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루한 장마가 계속되어 노숙하는 부랑자들은 몸 부칠 곳이 없다.
대부분의 노숙인들이 짐은커녕 그 흔한 우산하나 지니지 않는다.
신출내기들은 이것저것 챙겨 다니지만, 점차 하나하나 버리게 된다.
살다보면 아무 것도 없는 무소유의 편안함을 깨닫는 것이다.
비가 내리면 그 많던 서울역 인근의 노숙인들은 아무도 보이지 않는다.
몸 피할 곳은 물론, 밥 얻어먹을 곳도 마땅찮다.
다들 음습한 곳으로 숨어들어 물에 빠진 새양쥐처럼 오들오들 떤다.
비가 그친 지난 3일에서야 서울역광장에 다들 모습을 드러냈다.
어디서 비를 피하다 왔는지, 끼리끼리 만나 잡담을 나누었다.
몇 몇은 지하철 통풍구를 평상처럼 더러 누워 젖은 몸을 말렸다.
서울역광장 쪽에서 누가 불렀다. “조기자! 사진 한 판 찍어줘”
계단에 이기영씨와 홍홍임씨가 앉아 있었다.
웬일로 나왔냐니까, 심심해서 사람 구경하러 왔단다.
하기야! 쪽방에 있어보았자 덥고 답답하기만 할 텐데,
서울역이라도 나오면 다양한 군상들을 만날 수 있어 지루하진 않을 것이다.
요즘 안 보이는 노숙인이 많아 쓸 만한 사진을 찍은 사람은 사진 사용동의서를 받아두는 것도 일이다.
다들 좋아서 찍어 시비 걸 사람은 없겠으나, 나중에 어떻게 될지 모르니 받아두라는 주변의 충고 때문이다.
이기영씨도 삼년 전 겨울에 찍은 사진이 생각나, 동의서를 내 밀었다.
사진집에 당신 사진이 들어가야 한다고 했더니, 두 말 않고 사인해 주었다.
여지 것 10여명 밖에 받지 못했으나, 한 사람도 거절한 사람은 없었다.
거절은커녕, 다들 “어떤 사진이냐?”며 좋아했다.
여지 것 출판을 서둘지 않는 것은 쓰레기를 만들지 않기 위해서다.
그리고 문화재단의 출판지원이 없다면 무리해서 만들 필요가 없다.
최소한 자기 사진이 실린 분들에게 책 한권은 증정해야 할 것 아닌가?
다행스럽게 정영신씨의 ‘장터문화답사기’는 지원책에 선정되어 곧 출판된다고 한다.
동자동이 재개발되어 다들 뿔뿔이 흩어지게 되면, 사진집으로나마 추억해야 할 것 아닌가?
그 때까지 살아남는다면, 정선 땅을 팔아서라도 캠핑카부터 구할 작정이다.
필요한 짐을 차에 싣고 전국 방방곡곡을 떠돌며 사진찍다 길에서 죽는 것이 꿈이다.
처음이고 마지막인 내 꿈은 꼭 이루어질 것으로 믿는다.
사진, 글 / 조문호
'조문호사진판 > 동자동 쪽방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죽어도 좋아’ (0) | 2020.08.26 |
---|---|
담배란 마약이 사람 잡겠네. (0) | 2020.08.11 |
삼계탕 한 그릇에 감동 묵다. (0) | 2020.07.30 |
“사랑을 따르자니 친구가 울고 친구를 따르자니 사랑이 운다” (0) | 2020.07.20 |
쪽방 감옥에서 허덕이는 불쌍한 사람들 (0) | 2020.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