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ivate space to speculative space

조한제展 / JOHANJEH / 趙韓濟 / sculpture

2014_1015 ▶ 2014_1021

 

조한제_2.3144m²=0.7평_혼합재료_190×263×176cm_2014

 

 

●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조한제 블로그로 갑니다.

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관람시간 / 10:00am~07:00pm

 

토포하우스TOPOHAUS

서울 종로구 인사동11길 6(관훈동 184번지)

Tel. +82.2.734.7555/+82.2.722.9883

www.topohaus.com

 

 

사유공간(私有空簡)에서 사유공간(思惟空簡)으로 ● 작가는 한판의 피자를 조각내듯 갤러리 공간을 보이지 않는 나이프로 난도질을 해놓았다. 잘려진 공간들은 엄밀히 갤러리 공간이라기보다 일상에서 안주하고, 학습하고, 유희했던 익숙한 공간들이다. 한 때 작가가 머무르며 소유한 공간이라 믿었던 곳곳의 조각들은 영속성이 없이 작가를 떠나 마치 해부학 실험실에서 잘려나간 팔 다리처럼 감정 없이 냉정하게 관람자들에게 단면을 보이고 있다. 학부 때부터 심리적 콤플렉스, 이중성 등의 주제를 Space와 Size에 관점에서 다루어 왔던 작가는 종속된 영토에 대한 개념접근에 있어 충실히 자기 경험적 사고와 사회적 문제성을 담아 숙고해왔다. 이전의 작업에서는 작은 미니어쳐 인간군집이 일상공간을 개미굴처럼 파내어 그들만의 사유지를 창조하거나 잘 꾸며진 '정경모형(情景模型)'에 스토리를 담는 방식으로 공간 이야기를 풀어갔는데 내면의 철학을 논하기 이전에 일종의 디오라마 같은 외형적 형식을 차용한 이유에는 사물 축소에 따른 '시각유희'적 측면, 그에 따른 관객의 관심유발, 그리고 작가 스스로가 작업을 '놀이'로서 접근하기 위함도 있다하겠다. 그러나 작가는 이번 전시를 통하여 과감히 시각유희적 데코레이션을 배제하고 보다 본질적인 형식으로 시공간해석을 논하고 있다.

 

 

 

조한제_2.3144m²=0.7평_혼합재료_190×263×176cm_2014_부분

 

조한제_2.3144m²=0.7평_혼합재료_190×263×176cm_2014_부분

 

 

영화관에서 나의 자리라고 찾아간 좌석은 잠시 영화를 보는 동안 돈으로 산 나의 소유공간이다. 그 짧은 시간 속에서도 자기의 공간이랍시고 좀 더 많이 차지하기 위해 팔걸이 하나를 두고 옆 사람과 신경전을 벌이고는 하지만 영화가 끝나는 동시에 미련 없이 다른 이에게 넘겨야할 지극히 한시적인 사유공간(私有空簡)인 것이다. 그렇다면 지속성과 소유의 개념이 좀 더 강하게 느껴지는 나의 집, 나의 방, 그리고 나의 침대는 영원한 사유공간인가? 작가는 그 어떤 공간이든 간에 주어진 시간이 다를 뿐 영원히 소유할 수 있는 공간은 존재하지 않는 다는 다소 냉소적인 개념으로 공간을 해석한다. ● 우리는 소유적 존재인가 공유적 존재인가?(Homo donator vs. Homo oeconomicus). 쟈크 고붓(Jacques T. Godbout)은 경제적 논리에서 위의 화두를 던졌으나 작가는 보다 철학적인 측면에서 관객에게 화두를 던진다, 당신이 소유한 어떤 공간이 당신의 의지 또는 의도에 관계없이 결국 공유된 공간이었다는 깨달음을 가지게 된다면 당신은 공유적(타인과 나누는) 존재인가? 신자유주의라는 패러다임에서 '필요', '가치', '목적'은 개인의 이익을 '최적화'하는 것에 집중되었으나 작가의 화두는 우리를 혼란에 빠트리고 재정립의 필요성을 야기한다.

 

 

조한제_2.04m²=0.6평_혼합재료_75×240×170cm_2014

 

조한제_2.04m²=0.6평_혼합재료_75×240×170cm_2014_부분
 

전시방식 또한 우리를 시험에 들게 한다. 지속이란 찰나의 무한대 이어짐과 연속성일진데 지속을 공간 속에 놓는다는 것은 어쩌면 모순을 범하는 것이며 그 사물과 공간을 생각할 때 그것들이 변했다고 인정하지 않을 수가 없다. 즉 영속되지 않는 공간을 이야기하기 위해 멈추어진 시공간의 파편을 제시한 순간에도 작가의 작품과 우리는 지속하지 않고 물리적으로 변하고 있다. 그러나 작가가 포르말린용액에 담가두어 괴사를 막은 사체처럼 단면을 잘라 전시장에 제시한 공간의 조각들은 의미적으로는 멈추어져있다. 동질적 공간에 있으나 병치와는 아무런 공통점이 없는 상태로 파악하게 되는 것이다.

