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fold

최수앙展 / CHOIXOOANG / 崔秀仰 / sculpture 

 

2021_0728 ▶ 2021_0829 / 월요일 휴관

 

최수앙_손_오일, 폴리우레탄페인트, 에폭시 레진, 우레탄 레진, PVC, 스테인레스 스틸, 황동 파이프, 호두나무, 왁스_53×80×22cm_2021

 

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관람시간 / 10:00am~06:00pm / 월요일 휴관

 

 

학고재 본관

Hakgojae Gallery, Space 1

서울 종로구 삼청로 50

Tel. +82.(0)2.720.1524~6

www.hakgojae.com@hakgojaegallerywww.facebook.com/hakgojaegallery

 

 

태도가 만드는 모양 ● 작가 최수앙은 조각을 통해 세상을 바라본다. 그는 사회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심리 상태가 투영된 인체 조각을 해왔다. 사실적으로 인간의 신체를 보여주면서도 부분을 과장하거나 생략하기도 하고, 때로는 형태를 무너뜨리면서 추상적인 이미지가 한 작품에서 공존하도록 만들었다. 그가 만든 신체들은 때로는 대면하고 싶지 않은 인간의 연약한 상태를 상징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사회의 한 단면을 역설적으로 드러내기도 했다. 타인과 사회에 대한 작가의 응축된 감정으로 점철된 최수앙의 조각은 관객들에게 여러 모습으로 이리저리 부딪히며 강렬하게 전달되었다. 실제 몸과 너무나 닮아 있으면서도 낯선 조합으로 쉽게 지워질 수 없는 인상을 가진 작업들은 꽤 오랜 시간 작가도, 그리고 작업을 바라보는 관객도 놓아주지 않았다. 그렇게 서로에게 각인된 몸은 작가의 의도대로 관객과 만났고 그것을 통해 세상과 연결되어있음을 확인하곤 했다. 나 역시도 몸이 품고 있는 징후들을 통해 작가와 그리고 그가 보여주고자 하는 세계와 만나곤 했다.

 

그런데 너무도 분명했던 형태와 인상이, 집요하게 무언가를 꾹꾹 담아 만들어왔던 꽉 차 있던 몸들이 언제부터인가 그를 옭아매기 시작한 것일까? 어느 순간 몸의 형태는 부분에서부터 서서히 지워지기 시작했다. 2018년의 「무제」 연작에서 인물 두상의 하관 부분만 남기고 형태가 뭉개져 있거나, 「자화상」, 「무제_캐스팅의 흔적」, 「무제_링 아웃」에서는 마치 온전한 자신의 몸을 머리와 팔부터 뭉개며 지우는 것처럼 보였는데, 결국은 '온전한' 형태로부터 벗어나려는 작가의 몸부림이었던 것 같기도 했다. 혹은 자기 자신으로부터 거리를 두고자 하는 절박한 징후였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무제_스트레치 오버」(2018)에서의 몸은 다리의 일부만 남기고 전부 짓이겨져 언 듯 봐서는 신체임을 알 수 없게 만들어 버렸다. 어쩌면 작가가 20여 년 조각가로서 보내온 시간 동안 집요한 손의 움직임으로 탄생한 몸들이 역설적이게도 눈에 보이지 않는 벗어날 수 없는 막을 형성하고 있었던 것인지도 모른다. 작가는 미처 인지하기도 전에 몇 걸음 앞서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었던 자신의 손을 향해 멈추라고 외치고 있었던 것은 아니었을까? 짓이겨 없애도 몸은 사라지지 않았고, 결국 그에게 남겨진 것은 지칠 대로 지쳐 탈진한 두 손이었다. 항상 무언가를 만들기 위해 물질을 만지고 힘을 가하던 그의 손은 그제서야 잠시 멈출 수 있었다. 가속도가 붙은 손의 열을 식히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이었다.

