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은 정동지와 함께 아산시 인주면에 있는 김선우 산채에 갔다.

봄에 텃밭을 일궈 주어 야채를 심었으나 자주 갈 형편이 못되어,

한번 가면 잡초 뽑느라 카메라 꺼낼 틈조차 없었다.

 

이번 나들이는 일박이일의 일정이라 한결 여유로워 사진도 찍었다.

가는 날이 장날이라 듯, 지천에 늘린 블루베리 따느라 즐거운 비명을 질러야 했다.

블루베리는 유독 정동지가 좋아하는 과일이지만, 가격이 비싸 사먹을 수 없었다,

그 날 블루베리를 처음 먹어보았는데, 새콤달콤한 맛이 귀가 막혔다.

 

혈압과 암을 비롯한 갖가지 성인병 예방과 노화방지에다 피부까지 좋아지는 약이었다.

더구나 눈의 피로를 풀어주어 시야를 맑게 하는 등 몸에 유익한 열매라,

다 같이 달라붙어 블루베리 따느라 다른 곳은 손댈 겨를이 없었다.

 

  따 모은 블루베리가 한 바가지도 아니고, 큰 대야에 가득한데,

손 큰 선우가 그 많은 블루베리를 모두 차에 실어 주어, 정 동지 입이 찢어졌다.

 

그 날 밤은 정영신의 어머니의 땅이 전시된 백암길185미술관에서 묵기로 했다.

그동안 농장에 여러 차례 갔으나 매번 당일치기라 술 한잔 마실 수 없었는데, 오래된 원을 풀 좋은 기회였다.

처음으로 전시장에 여장을 풀고, 그 곳에서 김창복, 김선우씨와 함께 만찬의 시간을 가진 것이다.

 

  금방 따온 상추에다 맛있게 삶아 낸 수육을 싸 먹었는데, 선우 음식솜씨에 또 한 번 놀랐다.

술 마시며 산채의 환경친화적인 활용방안을 논의하기도 했으나,

술이 들어가니 하지 않아도 될 쓸데없는 소리 지껄이느라 시간 다 보냈다.

'제 버릇 개 주지 못한다'는 정동지 말처럼, 그 주책은 고칠 수가 없다.

 

  그 이튿날은 잡초 뽑는 일에 매달려야 했.

20여 년 동안 그 넓은 땅에 제초제는 물론 농약과 화학비료 한 번 사용하지 않고,

유기농으로 농사지은 김창복씨와 김선우씨의 집념에 고개가 절로 숙여졌다.

그들이 흘린 땀을 모은다면 저수지를 만들고도 남았을 것이다.

덕분에 자연과 땅이 온전히 살아 남은 것이다.

 

  김창복씨는 오래 전부터 한살림에서 유기농을 해 온 영농지도자였다.

씨앗도 토종만 사용할 뿐 아니라 농장에는 없는 작물이 없었다.

뒤늦게 알았지만, 농사 뿐 아니라  '이거 큰일났군' 동화를 펴낸 동화작가이기도 했다.

 

  말이 쉬워 유기농이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나도 처음 정선 갔을 때는 제초제와 농약을 사용하지 않았으나,

갈 때마다 숲을 이룬 잡초와의 전쟁에, 삼년을 넘기지 못하고 손 들고 말았다.

이십년 동안 제초제를 끼고 살다, 2년 전 살던 집에 불이 나는 통에 그만 둔 것이다.

 

  대신, 아산시 인주면에 있는 선우 산채에 내가 머물 농막을 짓기로 했다,

그 사이 농지법이 바뀌어 농막에서 사람이 잘 수 없게 된데다,

건축규제마저 까다로워, 집 짓는 일은 시작도 못했다.

김창복씨는 산림청 허가를 받아야 되는 산막을 짓기 위해 임야 조성에 매달리고 있었다.

그 과정을 거치려면 올 가을에나 지을 수 있다고 했다.

농막은 6평으로 제한하지만, 산막은 15평까지 된다니 더 잘된 일이었다.

 

다른 곳은 손 댈 엄두도 내지 못하지만, 내가 일구는 텃밭과 집터라도 잡초를 뽑아야 하지 않겠는가?

정동지와 선우는 다른 곳에서 무슨 일을 하는지도 모른 체, 아침부터 잡초와 씨름했다.

한 나절에는 너무 더워 숨이 턱턱 막혔으나, 참고 견뎌야 했다.

선우가 그만 두라고 몇 번이나 찾아왔으나 알았다는 말만하고 일어서지 않으니, 정동지를 보내 재촉했.

 

여기만, 여기만. 하다 일어나니 어지러웠다.

선우가 타 준 시원한 얼음커피에 한 숨 돌렸으나, 아무래도 더위 먹은 것 같았다.

읍내에서 양햇살양을 만난 후 맛있는 냉면까지 사 주었으나, 먹는 것까지 귀찮았다.

어지럽고 머리가 아파, 어떻게 서울까지 운전해 왔는지 모르겠다.

 

다행히 자고 일어나니 한결 나아졌으나, 정동지의 극성은 못 말린다.

정선에서 농사지을 때는 두릅이나 옥수수를 따 지인들에게 나누어주는 것도 일이었는데.

