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동선생께서는 “사진하려면 독해야 한다”는 말씀을 늘 하시지만,
천성 때문인지 그게 잘 안 된다.

지난 22일 맛있는 삼계탕을 먹자는 전갈을 받고 아내와 함께 선생님 자택이 있는 약수동으로 갔다.

서둘렀으나 선생님께서 먼저 나와 약수역 3번 출구에서 기다려 송구스러웠지만 어쩌겠는가. 

생애 처음으로 사진전을 가져 장안의 화제를 만들었던, 지난 전시 후 처음 뵙는 자리인지라

그 때 찍은 기념사진 몇 장을 드렸더니, 선생님의 드라마틱한 삶이 실린 ‘신동아’ 9월호를 보여주셨다.

그 잡지에 몰랐던 사실이 실려 여쭈었더니, 당시의 숱한 이야기보따리를 꺼 내셨다.

재미있는 일화로는 맛 선도 보지 않고 결혼한 삼일 째 되던 날 아내의 누드를 찍겠다고 방을 스튜디오로 꾸몄단다. 누드 찍는다는 생뚱맞은 이야기에 승강이를 벌이다 촬영용 램프가 바닥으로 떨어져 박살났다는 것이다. 호랑이 만난 사슴같이 놀란 신부가 맨발로 뛰쳐나가 시어머니를 찾았는데, 한걸음에 달려온 어머니가 “미친놈”이라며 꾸짖어, 유일하게 미수로 끝난 사건이 되고 말았단다.

치열한 삶을 살아오며 선생님이 이룬 업적들은 너무 많았다.

1960년 4월19일 경무대 앞의 발포사진은 유일하게 사진으로 남은 ‘혁명최전선’의 기록이 되었다.

유지광을 비롯한 정치깡패들을 찍어 그들을 체포하게 했던 장충단공원집회 사진도,

개표할 때 정전시켜 표를 바꿔치기하는 장면을 찍은 특종사진도 모두 선생님의 작품이었다.

그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4,19 유공자로 지정되고, 종군기자 시절의 공적으로 화랑무공훈장을 두 개나 받았다.

물론 보상을 위해 한 일은 아니지만, 병든 아내를 보살피는 원로사진가의

삶이 너무 안타까워하는 말이다.

 

정부에서 주는 보조비라고는 모두 합쳐 한 달에 36만원 밖에 되지 않고,

왠 만한 노인들에게 다 주는 기초노령연금도 받지 못한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노인 연금 20만원인 너 보다는 내가 많으니 내가 밥을 산다”며 지갑을 여신다.

놀란 아내가 계산대에 달려 나가니 “다시 보지 않으려면 계산하라”며 어름장을 놓으시는 것이다.

선생님! 사 주신 삼계탕 맛있게 잘 먹었습니다.
부디 건강하게 오래 오래 사십시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