 

최수앙_언폴디드 1G_기름을 먹인 종이에 유채, 왁스, 스테인레스 스틸, 무반사 유리_109×88×30cm_2020

 

최수앙은 관성에 이끌려 움직이던 지친 손을 쉬게 하며 그 부지런했던 움직임을 가능케 했던 자신의 몸을 찬찬히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외부에 대상을 향해 조율되어 거침없이 움직여왔던 팔과 손의 근육들은 작은 동작에도 큰 신호를 보냈고, 그동안 당연하게 여겼던 행위들에 대한 내부의 협조는 더디기만 했다. 이제 그에게 무엇을 전달하기 위한 대상은 사라졌다. 그는 습관처럼 해왔던 행위들을 하나씩 돌아보기 시작했다. 그리고 조각가라면 진리처럼 여겨왔던 미술해부학을 다시 살펴보며 실제와는 다른 인체 근육들을 하나씩 찾아 나가면서 잘 맞춰진 듯 보이는 근육의 자리들을 조금씩 비틀어 틈을 만들기 시작했다. 무엇을 어긋나게 만들기 위해서는 원래의 위치를 분명하게 아는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그렇게 「조각가들」(2021)이 나오게 된다. 이 작품은 작업이 놓여있지 않고 여러 겹 그 과정의 흔적만 남은 빈 작업대를 둘러싸고 있는 인체해부학 모형들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모형들은 구분을 위해 다양한 색으로 칠해진 근육들로 구성되어 있고 '조각가들'로서 무언가를 만드는 제스처를 취하고 있다. 대상은 보이지 않지만, 대상을 만들었던 축적된 시간만을 암시하는 작업대는 그의 반복적인 습관이 만들어내는 흔적이자 조각적 태도이기도 했다. 물질을 붙여나가 형상을 만들어 왔던 과거의 작업과정과는 달리 물질을 바르고 갈고 다시 바르며 쌓아가지만, 가시적인 형체가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 두께가 형성되었다. 그렇게 형상 없는 흔적을 만들거나 왜곡된 근육들을 차곡차곡 붙여 나가고 색을 칠하는 단순한 작업 과정을 통해 꽉 조여진 긴장과 빠져나가지 못할 것만 같던 과거 몸에서 서서히 벗어나 숨을 내쉴 수 있었다. 작가는 몸에 남아 있는 조각적 습성을 통해 고집스럽게도 무의미해 보이는 행위를 끊임없이 반복했다. 그리고 그 반복된 리듬이 그를 지탱해주면서 어디론가 나아갈 수 있는 동력을 만들어 주었다. 「조각가들」은 어떻게 보면 과거의 최수앙을 붙들고 있던 것으로부터 거리를 두게 만든 전환점인 것이다.

 

최수앙_언폴디드 1W_기름을 먹인 종이에 유채, 스테인레스 스틸, 무반사 유리_79×59×15cm_2021

 

「조각가들」에서 최수앙은 완벽한 전환이나 그로 인한 해방감을 전적으로 누리지 못했지만, 그것을 시작으로 조각가의 태도와 조각의 본질에 대해 거리를 두고 바라보면서 평면과 입체를 넘나드는 일련의 작업을 하게 된다. 종이에 오일을 먹여서 두께를 만들고 그 위에 마치 도형의 전개도처럼 그려진 「언폴디드」(2021) 연작은 평면이지만 앞뒤 구분이 없어 제3의 입체를 상상하게 만든다. 종이에 오일을 바르고 말리는 행위를 반복하면서 생기는 투명도는 종이가 가진 질감과 구조를 보여주는 동시에 시간과 발린 정도에 따라 다른 두께를 형성하게 된다. 무의미해 보이는 작가의 반복적인 과정은 종이이기 이전에 물질임을 더 부각시킨다. 그리고 그 위에 그려진 선과 면, 면을 칠한 색들을 따라 상상의 종이접기를 하다 보면, 색이 발린 면 자체가 환영이 아닌 독립적인 사물로 느껴지기도 한다. 이는 작품이 벽면에 걸리는 것이 아닌 앞면과 뒷면을 모두 볼 수 있도록 계획한 작가의 의도에 맞닿아 있다. 또 다른 평면 작업인 「프래그먼츠」(2021) 연작은 「조각가들」에서 뼈대 위에 붙어 있던 여러 색으로 채색된 근육들과 달리 그 형태를 연상케는 하지만 파편처럼 개별 형태들이 중첩되기도 하고 떨어져 있음을 종이에 수채화로 표현한다. 이 드로잉은 제목이 암시하듯 개별 형태들이 자신의 영역을 지키며 단순히 물과 물감이 만난 흔적임을 스스럼없이 얘기하고 있다. 더 나아가 이들은 하나의 특정한 형태로 보기를 강요하지 않는다. 오히려 모양과 색이 이끄는 대로 개별적인 개체 자체로써 온전하게 볼 수 있는 자유를 주고 있다. 평면이지만 입체적 상상을 불러일으키는 「프래그먼츠」 연작과 더불어 「손」(2021)은 「조각가들」를 넘어 새로운 기류의 시작을 알리고 있다. 「조각가들」에서와 달리 과감하게 생략되어 단순화된 근육으로 만들어진 이 작업은 단지 반복적 행위의 과정으로서만이 아닌, 조각으로써 기존과는 다른 의미를 만들고 있었고 아직 진행 중인 최수앙의 미래 조각에 한층 가까이 다가섰다.

