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월요일은 늦잠을 잤다.
간밤에 정선에서 오느라 힘들었던 모양이다.
무의도 촌장 정중근씨로 부터 연락을 받아,
요양원에서 모친 간호하던 정영신씨와 

약속장소인 남대문 ‘벤로갤러리’로 갔다.






평소 버스는 잘 타지 않는데, 그 날 따라 버스를 탔다.
갑자기 소공동에서  “끼이익~‘소리를 내며 버스가 급정거했다.
한 아낙이 급히 버스 앞을 지나치다 생긴 일이었다.
승객들이 놀라기는 했으나, 별탈은 없었다.
한사람이 앞으로 쏠렸지만, 다치지는 않았다.





기사가 버스에서 내려 아낙에게 전화번호 달라며 닥달이다.
승객 중에 다친 사람이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그러나 젊은 아낙은 기어이 못 주겠다고 버텼다.
‘달라’. ‘못 준다’며 한 참을 실랑이 해대니,
뒤에서 비키라는 클랙슨 소리가 요란했다.





기사는 멀찍이 차를 옮겨놓고 다시 달려갔다.
차에 탄 승객들은 한사람 두 사람 내리기 시작했고,
버스에는 정영신씨를 비롯한 네 사람만 남았다.
30분 가까이 지체했으니, 억울해서 그냥 내릴 수가 없었다.






잠시 차에 핸드폰 가지러 온 기사를 향해 고함을 질렀다.
“니 눈깔에 승객은 보이지도 않느냐?고 화를 냈다.
그렇게 난리를 쳐도 다시 아낙 쪽으로 달려간다.
기어이 받겠다는 기사나, 못주겠다는 아낙이나 똑 같았다.






더 이상 약속한 분들이 신경쓰여 버스에서 내릴 수 밖에 없었다.
도대체 사람들이 제 정신이 아니었다.
어떻게 남에 대한 배려는 전혀 없이, 자기밖에 모를까?
교통불편 신고서까지 챙겨왔으나 찢어 버렸다.
그런 것이 사람들을 더 급박하게 만드는 것 같아서다.






화를 삭이지도 못한채 ‘벤로갤러리’에 갔더니,
‘하늘에서 본 영암’ 전시를 하는 사진가 마동욱씨와

무의도 정중근 촌장, ‘예당국악원’ 조수빈 원장도 기다리고 있었다.
인사만 나누고, 식사 대접하겠다는 정중근씨 따라

인근의 '진주냉면'에서 오붓한 오찬의 시간을 가졌다.





전시장으로 돌아 온 조수빈씨는 사진전을 축하하는 노래를 불렀다.
‘정선아리랑’을 그렇게 구성지게 부를 수가 없었다.
굽이굽이 흐르는 한이 뼈에 사무치도록 애잔했다.
마동욱씨는 만들어 놓은 사진 한 점을 답례로 선물했다.
사람 사는 게 이런 맛 아니던가.

버스에서 상한 마음, 눈 녹듯 녹아내렸다.


사진,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