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1월25일부터 이틀에 걸쳐 태백 통리장에서 부터 양구 상리장, 홍천장, 설악장,
지평장, 양수리장을 두루 다녀왔다. 서울서 아침 6시에 출발하여 10시경 통리에 도착했고,
양구까지 세 시간이나 걸렸으니 대부분의 시간을 이동하는데 소진한 셈이다.
그러나 양구와 홍천을 잇는 국도는 한계령을 넘어 설악산을 안고 가는 멋진 드라이브 코스로
아내 말처럼 설악산은 볼 때마다 감흥이 다르다는 말이 실감났다.

장터에는 화로불로 몸을 녹이거나 초소 같은 텐트에 들어가 손님을 기다리는 장사꾼도 있었다.
유달리 김이 모락 모락 오르는 오댕 국물이 그리워지는 그런 쌀쌀한 날씨였다.

통리장은 기존 오일장과는 달리 열흘에 한 번씩 서는 점과, 넓은 장터에서 긴 골목으로 이어지는
장터 형성이 특이했다. 설악장이나 지평장 등의 면소재지 장터는 손님이 없으니 장꾼들도 찾지
않아 멀지않아 사라질 것만 같다. 그러나 중국 농산물을 반입하는 장돌뱅이들이 없으니 그 곳
농산물이 틀림없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요즘은 장돌뱅이들이 시골 할머니들에게 일당을 주어
중국 농산물을 팔게 하는 심각한 지경까지 이르렀다.
정부에서도 재래장 활성화사업으로 몇 년째 예산을 지출하고 있지만 자립도가 낮은 지자체에서는
그나마 수용하지 못하고 수도권 주변의 몇 몇 장만 도움을 받고 있는 안타까운 실정이다.
일반인들의 향수를 이르킬 수 있는 장터 조성과 장꾼들에 대한 신뢰가 살아나지 않는 한 오일장의
미래는 암담하다.

매번 아내와 함께 나서는 장터 작업은 이젠 일이기 전에 나의 놀이로 바뀌었다.
아내는 장터의 전반을 기록하고 촬영하느라 분주하지만 내가 찾는 대상은 장터보다 장에 나온 사람
들이기에 한가로운 편이다. 주변 환경이 별로거나 마땅한 사람이 없을 때도 많지만, 있더라도 촬영을
거부하거나 신원을 밝히지 않으면 그만이기 때문이다. 떡도 사먹고, 튀김도 사먹고, 농담도 따 먹으면서...

정영신씨는 25년 동안 기록한 자료들을 묶은 ‘한국의 장터’ 사진집을 곧 출판하게 된다.
그동안 기록한 자료만으로도 좋은 책을 만들 수 있건만, 하나라도 더 찾아 좋은 사진집을 만들려는
그의 열정이 때로는 나를 주눅들게 만든다.
닥아 오는 12월 초순경에 떠날 제주도 장터를 끝으로 탈고하여 내년 초쯤에는 그의 작품집을 만날 수
있으니 기대하시기 바란다.

2011.11.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