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선 만지산 집이 불난 이후로 쉴 곳이 없어 막막했으나,

공유공간 ‘마인’을 운영하는 김선우 소유의 아산시 인주면에 둥지 틀기로 했다.

 

그 땅은 20여 년 전 김선우를 비롯한 몇몇 활동가들이

대안학교를 만들기 위해 구입한 4천평 규모의 땅이란다.

그러나 건축규제에 묶여 지연되다 한 참후에야 규제가 풀렸으나,

열기가 식어 대안학교 설립 자체가 흐지부지 되고 말았다고 한다.

 

사진작업실을 만들기 위한 집터로 개간해 두었다

그중 김선우 소유의 땅 2천여 평에 한옥 한 채를 지어 텃밭을 일구며 살았다고 한다.

오래 전 현장을 둘러본 후, 그 곳에서 마지막 여생을 보낼 작정을 한 것이다.

 

지금은 교통이 불편하지만, 서울 연신내에서 출발하는 GTX가

아산 인주면까지 30분밖에 걸리지 않아 수도권이나 다름없다는데,

열차뿐 아니라 고속도로까지 그 곳을 경유해 아산 인주면이 교통요충지가 된 것이다.

아산역이 생기게 될 인주면 인근에 부동산 업소들이 우후죽순으로 들어선 것이 잘 말해준다.

그러나 김선우 땅은 한 평도 매각하지 않고, 환경 친화적인공간으로 가꾸어 나갈 생각이란다.

세월이 한참 지나면 이 곳만이 자연경관을 헤치지 않은 유일한 공간이 될 것으로 여겨졌다.

 

김창복씨 집터로 기초공사를 해두었다.

마침, 지난 15일부터 예산장터에서 삼국축제가 열린다는 정동지의 이야기를 듣고 함께 나섰다.

예산 가는 길에 집터 현장을 둘러보러 아산 인주면부터 들린 것이다.

한 달 전에도 들린 적이 있으나, 그때보다 공사가  많은 진척을 보였다.

내가 머물 집터는 물론 김창복씨 집터까지 평지로 개간해 놓았고, 한 쪽에는 연못까지 파 놓았다.

주변 조경을 위해 여러 가지 과일나무를 옮겨 심는 등 일을 많이 했더라.

 

연못을 만들기 위한 공사현장

김선우의 복안은 기존의 한옥은 전시장으로 개조하고,

나를 비롯한 김창복씨가 머물 주택 두 동과 손님 받을 카페 등

대략의 공사를 올 겨울까지 마무리 할 계획이란다.

내년 봄에 입주가 가능할 것 같은데, 가을쯤에는 신세진 분을 초대할 예정이다.

 

예산장터와 추사고택을 돌아본 후, 저녁 무렵 다시 김선우를 만나기로 했다.

 

국화를 감상하며 국밥과 국수를 즐기는 '예산삼국축제'는

예산장터 일원에서 10월 14일부터 20일까지 열렸다.

 

예산 장마당에는 국화로 장식한 다양한 조형물이 만들어졌고,

그 옆 공연장에는 미스터트롯 가수 정동원이 출연한다는 광고에 많은 관광객이 모여들고 있었다.

역시 지역축제는 유명가수 출연이 관객동원의 성패를 좌우했다.

 

국화 향기 그윽한 가을 정취 속에 흥겨움과 정겨움이 넘치는

‘예산장터 삼국축제'는 코로나로 몸과 마음이 지친 군민들에게 큰 위안을 줄것 같았다.

그러나 장터축제가 열리는 장소성의 의미 외는 장터 축제다운 특성이 드러나지 않았다.

 

10년 전에 촬영한 예산장터의 국수공장들

예산장터의 특징 중에 하나였던 옛날 국수공장들은 모두 철거되고 없었다.

‘예산장터 삼국축제’라는 명칭에 국수까지 집어넣었지만,

정작 예산 장터 문화의 원형은 지켜내지 못한 것이다.

 

관광객으로 인산인해를 이룬 공연장이나,

긴 줄을 선 국밥집과는 대조적으로 국수가게는 한산했다.

 

큰 공장에서 만들어 오는 국수야 어디엔들 없겠는가?

 

예산장에서 3대째 국수를 만든 김성근 씨는 어디 갔을까? / 2011년 1월 촬영

옛날식으로 대꼬챙이에 국수를 받아 주렁주렁 말리는 장면은

관광객들의 관심을 불러 모을 수 있는 좋은 볼거리가 아니겠는가?

 

그 흔한 엿장수 한 사람 보이지 않고, 장터마다 늘린 뻥튀기조차 없었다.

볼거리로 관광객을 즐겁게 하려면 전국 장돌뱅이들을 불러 모아 흥겨운 장마당을 연출하거나,

옛날의 보부상 등 잊혀져 가는 소재들을 발굴해 내는 것이 거금 들여 유명가수 불러 오는 것보다

훨씬 의미 있는 장터축제가 아닐 까 생각된다.

 

장옥 위에 올라가서 행사장과 장터 구석 구석을 지켜보았는데,

장날이었으나 장 보러 온 손님이 없어 난장은 파리만 날렸다.

이름만 장터축제지 음악과 춤이 난무하는 공연 축제나 다름없었다.

