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부상 축제’인 '보부상, 문화를 전하다'의 마지막 행사가 지난 29일 ‘논산 강경대흥시장’에서 열렸다.

이날 행사는 보부상 맥을 이어가고 있는 충남 보부상단인 예덕상무사와 저산팔읍상무사, 원흥주육군상무사가

처음으로 한자리에 모여 신명난 판을 벌였다.

사물놀이패를 앞세운 보부상단 길놀이에는 엿장수와 독장수, 비단장수, 어우동, 등의 옛 보부상 차림의

사람들이 제각기 물건을 지게와 등짐에 메고 그 시절 모습을 재현했다.






또한 조선시대 보부상에는 없었지만, 저산팔읍상무사의 윤태순씨가 분장한 등짐 북도 눈길을 끌었다.

길놀이 외에도 우리소리와 줄타기공연도 있었고, 보부상체험프로그램, 청년보부상단의 프리마켓 등

다양한 체험행사가 진행돼 현대화된 시장문화에 전통을 접목시키는 문화장터를 선보였다.






이번 ‘보부상, 문화를 전하다’ 마지막 행사가 열린 강경대흥시장은 조선후기에 번성한 장으로

평양, 대구와 함께 조선의 3대 내륙시장이었다.

충청도 내륙지방의 산물들이 금강 뱃길 따라 강경으로 흘러 왔는데,

장이 서는 날이면 여러 지방의 특산물을 실은 돛단배들이 줄지어 몰려들었다고 한다.

1890년대에는 군산항이 열려 외국과도 교역하게 되므로 외제 물품까지 강경으로 들어왔다.






논산강경은 전국에서 몰려드는 물산을 곳곳에 연결시켜 주는 역할을 하였는데, 충남 보부상의 출발점이자 종착점이었다.

장날이면 봇짐장수 등짐장수는 물론 뱃사람과 우마차를 끌고 온 농부들로 장터는 인산인해를 이루었다고 한다.

옛 영화는 사라졌지만, 지금은 젓갈시장으로나마 알려져 김장철이 되면 많은 사람들이 찾아온다.

지역특산물인 젓갈로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강경발효젓갈축제’를 매년 10월마다 열기도 한다.






‘2017 문화가 있는 날, ‘보부상, 문화를 전하다’ 축제는 지난 3월 예산 덕산장을 시작으로

4월 에는 홍성시장, 5월에는 부여시장, 그리고 6월에는 보령중앙시장과 서천장항시장, 7월에는 천안성환 이화시장,

8월에는 청양시장, 9월에는 금산인삼시장과 서산해미시장, 10월에는 당진시장과 아산 온양온천풍물시장으로 이어졌고,

11월의 마지막 행사를 강경대흥시장에서 치루는 아홉 차례로 그 막을 내렸다.






조선시대의 보부상은 사람과 사람을 이어주던 인간 띠였다.

단순히 물건을 팔아 이윤을 얻는데 그치지 않고,

우리민족 기층문화를 이어주는 인간 고리 역할을 하며 항상 역사의 중심에 서 있었다.

또한 보부상은 단순한 물건 교환을 넘어 경제발전의 주역으로 상거래를 이끌어왔다.

이들은 솜뭉치를 단 패랭이를 쓰고, 등짐과 봇짐으로 고개를 넘나들며

마을에서 벌어지는 각종 이야기를 전달하는 우체부 역할을 했다.






장터는 세상만물이 다 모이는 움직이는 박물관이나 마찬가지다.

살 것도 많고, 볼 것도 많고, 먹을 것도 많아 남녀노소 막론하여 모두가 좋아하는 날이 장날 아니던가?

예전에는 장마당에서 농기구도 직접 만들어 팔았었다.

그래서 장터는 단순히 물건만 사고파는 곳이 아니라 우리민중 문화가 모두 어울린 곳이다.

세상 돌아가는 여론과 당대의 유행풍습까지 장터에 모인 사람들의 귀와 입을 통해 퍼져 나갔다.





요즘 장에 가면 전통시장 활성화라는 이름아래 국적불명의 축제가 종종 열리는 것을 보게 된다.

상인문화의 뿌리를 물어야 할 만큼 상품만이 아니라 민속놀이조차 우리의 정체성을 찾아보기 힘들다.

그래서 이번에 마련된 ‘보부상전통문화축제’의 의미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번기회에 오일장 문화콘텐츠를 보부상과 연결하여,

전통시장만의 새로운 민속축제로 자리 잡았으면 좋겠다.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