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의 회화 Painting of 21st Century

곽남신_김희연_배주은_이현우_최수인_최은경展 

 

2022_0901 ▶ 2022_0918 / 월요일 휴관

 

 

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기획 / 양정무

관람시간 / 11:30am~06:30pm / 월요일 휴관

 

 

인디프레스_서울

INDIPRESS

서울 종로구 효자로 31(통의동 7-25번지)

Tel. 070.7686.1125

@indipress_gallerywww.facebook.com/INDIPRESS

 

시선의 온도 - 21세기 회화론 ● 눈이 바쁜 세상이다. 볼 것이 넘쳐나고, 우리는 그것을 언제 어디에서든지 볼 수 있다. 스마트폰을 쥔 신인류에게 데이터화된 이미지와 텍스트는 두뇌의 일부가 되어 우리의 생각과 행동을 지배하고 있다. 이처럼 폭주하는 데이터 속에서 지금 우리의 화가들은 무엇을 바라보고 있는가? 이 질문에 대해 이번 전시의 작가들의 대답을 들어보자.

 

곽남신_욕심쟁이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130×195cm_2021

곽남신(Kwak Namsin, b. 1953)은 폭주하는 미디어 환경 속에서 그림자와 실루엣을 통해 이미지의 원시적 기원을 고찰한다. 짧은 노끈과 철선이 형상으로 변이하는 순간은 이미지의 마법 같은 기원을 재현한다. "미래의 회화는 새로운 미디어의 감수성을 닮아갈 것이다. 그러나 소수는 그것에 저항할 것이다"라는 작가의 말처럼 곽남신의 회화는 빠르게 변화하는 시각세계 속에서 이미지의 원초적 생명력을 되뇌게 해준다.

 

김희연_노란 빛_리넨에 아크릴채색_162×130cm_2020

김희연(Kim Heeyon, b. 1985)이 포착하는 세계는 스펙터클한 도시도, 빼어난 풍경의 대자연도 아니다. 그는 일상의 사소한 공간을 신선한 시선으로 낯설게 그려낸다. 일상 공간이 지닌 소박한 내러티브를 미묘한 분위기와 색감을 더해 생생히 되살리는 것이다. 작가는 이런 방식을 통해 일상을 재발견하고 그 느낌, 그 존재를 화면 속에 봉인한다. 그에게 "장소들은 하나의 작은 역사이며, 그 존재를 기억하게 하는 흔적이며 자취다."

 

배주은_0의 조각_종이에 연필_120×120cm_2021

배주은(Bae Jueun, b. 1985)은 가벼운 연필로 가볍지 않은 삶의 근원을 잡아내려 한다. 종이 위에 드로잉처럼 연필의 필선을 쌓고 긁어내기를 반복하면서 큰 덩어리를 빚어나가는데 그는 이것을 '종이조각'이라고 부른다. 그는 "끝없고 반복적인 행위는 나에게 있어서 생명에 대한 그리움"이라고 기록한다. 연필로 깎아내고 붙이듯 만든 흑연의 둥근 형상은 그에게 보름달처럼 따뜻한 마음의 풍경이 된다.

 

이현우_surface_캔버스에 유채_160×130cm_2022

이현우(Li Hyunwoo, b. 1990)는 찰나 같은 일상의 온도와 질감을 기억하고 그것을 붓질 속에 담아내려 한다. 그것이 캔버스 위로 전이되는 순간, 그 짜릿함을 그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형체들과 매순간 변하는 빛이 만나 불씨를 만든다. 그 찰나의 스파크를 캔버스로 옮긴다. ... 그림 위로 불씨가 번진다." 그에게 회화란 일상을 하루하루 새로운 리듬으로 재현해내는 불꽃같이 타오르는 신비의 세계이다.

 

최수인_Friends_캔버스에 유채_130×130cm_2022

최수인(Choi Suin, b. 1987)의 그림은 바다와 바위, 나무 등 일반적으로 풍경화를 구성하는 자연물을 채택하고 있지만 이것들은 마치 감정과 개성을 가진 개체로서 화면 위에 존재한다. 각각의 그림 속에서 바위와 나무는 서로 의지하고 반목한다. 작가의 개인적 삶 속에서 발생하는 타인과의 관계는 자연물에 투사됨으로써 보는 사람 모두가 공감 가능한 보편적인 이야기가 된다. 그는 자신의 그림이 "과잉 감정의 가짜 상황을 한 번 더 과장"하는 것이라고 말한다.