 

돌아오는 길에 예산군 신암면 용궁리에 있는 추사 고택에 들려

진한 묵향이 베인 고건축의 아름다움에 흠뻑 빠져보기도 했다.

 

추사고택은 조선후기 학자며 서화가인 김정희 선생이 태어난 곳으로

추사의 증조부 월성위 김한신이 영조의 따님 화순옹주와 혼인하며 지어졌다고 한다.

건축 당시는 53칸 규모의 대저택이었지만, 지금은 안채와 사랑채, 그리고 사당만 남아있다.

 

손님을 접대하며 문학적 유회를 즐기던 사랑채를 지나면

6칸 대청에 안방, 건넌방, 부엌, 광, 등을 갖춘 안채가 나온다.

 

대청 대들보에는 김정희가 쓴 것으로 보이는 글씨가 붙어있고,

여성들의 생활공간이라 밖에서는 안을 들여다 볼 수 없는 구조였다.

 

특이한 것은 안채 부엌은 난방전용이고 요리용 부엌은 따로 두었는데,

이는 화순옹주가 살던 왕실 주택 구조여서 그렇다고 한다.

 

한옥 특유의 따뜻하고 정갈함을 느낄 수 있었는데,

기둥 곳곳에 걸린 주련이 추사 정신을 일깨우며 그 의미를 더했다.

 

높은 가을 하늘과 붉게 물든 단풍도 아름답지만,

주렁주렁 달린 감이나 모과는 고택의 여유로움을 더했다.

 

윗쪽에는 김정희가 세상을 떠난 뒤 아들 김상무가 세운 ‘영당’이 있다.

김정희의 벗인 권돈인은 ‘추사영실’이라는 현판을 썼고,

김정희의 제자였던 이한철이 추사 초상화를 그렸단다.

 

고택 후문으로 나오니, 가문 대대로 이용해 온 우물이 있었다.

추사 고댁 인근에 있다는 '용궁리 백송'도 찾아보았다.

이 백송은 올해로 2백 살을 갓 넘긴 소나무로

추사 고택에서 북서쪽으로 난 도로 따라 약 6백 미터 지점에 있었다.

 

한눈에도 예사롭지 않은 나무임을 알 수 있는 백송은 생각보다 가냘팠다.

원래 땅에서 50센티미터 위로 줄기가 셋으로 갈라져 자랐으나

그 중 큰 줄기와 서쪽으로 뻗은 줄기가 오래 전에 부러졌다고 한다.

 

지금은 세 줄기 가운데 하나만 남아 빈약하게 보이는 것이다.

추사가 중국에서 가져 와 애지중지 키운 것은 한 선비가 살아온 내력이나 다름없다.

백송 나무에서 오랜 역사를 돌아보는 것이다.

 

오는 길에 김선우에게 전화했더니, 삽교천 회센터에서 만나잖다.

선우에 이어 김창복씨도 삽교천에 도착했는데, 선우가 단골집에서 해산물을 너무 많이 샀다.

세상에! 이렇게 맛있는 회로 배를 채우기는 난 생 처음이었다.

 

술 한 잔하고 내일 가라지만, 여관보다 집이 편할 것 같아 술은 사양했다.

그런데, 저녁식사를 하고나니 노래방에 가잖다.

갑작스런 불운으로 어머니 장례를 치룬 선우씨가 

그 슬픈 마음을 풀고 싶은 심정은 이해하고도 남았다.

 

얼마 전, 술 취한 트럭기사가 슈퍼마켓에 난입하여, 밤늦게 물건 사러 간 선우씨 어머니를 들이받은 것이다.

사고를 내고 도주한 운전자는 인근 도로에서 경찰에 체포되었으나,

아무것도 없는 빈털털이라 아무런 보상도 받을 수 없었다고 한다.

 

 어찌 이런 날벼락이 하필이면 착한 선우한데 떨어졌는지 모르겠다.

 장례를 치루고 난 뒤 알아 문상도 못 갔지만,

하늘이 무너진 슬픔을 어찌 쉽게 잊을 수 있겠는가?

 

늦었지만, 선우씨 어머니의 극락왕생을 빈다.

 

몇 년 만에 노래방이란 곳도 들렸는데, 술 한 잔 마시지 않은 상태에서 간 적은 처음이었다.

대개 술김에 고래고래 소리 질렀으나, 술도 없이 못하는 노래가 어찌 나오겠는가?

기관지가 나빠 숨쉬기조차 힘든 상황이라 노래하기가 힘들었다.

대개 술이 취해 불러 잘 몰랐으나, 이제 노래는 끝났다는 비참한 사실을 확인한 것이다. 

 

김창복씨는 ‘휘나리’, 김선우씨는 ‘킬리만자로의 표범’ 등,

다들 애창곡으로 100점을 줄줄이 받아가며 가수의 면모를 과시했으나,

없는 놈 제삿날 돌아오듯 순서는 빨리도 닥쳐왔다.

 

김상국의 ‘불나비’등 케케묵은 노래만 골라 부르기는 했으나,

노래를 부른 건지 가사를 읽은 건지, 기억 하기도 싫다.

아무튼, 선우씨 덕분에 잘 먹고 잘 놀았다.

뻥 뚫린 고속도로를 질주해 한 시간 반 만에 도착했다.

 

선우씨! 고마워요. 언젠가는 신세 갚을게...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