 

최수앙_조각가들_오일, 아크릴릭, 폴리 우레탄 페인트, 에폭시 레진, 폴리 우레탄 레진, PVC, 스테인레스 스틸, 강철, 합판_가변설치_2021

 

작가가 다루는 물질과 형태를 과거 감정의 서사를 위한 통로가 아닌 여전히 익숙한 조각의 방법론 안에서 새로운 돌파구를 찾으려 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최수앙은 각 작업에서 물질과 그것이 결합하여 만들어지는 형태와 색채, 그리고 그것을 만드는 행위 자체에 주목했다. 그는 어찌 보면 답답하리만큼 고집스럽게 단순하고 반복적 행위의 루틴을 고수하면서 지금에 이르렀다. 대상에 어떤 의미를 만들고 감정을 부여하기보다는 작업이기 위한 각각의 요소들이 그 자체로써 온전할 수 있는지를 실험하고, 끊임없이 의미를 찾고 읽어내려고 하는 관성을 거스르고자 한 것이다. 사실 조각의 과정과 태도는 전과 크게 달라진 것은 아니지만, 시선을 돌려 거리를 조절하면서 과거 작품들에서 집요하게 전달하고 투사하고자 했던 감정의 무게를 한층 덜어내었다. 작가는 작업의 긴 여정 안에서 어느 방향으로 갈지 모르는 불안한 현재를 맞이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그 지난한 과정의 흔적을 솔직하게 보여주고 있었다. 나는 이제 그 흔적들부터 최수앙이 만들어 낼 새로운 모양의 조각을 마음껏 상상해볼 수 있을 것 같다. ■ 맹지영

 

최수앙_프래그먼츠 1_아르쉬지(紙)에 수채_55.5×38cm_2021

 

