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 국제뉴스) 김한정 기자 

 

 25일 인사동 갤러리이즈에서는 박다정 개인전 '조금 더 가까이'가 전시를 시작했다.

 

 

 

▲ 25일 인사동 갤러리이즈에서는 박다정 개인전 “조금 더 가까이”가 전시를 시작했다. 국제뉴스/아트코리아방송 김한정 기자

 

 

지극히 개인적인 이야기로부터 출발하여 기억에 관한 작업을 몇 년 간 이어왔다. 기억이란 것이 얼마나 주관적이며 왜곡되기 쉬운 변질성을 띄고 있는가에 대한 의문이 문득 들었다. 나는 주관적이고 왜곡되고 있다는 걸 인지하고 있음에도 내가 집착하는 대상을 놓아주지 못했다.

놓지 못하는 것들과 놓기 싫은 것들 사이에서 내 기억들은 방황한다. 나는 기억 사이에서 표류하고 방황한다. 예컨대 어떤 것에 대한 첫 기억은 다시금 기억하고 추억하는 행위에 의해 점점 본래의 의미를 잃어간다.

내가 망각에 대해 저항하다가도 금새 굴복한다. 지금 이 순간에도 조금씩 기억은 지워져간다. 지우고 싶은 것은 아니지만, 망각의 기능.

왜곡되어가는 기억들 속에서 나는 무엇을 찾고 싶었을까. 때문에 서서히 깊은 곳으로 잠긴다. 그 중에서도 또렷히 떠오르는 것들이 있다.

 

 

 

▲ 25일 인사동 갤러리이즈에서는 박다정 개인전 “조금 더 가까이”가 전시를 시작했다. 국제뉴스/아트코리아방송 김한정 기자

 

 

어느 겨울, 제주의 기억은 매서운 바람에도 불구하고 따뜻했고 포근했다. 햇살 아래 바다는 에메랄드 빛을 띄며 아름다웠다. 얼어있던 마음들이 녹아드는 듯 했고, 한없이 바라보고 싶었다.

그 날 밤, 다시 찾은 바다는 캄캄했고 고요했다. 문득, 검은 바다를 바라보다가 낮의 기억을 비웃기라도 하듯, 새삼 두려움이 엄습했다.

까맣기만 한 바다. 빛을 잃어버린 바다는 무섭도록 고요하고 캄캄했다.

그 속엔 무엇이 있는지, 그리고 무슨 일이 벌어질지 전혀 알 수 없었고 언제라도 모든 것을 앗아갈 것만 같은 깊은 공포가 느껴졌다. 내가 그 날 느꼈던 바다는, 나의 모습과 닮아 있었고 우리의 내일을 담고 있었다. 어제의 나는 오늘을 예상치 못하듯, 우리의 관계 역시 예상치 못한다.

 

▲ 25일 인사동 갤러리이즈에서는 박다정 개인전 “조금 더 가까이”가 전시를 시작했다. 국제뉴스/아트코리아방송 김한정 기자

 

어느 한 낮의 바다처럼 찬란했던 우리의 관계는 어느샌가 소원하고 멀어지며 빛을 잃은 검은 바다 속처럼 알수 없는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흐르기도 한다. 바다에게 또 다른 '낮'이 찾아오듯 우리의 삶에도 낮과 밤이 찾아오며 각자의 날들이 지나갈 것이다

 

불안하고 불완전한 개인은 안타깝게도 영속적 존재가 아니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은 생과 멸을 반복한다. 우리는 살아가며 수많은 탄생과 죽음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한다.

이렇듯 우리는 커다란 자연의 순환 고리의 일부라 할 수 있다. 우리의 삶 역시 언젠가는 죽음으로 귀결하지만 이 각각의 존재를 유한한 존재라 단정지을 수 있을까.

 

나의 부유하는 기억들―주관적이고 개인적인 것이라 할지라도― 사이에서 이미 물리적으로 단절된 그 누군가에 대한 기억은 존재하지 않는 것이라 치부할 수 있는가. 비록 각자의 삶은 죽음으로 인해 끝나지만, 우리는 누군가의 기억에 귀속되어 영속적 존재가 될 수 있지 않을까.


