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은 인사동에서 반가운 사람을 만나는 셋째 수요일이었다.
이날 ‘유목민’에서 화가 김재홍, 나종희, 강행복, 홍 창, 이인철, 손기환. 김진하, 성기준씨를 만났다.

옆 자리에는 신현수, 이용우, 이인섭씨가 있었고, ‘유담’에는 김명성, 김용국씨도 만날 수 있었다.

뒤늦게 문영태씨의 아들 문지함씨와 사위 기선호씨도 합류했다.






그 날 술자리에서 강행복씨로 부터 충격적인 이야기를 들었다. 
돌아가신 천상병선생 이야기를 꺼내며, 전활철씨로 부터 천상병시인 사진을 얻었다는 것이다.
그 사진은 ‘유목민’ 실내장식에 사용할 이미지로 보내 준 것인데,

마음대로 출력하여 허락도 없이 나누어 준 이야기를 들으니 할 말을 잃었다.






동생처럼 가까운 사이라 믿고 원본을 맡겼는데, 어떻게 그럴 수가 있는가?

작가의 허락없이 마음대로 사용한다는 것은 도적질이나 마찬가지다.
영문을 모르는 강행복씨야 무슨 죄가 있겠냐마는, 따져 보고 싶은 전활철씨가 자리에 없었다.






여지 것  사진가를 밝히지 않거나 무단으로 사용하는 등의

저작권을 침해하는 자는 누구를 막론하고 그냥 두지 않았다.





2년 전에는 ‘광화문미술행동’에서 추진한 ‘촛불광장 기록전’에서 전시 작가를 밝히지 않은 적도 있었다. 

그 당시 전시 작품을 철거해 소각하는 소동을 벌였는데, 전시 책임자인 김준권씨와는 아직까지 마음이 풀리지 않았다.






사진매체의 설움을 수 십년 동안 당하며, 한 평생 가난하게 살지 않았던가.

그 건 비단 나만의 문제가 아니라 가난한 사진인 모두의 일이라 절대 용납할 수 없었다.

사진가를 무시하기에 앞 서, 사진가들의 생존이 걸린 문제다. 




1. 사진 원본을 넘겨준 인사동 거리풍경 사진



이번 사건의 발단은 두 달 전, 실내장식에 사용할 사진 두 장을 부탁받았는데, 원본을 전해준 것이 화근이었다.
몇 일 후 가보니, 인사동 거리 풍경은 어둡게 프린트해 작가 이름도 밝히지 않은 채 입구 벽에 붙여 놓았다.
잘못된 사진이라 나머지 사진 만들 때 바꿀 것으로 생각했으나, 계속 그대로 붙어 있었다.



2, 사진 원본을 넘겨준 고) 천상병시인 사진



그 날에서야 나머지 사진인 천상병시인의 사진도 벽에 나 붙었다.

그런데, 유리에다 인쇄하기로 한 사진을 출처도 밝히지 않은 채, 장난스런 글까지 삽입시켜 놓았다.

기분이 언짢은 상태에서, 허락도 받지 않고 사진을 주었다는 소리를 들으니 속이 부글부글 끓었다.

꼭 주어야 할 사정이 있었다면 전화 한 통으로 간단히 해결할 수 있는데 말이다.






전활철씨는 30여년을 친동생처럼 지낸 가까운 사이로

몇 일전에는 동자동 쪽방까지 찾아와 집안 걱정거리를 털어 놓은 적도 있었다.

뜻밖의 일에 고민이 많은 것 같아 홧병에 좋은 약초까지 챙겨갔는데, 이런 배은망덕이 어디 있는가?
당장 벽에 붙은 프린트를 모두 찢어버리고 싶었으나, 손님들 때문에 참았다.






요즘 술도 많이 못 마시지만, 마음이 편치 않아 히히닥거릴 기분이 아니었다.

전활철씨가 올 때까지 기다리기도 싫었지만, 그를 위해 챙겨온 약초도 전해주기 싫었다.

많은 사람이 앉은 술상에 약초를 꺼내놓으며, 필요한 사람 있으면 가져가라고 와 버렸다. 



 


그 이튿날 이미지 원본을 파기하라는 전화를 했더니, 사과는 커녕 엉뚱한 변명을 했다.

화가 치밀었으나, 돌이켜 생각하니 필요한 규격의 사진을 뽑아 주지 않은 본인의 잘못도 있었다.

사실, 여유만 있었다면 사진을 만들어 주었겠지만, 사진 만들 돈도 없었다.






허물없이 가까운 사이라 없던 일로 덮고 싶었으나, 그건 아니었다.

잘못에 대해서는 가까운 사람일수록 더 엄하게 다루어야하기 때문이다.