Shapes Made From an Attitude ● Artist Xooang Choi sees the world through sculpture. Choi has been making figurative sculptures that reflect the psychology of human beings living in society. Sometimes he would hyperbolize or omit body parts in an otherwise realistic figure, and other times he would completely disfigure the anatomy of the body so that realism and abstraction coexist in a sculpture. From time to time, his figures would ironically reveal an aspect of society by symbolically conveying human vulnerabilities that are hard to stomach. Choi's sculptures, saturated with the artist's emotions towards others and society, appeared and traveled in various forms, leaving deep marks in the audience's memories. The sculptures, hyper-realistic yet bizarre, therefore not easily forgettable, were difficult to let go of for a long time, neither for the audience nor for the artist. The bodies, engraved in the minds of the viewers and the artist, became messengers of the artist's intent and reminders of one's connection to the world. I, too, could relate to the artist and his world through different signs in the bodies. ● At what moment, then, did such well-defined form and outline, the body obsessively and densely packed with details and meaning, start to bog the artist down? At a certain point, Choi began to gradually erase the form of the body. For instance, in the Untitled series from 2018, the figures' heads were smushed and obscured from jaw up. In Self-Portrait, Untitled_trace of casting, and Untitled_wring out, it seemed as if the artist was dismantling and erasing his own body from the head and arms. Perhaps, this was his struggle to break away from "perfect" form. Otherwise, it could have been a desperate call for separation, a separation from himself. Then, in Untitled_stretch over (2018), he contorted the entire figure except for its legs that it was almost unrecognizable as a human. It was as if the bodies, birthed from the artist's tenacious practice over the two decades of his career, ironically built an invisible and ineluctable mold around him. The artist's hands were always ahead of him, busily sculpting even before he realized. Perhaps the artist was imploring his hands to stop. Yet, the bodies did not disappear even when dismantled, and what was left of the artist was his two exhausted hands. His hands, which would constantly be molding and pressing matter into art, were finally able to take a break then. This was a crucial time for Choi to cool the heat off of the revving engines in his hands. ● While resting his weary hands, Choi started to thoroughly examine his own body that made the diligent work possible. His arm and hand muscles became attuned to external factors as they operated restlessly. Finally, his body could no longer keep up with even the most mundane activities, and by this time, his forearms had begun to send acute signs of surrender. At this point, Choi no longer needed to convey anything through art. He began to reflect on each of his long-lasting habits. He reverted his attention to art school anatomy books, the canon of all sculptors, and started locating and recreating misrepresented muscles one by one. He slightly twisted and separated the seemingly accurate muscle structures in his recreation, adding gaps between each of them. Note that, to distort something, one must be fully aware of the original form. This is how Sculptors (2021) came into being. ● Sculptors (2021) consists of a few anatomical dummies surrounding an empty pedestal that displays nothing but traces of the making process. Composed of color-coded muscle structures, these dummies are posing as "sculptors at work." The empty pedestal, which lacks the object but embodies the cumulated time that went into creating the object, is a representation of the artist's habits and, simultaneously, his attitude towards sculpture. Unlike past works, in which materials were added together to form masses, this time materials were applied, polished, then re-applied to form layers instead of a palpable mass. Through the simple process of creating formless traces and coloring distorted muscle structures, the artist was slowly able to depart from his own suffocating anxiety and the seemingly inescapable figures from the past. He was finally able to breathe. Relying on the sculptural habits remaining in his muscle memory, Choi stubbornly and persistently repeated the actions that appeared to be meaningless. This repetitive rhythm, in the end, became a crutch and a driving force for him to keep moving. In a way, Sculptors was a turning point for Choi that allowed him to move away from his past attachments. ● The artist is yet to seek complete liberation or closure through Sculptors. However, the new work encouraged him to observe the nature of sculpture and his own attitude towards sculpture from a distance; and, it propelled him to begin a new series of work that traverses between 2D and 3D. Unfolded (2021) is a series in which the artist soaks the paper in oil to create depth and paints various shapes on it, which mimic planar graphs. Although each piece is a flat drawing, they do not have a front or back, thus opens the possibility of a new dimension. The paper becomes more and more translucent throughout the process of soaking and drying, in turn exposing the texture and composition of the paper. Also, the amount of time and oil used on the paper determine the level of translucence, hence the depth of each piece. In other words, the process of seemingly meaningless repetition accentuates the materiality of the paper. Then, there is the series of lines, shapes, and colors filling the paper. When one imagines folding these colored shapes into an origami piece, one can realize that a painted shape manifests itself as an independent object rather than an illusory image. This effect is also connected with the artist's intent to install the piece away from the wall so that both sides are visible to the viewers. ● The other series on paper, Fragments (2021), comprises watercolor drawings that portray an interplay of colored shapes. Unlike the colored muscles in Sculptors, the shapes in these drawings loosely trace the body and mirror how individual parts disconnect or connect with one another. As the title suggests, this series conspicuously displays that each shape is simply a trace of paint and water. Furthermore, each trace does not demand to be seen as a specific form. Rather, they allow the viewers to see them as what they are: individual entities delineated by their shapes and colors. Along with the Stain Drawing series, which evokes dynamic imaginations despite its two-dimensional form, The Hand (2021) marks the beginning of a new direction that stretches beyond Sculptors. A sculpture made from drastically simplified muscle forms, unlike in Sculptors, this piece sets forth a new meaning of sculpture that is not limited to the process of repetitive actions. Xooang Choi's "future sculpture" is still underway, but one could say that this piece is a step closer to it. ● Making a breakthrough in the familiar methodology of sculpture, while avoiding rendering the artwork a mere trajectory of past emotions and stories, is by no means easy to do. In each of the new pieces, Choi focuses on the materials, the colors and forms created from combining those materials, and the action of creating itself. In a way, he was able to reach this point by stubbornly sticking to the routine of simple and repetitive actions. Instead of trying to find meaning and instilling emotions into the artwork, Choi experimented with how each component of the work can exist autonomously as what they are. In other words, he was determined to challenge his habit of endlessly finding or imbuing meaning in his work. The truth is, Choi did not deviate much from his original sculptural process and attitude. However, by changing his perspective and adjusting his distance, he was able to let go of some of the emotional weight that he insisted on conveying and projecting in his past works. After a long journey as a sculptor, Choi might be facing a time of uncertainty, not knowing exactly how to proceed. Nevertheless, he is unwilling to shy away from showing his long, arduous process. From the traces that the artist leaves, I feel that I can imagine the shapes of his sculptures to come. ■ Maeng Jee Young