▲ 25일 인사동 갤러리이즈에서는 박다정 개인전 “조금 더 가까이”가 전시를 시작했다. 국제뉴스/아트코리아방송 김한정 기자

3∼16일 인사동 갤러리M서 6번째 개인전

휴식을 그리는 동양화가 정희도가 6번째 개인전 ‘휴식의 의미’展을 9월 3일(수)∼16일(화) 서울 종로구 인사동 갤러리M에서 갖는다. 개막식은 3일 오후 5시30분. (02)736-1020

경북예술고등학교에서 동양화를 전공한 정희도는 단국대학교 예술대학 동양화를 마치고 같은 대학 일반대학원 회화과에서 동양화로 석사과정을 공부했다. 그동안 6차례의 개인전과 2014서울오픈아트페어 ‘SOAF’(COEX) 등 4차례의 아트페어, 2014젊은작가展(Gallery M) 등 16차례의 단체전에 참가했다. 제28회 모란현대미술대전 특선(성남) 등 6차례의 미술대전에서 수상했다.

대표작품 ‘홍차요정’은 찻잔에서 세상을 바라보는 아이의 모습이다. 어른이 바라보는 천진한 모습을 그림으로 옮겨낸 작품들이다. 자신의 작품에서 세상을 발견한다는 궁극성에 달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작품들이 제작된다. 자신의 경험을 차향(茶香)에 감추고 찻잔과 아이를 그리는 반복성을 통해 현대인에 대한 삶의 가치를 통찰한다. 현재의 모습은 과거에서 비롯된다는 것을 아이의 눈망울을 통해 알게 한다.

 

 

정의도의 대표작 ‘홍차요정’. 30.3x130.3cm. 천에 혼합재료

 

 

물감을 바르면서 물감의 물성을 이해하듯이 차가운 현실에 존재하는 정신의 가치를 발라간다. 삶의 가치라는 철학적 명제가 아니라 내일을 살아가기 위한 자아실현의 가치다. 살아짐에 대한 회의를 살아가는 의지적 표현으로 등장시킨다. 자신의 이성과 감성에 존재하는 예술가적 기질을 발휘하기 위한 방편으로 선택된 것이 홍차와 아이의 모습이다. 찻잔은 세상이며 여기를 유영하는 아이는 살아가는 모든 사람들이다. 단순하고 간결한 표현을 통해 모든 사람들의 감성을 유입하는 힘을 지니고 있다. 자유를 갈망하는 현실 대립이 아니라 자유로울 수 있다는 미래에 대한 실현이다.

 

healing.162.2x130.3cm. 한지에 혼합재료.2014

 

정희도의 그림에는 홍차가 자주 등장한다. 홍차를 마시고 홍차 향을 음미한다. 여기에서 홍차는 모든 차를 대표하는 일반명사가 된다. 붉은색 홍차에 아이가 목욕을 한다. 아이는 천진하고 순박하다. 탐욕과 근성 또한 거의 없다. 아이를 그리면서 팍팍한 세상살이에 지친 현대인을 생각한다. 그들은 아주 작은 어떤 것에 의미를 두기도 하고 자신을 치유하는 방책으로 전환하기도 한다. 사는 것 자체에 대한 의문이나 고민보다 지금 현재, 잠시의 행복이나 잠시의 즐거움을 찾는다. 살아간다는 것 자체는 이미 그렇게 되어있기 때문에 특별한 의미를 부여하지 않는다. 그래서 작가는 현대인의 평안을 위한 잠시의 휴식을 안녕(安寧)이라는 시작점으로 표현한다.


[세계일보 / 조정진기자]



옛 정이 그리워 인사동을 맴도는 화가

'인사동 정보 > 인사동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해광 (아프리카 미술관 대표)  (0) 2013.03.12
신용철 (공평아트센터 관장)  (0) 2013.03.11
김민경 (소리꾼)  (0) 2013.03.11
신현수 (가수)  (0) 2013.03.11
김대웅 (번역가)  (0) 2013.03.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