다시 이런 일이 있어서도 안 되겠지만, 더 이상의 유출방지를 위해 다시 한 번 경고한다.

이후로 내 서명 없는 위의 사진 두 장을 만나게되면 법적 조치도 불사할 것이다.






그리고 이번 일은 원본을 그냥 넘겨 준 스스로에게 벌을 내린다.

일 년 동안 ‘유목민’ 출입 금족령과 함께 그를 만나지 않기로...



사진, 글 / 조문호





















고인이 된 문영태 화백의 장녀 지민이가 시집갔다.
지난 3일 오후6시, 장재순여사의 장녀 문지민양과
기노준, 이연화씨의 장남 기선호군의 결혼식이 충무로 ‘한국의 집’ 마당에서 열렸다.

좀 늦어 식전공연은 보지 못했지만, 전통혼례의 멋을 처음부터 끝까지 지켜볼 수 있었다.
기럭아비로부터 기러기를 전달 받은 신랑이 신부 방 앞에다 두고 큰절을 하니 장재순여사가 들고 방으로 들어갔다.

그 때서야 팔을 올려 얼굴을 가린 신부가 조심스럽게 걸어 나왔는데, 수모가 부축은 하지만 행여 넘어질까 불안했다.

요즘이야 결혼 전에 만나는 것은 물론 잠자리까지 하는 커플들도 많겠지만,

백년해로할 상대를 두고 벌어지는 팽팽한 긴장감이 꽤 괜찮은 것 같았다.






정갈한 혼례를 위해 신랑 신부가 손을 씻은 후, 상을 가운데 두고 양쪽에 마주보고 앉았는데,

상 밑으로 마주보는 두 사람의 은근한 눈길이 사랑으로 가득했다. 건네주는 술잔에도 정념이 넘쳤다.

마치 속으로 “넌 오늘 죽었어”하는 것 같았다.

‘한국의 집’ 전통혼례는 옛 격식 그대로 진행되는데다, 고풍스러운 한옥 마당에서 치러 져

일반예식장과는 전혀 다른 분위기를 맛볼 수 있다.

이날도 많은 하객들이 참석했지만, 오랜만에 우리문화의 정수를 느끼는 좋은 시간을 가졌을 것이다.

아는 분으로는 장재순여사 가족을 비롯하여 화가 이인철 내외와 홍선웅, 정영신씨 등 몇 명밖에 보이지 않았다.






결혼은 예식장에서 치루는 것 보다, 우리의 멋을 제대로 느끼는 전통혼례가 바람직하다.

특히 외국인 신랑신부를 맞는 혼주들이 선호하는 현상이지만,

한국인으로 태어나 우리 전통혼례를 한 번 치러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았다.

나 역시 전통혼례를 치루지 않았으나, 세월이 지나고 나니 후회스러운 생각도 들었다.

하나의 형식에 불과하겠지만, 우리선조들의 결혼관과 정신을 이어받았다면,

요즘처럼 이혼을 밥 먹듯 하지는 않을 것이란 나름의 판단 때문이다.

그런데, 예전에는 이웃이 가까워 신랑신부를 잘 알아 소개할 필요가 없었겠지만,

요즘은 다들 바쁘게 사니 새로 맞이하는 신랑이나 신부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경우가 많다.

혼례가 끝난 후 하객들에게 인사드리며 서로를 소개하는 시간도 만들었으면 하는 아쉬움도 남았다.



 


지민이 결혼으로 온 가족은 물론 친지들이 다 모인 자리에 문영태화백이 살았다면 얼마나 좋아했을까?

마음 한 구석이 허전하고 코 끝이 찡했다.

그나저나 아들 지함에 이어 딸 지민이 까지 시집보내는 장재순 여사의 외로움은 또 어찌할고?

예전의 대가족제처럼 한 집에서 사는 것도 좋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지민아 서로 의지하며 잘 살아라.
네 아버지가 저승에서 지켜보며, 싱글벙글 좋아하실 것이다.
부디 백년해로하길 바란다.



사진, 글 / 조문호




















































































아래는 ‘한국의 집’ 전통혼례에 소요되는 비용이다.
필요하신 분들은 참고 하시길...

전통혼레 비용은 기본비용이 1.200,000원이고, 선택사항으로 미용과 사진촬영 등 부대비용을 백 만원 이상 잡아야 한다. 그리고 신랑신부 혼례복 대여비가 50만원, 수모 인건비가 20만원, 폐백비용도 50만 원정도 소요된다. 식전공연으로는 부채춤이 50만원, 사물놀이는 40만원, 판소리는 10만원으로 선택사항이다. 피로연 비용은 일인당 4만원부터 6만원까지 세 종류가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