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3일 오후7시, ‘갤러리 브레송’에서 김상훈씨의 ‘살기 품은 풍경’전이 개막되었다.
전시와 함께 눈빛 사진가선 열네 번째 사진집 ‘가자전쟁-미로의 벽’도 출간되었다.

가자지구의 참상을 기록한 사진들은 포화에 물든 전장의 긴장감이 가득했다.
분쟁지역의 아픔에 앞서 한 사진가가 목숨을 걸고 기록한 장면 장면들이라 존경심마저 일었다.

 

전시장에는 김남진, 김보섭, 엄상빈, 이규상, 박종우, 신현림, 이규철, 박순기, 장 숙,

곽명우, 채승우씨 등 50여명의 사진인들이 사진을 관람하며 전시를 축하했다.

나는 김상훈씨를 처음 알았다.
신문, TV는 물론 사진잡지 한 권 사보지 않았으니, 사진뿐 아니라 모든 정세에 어두웠다.
10여일 전 아내에게 등 떠밀려 페이스북에 발 들여놓으므로, 이 전시도 알게 된 것이다.

덕분에 사우들을 만나 술 한 잔 했는데, 사진상의 무성한 뒷이야기에 부화가 치밀었다.

아마추어 단체의 공모전 비리논란만도 부끄러운데, 프로들의 사진상까지 한몫한 것이다.

하기야 여지 것 수상자 명단이 오를 때마다 그 나물에 그 밥이란 생각은 떨칠 수 없었다.

작품의 질은 차지하고 인맥으로 엮여온게, 오랜 사진사와 같이 하기 때문이다.

한 때는 원로사진가들이 편 가르기를 하더니, 이젠 그의 직계 제자들이 이어받았다.

어떤 원로사진가는 영향력 있는 큐레이트를 앞세우며, 모두들 끼리 끼리 논다.

그 기득권에 밀려난 아웃사이드들만 설 곳이 없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진가들이 그러한 사실을 알고 있으나, 왕따가 두려워 말 못할 뿐이다.
나 역시 모두들 가까운 분들이라 망설였으나, 늦었지만 할 말은 해야 할 것 같다.

 

지금 시대가 어느 때인가?
제발! 사진찍는 사람들 쪽 팔리는 일은 그만하자.
이젠 소신 있게 일 하는 능력 있는 운영자들이 나서주어야 한다.

김상훈씨처럼 목숨 걸고 찍는 유능한 사진가들에게 힘 실어주는 사람 말이다.

돈 명예, 죽고 나면 다 무슨 소용인가?
제발 우리 사진들을 넓은 안목에서 껴안아주자.

조문호

 

 

 

 

 

 

 

 

 

 

 

 

 

 

 

 

 

 

 

 

 

 

 

 

 

 

 

 

 

 

 

 

 

 

 

 

 

 

 

 

 

 

 

 



 

팔레스타인 가자 현장 찾았던 유일한 한국 사진작가 김상훈씨

사진집 내고 전시회 열어 실상 고발… "전쟁터 殺氣 만드는 건 결국 인간

김상훈이 포착한 가자지구는 고통과 증오로 가득하다. 임시 피난처로 사용되던 유엔학교마저 이스라엘군의 공격을 피하지 못했다. 눈빛 제공

 

 

2014년 7월 8일 이스라엘이 ‘프로텍티브 에지 작전’이라는 이름으로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를 폭격하기 시작했다. 8월 26일 휴전까지 50일간 이어진 전쟁에서 가자 주민 2,100명이 숨졌고, 주택 약 2만채가 파괴됐으며, 45만여명의 난민이 발생했다.

 

김상훈(44)은 일방적인 열세의 전쟁을 겪으며 죽음의 위협에 시달리는 가자로 찾아간 유일한 한국인 사진작가다. 그가 2009년 가자 지구 밖에서 촬영한 사진과 2014년 7월 가자지구 내 참상을 촬영한 사진을 묶은 사진집 ‘가자전쟁-미로의 벽’(눈빛 발행)을 냈다.

 

한국에서 8,000㎞ 이상 떨어진 곳에서 벌어진 전쟁은 먼 나라에서 벌어진 다른 종교, 다른 민족 간 분쟁으로만 보인다. 하지만 김상훈의 사진을 보면 전쟁의 참상은 우리 눈 앞에 벌어지는 엄연한 현실이다. 공포와 혼란에 빠진 피난민들, 폐허가 된 집들 사이를 처량하게 지키고 선 놀이기구, 포격의 흔적이 남은 학교의 벽, 그리고 무장단체의 깃발을 온 몸에 두른 채 “이스라엘 박살내자” 같은 구호를 외치는 어린이들까지.

 

팔레스타인 어린이들은 무장단체 하마스 조직원의 장례식에 참석해 "이스라엘군을 박살내자"고 외친다. 눈빛 제공

 

 

김상훈은 사진집 발간에 맞춰 3일부터 서울 충무로2가 갤러리 브레송에서 ‘살기 품은 풍경’이란 개인전을 열기에 앞서 한국일보와 인터뷰에서 가자 전쟁을 “군사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월등한 이스라엘이 서울 절반 정도의 면적인 가자지구에 갇혀 오갈 데 없는 180만여명의 민간인을 수시로 공격하는 현장”으로 요약했다. 그리고 “오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때문에 서로에 대한 분노와 증오만이 커지고 있다”며 “외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중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상훈은 1993년부터 군사전문지 기자로 일했고 2006년 여름 레바논-이스라엘 전쟁을 시작으로 아프가니스탄과 이집트 등 중동 분쟁지역을 꾸준히 촬영해오고 있다. 아무도 차마 가지 못하는 전쟁터로 향하는 이유는 뭘까. ‘기록에 대한 집착’이다. “전쟁은 인류의 비극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역사의 중요한 분기점이 되기도 합니다. 전쟁에 대한 객관적인 기록을 남기기 위해서 전쟁터에서도 평상심을 지니도록 노력합니다.”

 

 

사진작가 김상훈

 

 

전쟁터에서 직접 찍은 풍경사진은, 전쟁을 연상시키는 군인이나 무기의 모습이 없었다면 그냥 풍경사진가 다르지 않을 것이다. 그는 “우리가 일상에서 누리는 평화로운 풍경과 달리 전쟁터의 풍경에는 ‘살기’가 버무러져 있다”며 “그 ‘살기’를 만들어내는 것은 결국 전쟁을 일으키는 사람들이란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고 말했다. 전시는 12일까지다. (02)2269-2613

 

 

 

[한국일보] 인현우기자 inhyw@hankookilbo.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