 

 

조한제_1.96m²=0.5939평_혼합재료_130×280×146cm_2014

 

조한제_1.0875m²=0.687평_혼합재료_100×174×125cm_2014

 

조한제_2.2671m²=0.687평_혼합재료_162×229×198cm_2014
 

영원한 사유공간(私有空簡)이란 존재하지 않고 사유공간(思惟空簡)만이 영원할 수 있다. 데카르트는 '육체는 본질이 될 수 없다' 말하며, 자신이 스스로 존재하기 위해서는 끊임없이 사유(사고)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사유하지 않으면 자신의 존재 또한 영속성이 없다는 뜻으로 사유는 지속적 존재의 근거이자 기준으로서 확장한 의미라 볼 수 있다. 작가는 어느 기한동안 세속적으로 소유했지만 결코 영원이 내 것이 될 수 없는 공간을 사유(思惟)하면서 나름의 본질을 사유(私有)하려는 것은 아닌지 의문이 든다. 다시 말해 자본주의 사회 속에서 내가 안주할 공간을 확보하고 지키며 사는 것은 누구에게나 부담스러운 과제인데 예술가인 작가는 불안하고 고뇌하고 헛헛한 그 심정을 관객과 나누면서 어쩌면 초월해서 극복하려는 방법을 모색하는 것은 아닐까하는 추론을 해본다. (2014. 9) ■ 김하림

 

 

조한제_Temporary situationⅠ_포멕스에 디지털 프린트_56.8×79.4cm_2014

조한제_Temporary setting_포멕스에 디지털 프린트_56.8×79.4cm_2014

조한제_Temporary situationⅡ_포멕스에 디지털 프린트_56.8×79.4cm_2014

 

Private space to speculative space ● The artist has mutilated the gallery space with an invisible knife like slicing a pan of pizza. The sliced spaces are familiar spaces we rest, study and play rather than a gallery space. The sculptures in various places of the spacethe artist once lived and considered to be his own now lost their permanence and expose their cross sections asif they were subjected to an anatomy laboratory. The artist, who has been concentrating on the theme of psychological complexes or duplicity since his undergraduate years, continues to reflect his own empirical thoughts in his approach to the realm of subordination as well as the social issues they have. In his previous pieces, he has utilized small miniatures of human groups carve out daily spaces like an ant nest to create their own space or has featured a story through embodying space with a story in a model. Before discussing the internal philosophy of the artist, the reason why he has chosen to use a diorama type external presentation may be the "visual amusement"from utilizing miniatures, inducement of attention from the miniatures and the artist's personal approach to the work as "fun."However, in this exhibition, the artist has deliberately removed all visual amusement elements from his work and made a more fundamental approach in interpreting time and space. ● A seat in a movie theater is a place purchased with money, and it is a space in my possession during the movie. Despite being mine for a short period of time, it is a space to protect from the person next to me with the armrest as its borderline, but once the movie ends, it is a space that becomes someone else's. It is an extremely temporarily owned private space. Then how about the spaces with more continuity and sense of possession, such as my house, my room and my bed. Are they mine for eternity? The artist makes a cynical interpretation of space claiming that for any given space, the time may be different, but there are none one will possess forever. Homo donator vs. Homo oeconomicus? Jacques T. Godbout presented this topic in the economic perspective. However, the artist presents it in a more philosophical perspective. If you realize the space you possess is in fact a shared space regardless of your will, are you a sharing being (with others)? Among the paradigm of neo liberalism, the "need,""value,"and "purpose"are concentrated on "optimizing"personal benefits, however, the artist's topic causes us to be lost in confusion and causes us to have the need of re-establishing definitions. ● Even the display method also tests us. Placing continuity, which is the connection of moments to the infinity, in a space itself is an act of making a contradiction, and one cannot deny that thinking of the object and space hasindeed changed. In other words, even at the moment the artist presented this piece, a shard of the paused timespace presented to explain a space that is not eternal, and the audience are continuing to physically change. However, the sculptures of spaces, which are sliced like limb put in formalin to prevent necrosis, are symbolically in pause. Despite being placed in an animated space, it is interpreted to be in a state that has nothing in common. ● There is no eternal private space, and only a space of idea may be eternal. Descartes claimed," The body cannot be the fundamental,"and for him to continue to exist, he must continue to think. This is interpreted as one cannot exist or cannot have continuity without thinking. In this perspective, the meaning of thinking has expanded as the foundation and condition of continuous existence. The artist appears to cognitively possess a space which he can only possess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order to establish the foundation of his own existence. In other words, to secure a space one can be comfortable with in a capitalistic society is a difficult task for anyone, but the artist appears to be seeking a way to secure one of his own by sharing his sentiments of uncertainty with his audience. ■ KIMHALIM

 

 

Vol.20141015f | 조한제展 / JOHANJEH / 趙韓濟 / sculptur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