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5일 사진가 정범태선생께서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너무 늦게 페북에서 접했습니다.
그것도 장례를 다 치루고 나서야 연락이 왔답니다.
남에게 폐 끼치기 싫어 조용히 치루라는 유언을 유족이 받아들였다고 합니다.




정범태선생이 누구십니까?
한국 사진계의 마지막 남은 전설 아닙니까?
투철한 기자정신에 잠시도 카메라에서 손을 놓지 않았던 분입니다.
선생님이 기록한 4,19 발포 사진을 비롯한 많은 기록들이 한국사진사의 중요한 자리를 메웠습니다.




스스로를 내 세우기 싫어하는 선생님의 강직한 성품은 잘 알지만,
인간성이 메말라 가는 현실에 선생님을 추억하며 명복을 빌 수 있는 마지막 자리는 만들어 주셔야지요.




하기야! 몇 년 전에는 ‘국립현대미술관’ 초대전도, ‘한미사진미술관’의 회고전도 다 거절하셨지요.
사진인이라면 못해 안달하는 전시들도 사양하셨는데, 어찌 선생님의 고집을 꺾을 수 있겠습니까?




한 번도 사진권력에 기웃거리지 않으며 평생을 욕심 없이 사셨는데, 그렇게 훌쩍 떠나셨네요.




사람이 태어 나 언젠가는 가야 할 길이지만, 꽃 한 송이, 술 한 잔 올리지 못한 게 더 가슴 아픕니다.




내년 일주기에는 사진인들이 힘을 모아 제대로 된 유작전과 함께 추모제라도 올려 드렸으면 좋겠습니다.




이제 모든 것 잊으시고 편안하게 잠드십시오.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조문호 합장




선생님을 추억하기 위해 ‘인사동 사람들’ 블로그에 있는 사진과 인터넷에 떠도는 사진들을 한데 모았습니다.































[스크랩 / 조선일보 2019,9,18 / 정상혁기자]


[발자취] 4·19, 5·16… 격동의 현장에 그의 카메라가 있었다


보도사진가 정범태씨 별세… 1956년 조선일보 입사, 기자 활동
고대생 피습, 귀성객 압사 사고… 현대史 숱한 특종 사진들 남겨


보도사진가 고(故) 정범태.
보도사진가 고(故) 정범태.


1960년 4월 18일 서울 종로 천일백화점 앞에서 3·15 부정선거를 비판하며 가두 시위 중이던 고려대 학생들은 훗날 정치 깡패로 밝혀진 괴한들에게 무참히 두들겨 맞았다. 현장에 조선일보 사진기자 정범태가 있었다. 위압적인 깡패들 탓에 다른 내외신 기자들은 쉽사리 카메라를 들지 못했다. '이런 현실을 찍지 않으면 살아갈 의미가 없다. 맞아 죽더라도 찍어야 한다.' 셔터를 누르고 냅다 회사로 달렸다. 다음 날 조선일보 사회면에 실린 이 사진은 4·19혁명의 도화선이 된 결정적 한 방으로 평가받는다.

보도사진가 정범태(91)씨가 지난 15일 별세했다. 유족 측은 고인의 유언에 따라 3일장을 마친 후 지인 몇 명에게만 소식을 알렸다. 시신은 가톨릭대 의과대학에 기증했고, 추후 4·19 민주묘지에 안치할 예정이다.

평북 선천에서 태어나 외삼촌이 살고 있던 일본으로 건너갔다. 오사카상선에서 일하며 유학했고, 광복 직후 귀국했다. 당시 외삼촌이 일제 카메라 한 대를 선물로 건넸다. 이것이 인생을 바꿨다. 사진기를 목에 둘러매고 이곳저곳을 쏘다니며 촬영했다. 전쟁통에 피란 가면서 보따리에 제일 먼저 챙긴 것 역시 카메라였다.

6·25전쟁 당시 육군 공병대 사진기록 문관으로 일했고, 1956년 조선일보 사진기자로 입사한 그는 이후 40여년간 한국일보·세계일보 등에서 사진기자로 활동하며 격동의 한국 현대사를 렌즈에 담아냈다. 1960년 서울역 설 귀성객 압사 사고 등 특종 기자로 유명했으나 1962년 강화도 전등사에서 깡패들이 행패를 부려 관광객이 쫓겨나는 내용의 사진을 보도했다가 국가 위신 손상 등의 이유로 징역 2년을 선고받고 1년 복역하는 등의 고초도 겪었다.

①1960년 4월 18일 고려대생 피습 현장 특종 사진. ②1960년 1월 26일 서울역 압사 사고 특종 사진. ③1961년 경기고등군법재판소에서 촬영한 ‘결정적 순간’.
①1960년 4월 18일 고려대생 피습 현장 특종 사진. ②1960년 1월 26일 서울역 압사 사고 특종 사진. ③1961년 경기고등군법재판소에서 촬영한 ‘결정적 순간’.


죽은 닭과 산 닭을 나란히 찍어 1959년 파리비엔날레에 출품한 '생사(生死)'가 국내 작가로는 처음 입상하는 등 예술성도 인정받았다. 한 장면으로 긴 여운을 곱씹게 하는 대표적인 사진으로 1961년 5·16 직후 경기고등군법재판소 공판에서 촬영한 '결정적 순간'이 자주 거론된다. 고개 숙인 죄수복 차림의 젊은 여자, 그 앞에 선 두세 살짜리 꼬마가 여자의 손을 잡고 있다. 판사는 여자에게 무죄를 선고했다 . 이 강렬한 흑백사진은 일본 아사히신문 주최 국제사진살롱 '10걸작' 중 하나로 선정됐다.

1993·1995년 두 차례 한국기자상을 받았다. 은퇴 후에는 한국 전통 춤꾼의 사진과 행적을 정리하는 작업에 매진했다. 2006년엔 '사진인생 50년'을 주제로 개인전을 열기도 했다. 생전에 "잔머리 굴리지 말고 사진을 찍어야 역사와 사회가 바뀐다"는 말을 남겼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