤다. 

‘월간사진’에서 간신히 밥 빌어먹으며, 윤락녀들을 찍기로 작정한 것이다.
그 당시 ‘동아미술제’의 직업인이란 주제의 공모전 수상이 동기는 되었지만,

사회에서 멸시 당하는 그 녀들의 목소리를 전하려는 잠재의식이 더 컸다.


그 '전농동 588번지' 작업 자체가 종삼의 추억과 무관치 않을 것으로 늘 생각해 왔다.

세월이 흐르면서 그 때의 기억이 그들을 그리는 연민의 정으로 옮겨갔기 때문이다.

지난2월 하순 무렵 인사동에서 ‘청량리588’사진집 출간 기념전을 열었던 적이 있다. 
어느 날, 김수영시인의 미망인이신 김현경선생과 원로시인 강민선생께서 전시장을 방문하셨다.

김현경 선생은 구순을 넘기신 분인데도 체력과 기억력이 너무 짱짱하셨다.


전시된 사진들이 눈에 익은 풍경이라며, 김수영선생의 생전 일화를 들려 주셨다.

김수영선생께서  ‘종삼’을 더러 출입하셨다는데, 한 번은 술이 취해 아끼는 군용 털내의를

놓고 와 통탄해 하셨단다. 어느 집인지도 몰라 울기에 “다시 사 주겠다”며

간신히 달랬다는 말씀에 모두들 한 바탕 웃었다.



글 / 조문호

이 사진은 1968년 쫓겨 날 무렵의 종삼 골목같은데, 찍은 사진가를 알 수 없다. “Designersparty”에서 옮겼다.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2015 전시 오는 14~19일까지

 

 

옻칠-칠기. 김설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최정철, 이하 진흥원)은 이탈리아 밀라노 '디자인 워크' 기간에 트리엔날레 디자인 전시관에서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2015' 전시를 오는 14일부터 19일까지 연다.

밀라노 '디자인 위크'는 가구박람회장을 중심으로 밀라노 시내 전역에서 패션, 전자, 자동차, 통신 등과 관련된 세계적인 기업과 각국 전시관이 운영되는 세계 최고의 디자인 경연의 장이라 할 수 있다.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2015'전은 우리나라 전통공예의 문화적 가치와 현대적 의미에 대한 조명을 통해 전통문화에서 우리의 미래를 찾고자 기획됐다.

올해 3회째를 맞은 이번 전시에서는 '수수 덤덤 은은'이라는 주제 아래 장인정신이 깃든 192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법고창신은 옛것을 본받아 새로운 것을 창조한다는 의미다.

금속공예 분야에서는 이용구 장인의 주전자와 노구솥, 김수영 장인의 안성유기, 이경노 장인의 은입사화로와 사각합 등이 출품된다.

도자공예 분야에서는 도예가 박성욱의 덤벙분청입호와 탑들, 동예가 이세용의 백자 이중합, 옹기장 이현배의 키다리 곤쟁이 항아리, 옹기장 안시성의 사각병 등이 전시된다.

섬유 분야에서는 김현희,이소라 작가의 조각보, 누비장 김해자의 복식 등을 선보이고, 지공예 분야에서는 오제환 연장의 방패연, 이영순 작가의 지승항아리 등을 보여준다.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2015' 전시공간 연출은 작년에 이어 올해도 밀라노 디자인업체 '오리고니 & 슈타이너 스튜디오'가 맡는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한국 공예의 아름다움과 우수성을 해외에 알리기 위한 대형 공예전의 공간 연출을 한국 업체를 배제한 채 현지 업체에 맡긴 것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가 나온다.

이와 관련 최정철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원장은 지난 6일 서울 인사동 KCDF갤러리에서 열린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2015' 전시 기자간담회에서 "저 자신도 국내업체에 맡기면 좋을 거라 생각했지만 운송비 등 예산 문제가 걸렸다"며 "현지업체가 참여할 경우 문화교류를 통한 홍보 효과가 있다. 올해 전시공간에 대한 반응을 면밀히 검토한 후 내년에 어떻게 할 지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도자-분청. 박성욱

 

[노컷뉴스 / 문수경기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