이번에는 블루베리를 배달해야 한다며 봉지, 봉지 싸 놓은 것이다.

하기야! 장에 나가 파는 것보다 나누어 먹는 것이 좋지 않은가?

 

그나저나, 아산에서 농사 지어려면 매주 가야 할 것 같았다.

그동안 월요일부터 목요일까지는 동자동에서 지내고, 금요일부터 주말까지

녹번동 정동지 일을 도왔는데, 아무래도 주말은 인주면 산채에 가야 할 것 같았다.

이중생활에서 삼중생활이 된 셈인데, 개뿔도 없는 주제에 혼자 바쁘게 생겼다.

 

사진,/ 조문호

 

지난 13일은 정동지와 아산으로 봄나들이 갔다.

요즘은 몸이 편치 않아 꼼짝하기 싫지만, 오래 전부터 한 약속이라 어쩔 수 없었다.

장터나 유적지로 떠나는 촬영 길이 아니라, 모처럼 김선우를 만나러간 것이다.

 

양햇살이 교통사고를 당했다는 전갈도 있었지만, 겨우 내 한 번도 가보지 못했으니, 어찌 궁금하지 않겠는가

선우와 만나기로 한 장소는 집터가 있는 곳이 아니라 한우로 유명한 염치면 식당이란다.

 

도착하니 김선우, 양햇살, 김창복씨가 먼저 와 있었다.

햇살은 폐차시킬 정도의 큰 사고였으나, 천만다행으로 턱만 조금 찍혔지 다른 곳은 멀쩡했다.

'하나님이 보호하사'였다. 아이쿠! 그 날 햇살이가 이름 바꾸었다고 알려주었으나 깜빡 잊어 버렸네.

육회비빔밥을 시켜 아침 겸 점심을 맛있게 먹으며, 이야기 듣느라 시간가는 줄 몰랐다.

 

2년 전 아산 현충사 둘레 길 한적한 곳에, 어느 목수가 살던 오래된 헌집을 샀다기에 구경 간 적이 있는데,

그 집을 개보수하여 미술관으로 만든 것이다.

어떻게 변신했는지 보고 싶어 김창복씨 따라 현장으로 달려갔다.

 

입구에는 백암길185 미술관이란 조그만 현판이 붙어 있었고,

오래전 수박 먹던 마당에는 여러 명이 쉴 수 있는 휴식공간도 만들어 놓았더라.

폐가나 다름없는 허름한 시골집이 아담한 갤러리로 변신한 것이다.

 

현관문을 열어보니 이전과는 전혀 다른 구조의 갤러리가 되어 있었는데,

벽에는 인사동 나무화랑에서 전시했던 정영신의 어머니의 땅사진 26점이 걸려 있었다.

 

하잘 것 없는 자재도 버리지 않고 재활용한 알뜰함이야 말 할 것도 없고,

바닥에는 황토와 콩기름 먹인 장판지가 깔려 있었는데, 어릴 때 살던 고향집 방바닥을 떠올리게 했다.

선우의 추진력과 섬세함에 놀라지 않을 수 없었다.

 

돈만 있다면 건축업체에 맡겨 그보다 더한 것도 만들 수 있으나, 돈 들이지 않고 힘 모아 만들어 더 애착이 갔다.

요즘은 건축자재비보다 인건비가 더 비싸 업자에게 맡겼으면 당연히 허물고 새로 지었을 것이다.

 

청년 공감문화 플랫폼을 끌어가는 김선우는 작은 여장부다.

공동체의 김창복씨가 다방면에 경험 있는 전문가이긴 하나,

남의 일손은 전혀 끌어들이지 않고, 연약한 햇살이 까지 달라붙어 함께 만들었다고 한다.

 

아산 온천동 상가의 공유공간 마인에 이어 두 번 째 만든 백암길185 미술관은 현충사 산책길이라,

또 다른 볼거리를 제공하는 아산의 명소가 될 것으로 짐작된다.

 

뒤늦게 김온도 나타났는데, 전시된 사진을 바라보며 따뜻한 방바닥에 앉아 이야기를 나누다보니,

그렇게 좋을 수 없었다. 가족들이 둘러앉아 정담 나누던 아련한 추억까지 떠올랐다.

 

그런데, ‘백암길185 미술관으로 끝나지 않고, 다음 달부터 본거지에 내가 머물 집을 짓겠다는 말에 겁이 덜컹 났다.

정선 작업실이 불난 후 여러 지인이 후원금을 보내주어, 함께하는 공간을 만들어 초대하겠다는 약속은 했지만,

다 버려야 할 때 집은 지어 무엇 하겠는가?

 

화재 보험에서 나온 이천만원을 보태어 조그만 거처를 만든다지만, 마음의 여유가 전혀 없었다.

물질과는 거리 둔지 오래지만, 사진과 좋아하던 사람까지 싫어지는 판에...

 

요즘은 전시장 나들이는 물론 웬만한 모임에도 가지 않고 동자동에서 지내는데,

정동지 사는 녹번동보다 아무도 없는 쪽방이 더 편하다.

 

'버려진 사람의 초상' 사진 찍으며, 쉼 없이 죽어가는 사람처럼 눈 감고 싶다.

 

사진,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