 

최은경_진도_캔버스에 유채_162×130cm_2017

최은경(Choi Eunkyung, b. 1970)의 시선에서는 아스라이 번지는 대기가 느껴진다. 화면 속에 장막처럼 드리워진 대기는 마치 어떤 사건이 발생 할 것만 같은, 혹은 숨겨진 이야기를 담고 있는 것만 같은 기묘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작품의 제목에서 드러나는 지명은 그 풍경의 역사성을 강조하지만 이는 머지않아 모호한 대기 속으로 침잠한다. 그는 이것이 "'어제'에서 비롯된 오늘 같은 앞날의 풍경을 '그리움'으로 보여주려는 것이다"라고 기록한다. ● 이 전시의 작가들은 한결 같이 미술을 개인의 풍부한 감성의 장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들은 개인과 일상의 삶을 그대로 인정함으로써 넘쳐나는 현대의 시각문명의 홍수를 유유히 헤엄쳐 넘어가려는 듯 보인다. 작은 서사의 위대함을 진지하게 그려나가려는 이들의 태도는 이미지의 본원적 힘을 되살리기 위한 전위적 움직임으로, 이 움직임이 21세기 시각문화의 흐름을 어떻게 바꿔놓을지 벌써부터 궁금해진다. ■ 양정무

 

Vol.20220902h | 21세기의 회화 Painting of 21st Century展




다큐멘터리사진가 남 준씨의 '갤러리 시이'초대전 ‘무경계(無經界)’ 개막식이

지난 16일 오후5시, 신촌 홍대부근에 위치한 ‘갤러리 사이’[02-323-0308]에서 열렸다.

난, 옛날 사진들을 급히 정리해야 할 일이 생겨, 요즘 일에 쫓겨 산다.

가급적 외출을 자제하지만, 작정한 사진전이라 모처럼 나들이를 한 것이다. 

지하철 홍대 역에서 구자호 선생을 만났다. 주말이라 사람들에 끼어 밀려 나와야 했다.

번잡함에 촌놈 정신이 하나도 없었는데, 내 몸은 기상측후소나 마찬가지다.

비가 오려 그랬는지 아침부터 온 몸이 쑤셨는데, 진짜 비가 내린 것이다.

전시장에는 작가를 비롯하여 최은경관장, 미술평론가 홍경한씨, 눈빛출판사 이규상 대표,

구자호, 엄상빈, 김남진, 성남훈, 강제욱, 김영호, 정영신, 김재훈, 유별남씨 등

많은 사진가들이 함께해 전시를 축하하고 있었다.

전시된 작품들은 작가가 티베트 히말라야 산맥의 오지에 들어가 찍은 사진이었다,

종교적 신앙심 하나로 살아가는 원주민의 전통과 문화적 풍습을 생생하게 보여주었다.

범접하기 힘든 오지를 여행 삼아 찍은 것이 아니라, 그들과 함께하며 찍은 사진이었다.

사진에 나오는 장면처럼, 오체투지로 찍은 것이다,


그리고 예술을 모방한 비틀어진 사진이 아니라, 정석의 앵글로 참 잘 찍었더라.

직설적인 그의 사진언어들은 보는 이로 하여금 인간의 존재 의미를 일깨우고 있었다.

생생하게 드러난 어린이 눈동자에서 그들의 현실과 꿈을 함께 엿볼 수 있었다.

뒤풀이 장소로 옮겨서는 사진계 많은 뒷이야기들을 들었다.

유별남씨는 요즘 물의를 일으킨 장국현사진전을 반대하는 일인시위에 대한 이야기를 했다.

시위 참가자들이 연일 이어지고, 전시 작가는 '예술의 전당'전시장에 뒷구멍으로 들어가

뒷구멍으로 나온다는데, 쥐새끼같은 부끄러운 전시를 왜 하는지 모르겠다.

구자호 선생은 신문의 위기를 말하기도 했다.
10년내에 모든 신문사들이 사라진다지만, 벌써 신문사 교열부는 없어졌다는 것이다.

사진부는 물론 취재 기자들까지 외주업체에 위탁할 처지이고, 심지어 사무실에 컴퓨터가 없는

언론사도 있다는 것이다. 모든 기자가 노트북이나 핸드폰으로 현장에서 직접 일하기 때문이란다.


그리고 숨겨진 이야기도 들려주었다.

'조선일보' 사진부장에서 퇴임한 그가 지난 번 '대구사진비엔날레' 조직위원장을 맡을 때 일이란다.

조선일보에 비엔날레 기사가 나지 않아, 4면으로 된 색션지를 만들어 신문에 나오게 하였다고 한다.

담당기자는 물론 문화부장도 모르는 대구사진비엔날레 특집이 나온 것이다.

세상, 참 재미있는 일이 너무 많다. 내가 너무 오래 살았나...

사진,글/ 조문호








"내면으로 건져 올린 삶의 숨결, 시선에 덧대다."



미술평론가  홍경한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