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반(熱飯)은 더운밥이다. 여기에 잔치 연(宴)자를 덧붙였으니 뜨거운 밥 한 그릇 차려놓고 벌이는 잔치라는 뜻이다. 얼핏 초라한 잔칫상을 비웃는 말처럼 들릴 수도 있겠지만 실상은 전혀 그렇지 않다.

고려 때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하면 불시에 집으로 축하객들이 들이닥쳤다. 이들에게 갓 지은 따뜻한 하얀 쌀밥을 대접하는 것이 열반연(熱飯宴)이다. 고려 말 충선왕 때의 학자 이제현이 일찍이 부모를 여읜 조카가 과거에 장원급제했다며 찾아와 절을 올리자 감격해 눈물을 흘리며 열반연 차려줄 부모가 없음을 안타까워했다는 기록도 있다.

장원급제를 축하하러 온 손님에게 야박하게 왜 고작 하얀 쌀밥 한 그릇을 차려냈을까 싶지만 고려 때 쌀밥은 지금처럼 아무나 먹을 수 있는 음식이 아니었다. 상류층 귀족 내지는 부자들이나 먹을 수 있었던 음식이었다.

게다가 지금도 수석 합격자 집에 일시에 축하 전화가 몰리는 것처럼 예전에도 장원급제 사실이 알려지면 미처 잔치 음식을 준비할 틈도 없이 축하 손님들이 들이닥치기 마련이다. 그러니 이들을 졸지에 대접하기 어려워 그나마 귀하디 귀한 하얀 쌀밥을 지어 대접했던 것이다. 그렇다고 축하 손님들이 맨밥을 먹었던 것은 아니다. 실상은 손님이 축하하러 올 때는 빈손으로 오는 것이 아니라 술이나 과일, 아니면 음식을 장만해 왔기 때문에 사실 더운밥 한 그릇만 있으면 충분히 축하잔치가 가능했다.

오늘은 대입 수능일이다. 짧게 보면 1년, 길게는 고등학교 3년 동안 밤잠 제대로 못 자며 갈고닦았던 실력을 발휘하는 날이다. 수험생 모두 원하는 만큼의 좋은 점수를 얻어 열반연을 차릴 수 있게 되기를 기원한다.

 

윤덕노 / 음식문화평론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