 

 

Vol.20210728c | 최수앙展 / CHOIXOOANG / 崔秀仰 / sculpture

 

 

Sheddings, 2014, 161 x 76 x 216cm, Mixed media, Vitrine, Steel and Lighting Fixture

원고를 의뢰 받았다. 갑작스러운 것은 아니었지만, 작업실 이사와 새로운 프로젝트를 준비하느라 소위 ‘실무’라 불리는 현실적인 일들을 하나씩 해치워 온 터라 짤막한 에세이마저 생경한 느낌이었다. 부담스러운 마음에 며칠 동안을 말장난 같은 글들을 썼다 지우기를 반복하다가 그냥 편한 마음으로 내가 현재 고민하고 있는 내 작업의 맥락에 대해서 간단히 끄적거려 보기로 했다.

내가 지난 시간 동안 주로 했던 작업은 인체 조각이다. 좀더 세부적으로 이야기하자면 사회 현상이나 주변의 사람들과의 관계 속에서 갈등하는 인간에 대한 생각을 정교한 표현으로 만들어 나가는 작업이었다. 사실적인 인체 조각이라는 물리적인 틀에 몇 가지 단서를 넣고 크기나 형태에 변형을 주어 의도를 암시하고, 관람자에 의해 해석되는 이야기들에 귀를 기울였다. 이러한 작업 방식은 고전의 방식과 크게 다르지 않다.

보편적 시각에서 보면 사람은 정신 혹은 영혼과 물리적 신체로 인식한다. 나의 작업은 그러한 이원론적인 의미에서 관객에게 전달되고 감정이나 기억을 상기시킨다. 신체와 꼭 닮게 제작된 물질에 체온이나 핏기를 연상시키는 색채를 칠하고 거기에 의미를 부여하여 관객에게 그 인체가 풍기는 냄새를 맡게 하는 것이다.
얼마 전부터인가 내 작업의 주제가 적절했는지는 논외로 치더라도 그 이야기를 풀어가는 형식은 작위적일 수 있다는 생각이 갑갑할 정도로 내 머리 속을 차지했다. 그래서 몇 가지 변화를 갖기 시작했다.

 

Sheddings, 2014, 161 x 76 x 216cm, Mixed media, Vitrine, Steel and Lighting Fixture(Detail)

수년간 관습처럼 지속되어오던 작업과정이 결과물을 예상치의 범주 안에 머물게 한다는 생각에서 과정부터(작업공정) 새로운 시도를 해보기로 했다. 그 결과물 중 하나가 <Sheddings>(2014)이다. 이 작업은 그 동안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석고 원형이나 실험을 위해 제작된 것들 또는 제작과정의 오류로 실패한 조각들 등)들을 유리관에 단지 넣어놓는 것이었다. 나는 이미 만들어진 조각들을 손이 가는 데로 하나씩 쌓아 올렸다. 각각의 모습이 구체적인 신체 부분의 모양을 하고 있으나 온전한 형상도 채색이 되어 있지도 않은 재료 그대로의 상태로 놓여져 있기에 일일이 설명이 필요 없는 상태였다. 보편적으로 인식되는 물리적인 신체 그 자체가 물질 그대로 놓여진 셈이다. 정신이나 영혼 또는 감정이나 기분을 연상시키는 어떠한 요소도 없는 물질 그대로의 신체들 말이다.

사회현상은 특정한 공간에서 수 많은 신체들의 기능과 행위들로 이루어진다. 앞으로 어떤 일들이 나의 공간에서 벌어질지 기대해본다.

- 최수앙(1975- ) 서울대 조소과, 동 대학원 졸업. 프랑스(2009, 2010), 싱가폴(2013), 벨기에(2014), 중국(2014)에서 개인전. 성곡미술관 2010 내일의 작가 선정, 2014 김세중 청년조각상 수상.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성곡미술관, 미술은행, 코오롱문화재단 작품소장.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