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rks on Paper'

 

이교준展 / LEEKYOJUN / 李敎俊 / painting 

2022_0317 ▶ 2022_0507 / 일,월요일 휴관

 

이교준_untitled_종이_100×70cm_1998 ⓒ Lee Kyo Jun / PIBI Gallery

 

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관람시간 / 11:00am~06:00pm / 일,월요일 휴관

 

 

피비갤러리

PIBI GALLERY

서울 종로구 북촌로 125-6 1층

Tel. +82.(0)2.6263.2004

www.pibigallery.com

 

피비갤러리는 2022년 첫 전시로 3월 17일부터 5월 7일까지 기하추상회화(Geometrical Abstract painting)작가 이교준의 개인전 "Works on Paper"를 개최한다. 피비갤러리는 지난 2019년과 2020년 전시에서 1970~80년대 개념적 설치와 사진작업 그리고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 초반 공간 분할을 바탕으로 제작한 기하학적 평면 회화와 납, 알루미늄 작업 등 '평면'과 '분할' 이라는 화두에 집중해 제작한 작품들을 중점적으로 소개한 바 있다. 작가의 세 번째 개인전인 이번 전시에서는 초기 설치∙사진작업과 회화를 잇는 중간과정으로서 1991년에서 2004년 사이 제작한 종이 작업(Works on Paper)을 소개한다. 특히 1970~80년대에 작가가 집중했던 개념적 설치와 사진작업이 공간 분할을 바탕으로 한 기하평면 회화로 전환되는 시기의 작가의 실험과 과정을 소개하고 기하추상회화(Geometrical Abstract painting)로 알려진 이교준 회화의 본질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교준_Untitled_흑백사진_50×60cm×2_1981 ⓒ Lee Kyo Jun / PIBI Gallery

1960년대 전위적이고 실험적인 형태로 진행되었던 한국 아방가르드 미술은 대지미술(Land Art), 환경미술(Environment Art), 오브제(Object), 설치미술(Installation Art) 등의 개념성을 강조한 작품들을 발표하였고 서구와 일본으로부터 유입된 미술이론과 흐름을 받아들이면서 한국 현대미술에 맞는 담론을 펼쳐나갔다. 이 시기의 많은 작가들이 이전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신체, 텍스트, 장소, 공간, 중력, 프레임 등을 미술의 구성 요소로 인식하기 시작했고 이들의 근본적인 작동원리를 사유하고 실험하는 시도들이 일어났다. 이교준도 예외가 아니었다. 그는 1979년 대구현대미술제를 기점으로 작가로서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여, 한국 화단의 주요 전시: 국립현대미술관의 "Independants"(1981)를 비롯하여 "Ecole de Seoul"(1981) 및 "TA.RA"(1983-1987)그룹 활동 등 80년대 실험적 설치와 2000년대 초반 알루미늄과 납 등 금속판을 비롯한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평면작업을 전개하였다. 초기 사진 매체의 '평면성'과 '프레임'에 대한 관심과 새로운 해석은 이후 캔버스를 분할하며 만들어지는 '분할'이라는 요소의 발견으로 이어져 회화의 기본 요소인 점, 선, 면이 만들어내는 기하학적인 구조, 평면을 분할하며 만들어지는 선과 캔버스의 선이 만들어내는 면 그리고 그들이 서로와 관계 맺는 다양한 경우의 수를 조합하며 평면에서 화면분할을 지속해 왔다.

 

이교준_Untitled_리소그래피_57×76.5cm_1991

이교준 작가의 종이작업은 80년대 실험적 설치 및 사진작업과 2000년대 초반 시작되는 그리드(Grid)회화를 이어주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다. 초기에는 두꺼운 판화지 또는 한지위로 목탄과 연필을 사용하여 회화적 제스처가 남아있는 화면을 보여주었고 이후 연필과 아크릴 채색으로 좀 더 견고하게 평면을 구획하는 시도를 전개하였다. 얇고 딱딱한 종이위로 제도 잉크를 넣은 펜을 사용하여 정연한 면 분할의 다층적인 레이어를 보여주기도 하는데, 특히 1998년에는 종이를 접어 분할한 면을 평면위에서 입체로 들어 올리는 실험을 병행하기도 하였다. 199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초반까지 이어진 종이작업은 이후 알루미늄, 납판, 플랙시글래스 등 다양한 재료들을 수용하며 새로운 방식의 분할에 대한 작업으로 확대되었고, 최소한의 형태와 색채만으로 화면을 분할하는 본격적인 캔버스 회화로 옮겨가는 작가의 실험과 시도를 보여주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이교준_Untitled_종이에 연필, 콜라주_100×70×1.5cm_1998

더욱이 2차원의 평면 안에서 기본적인 면의 구획과 이를 통한 선의 구축을 통하여 그 표면이 함의할 수 있는 (3차원적) 공간을 실제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회화의 입체적인 효율성을 가시화했던 일부 종이 작업(도판1)은 면과 선으로 쌓아 올린 층위를 평면 회화로 옮긴 윈도우시리즈 (Window series 2007~2014)와 2009~2012년에 집중된 Void 연작으로 이어진다. 플라이 합판을 여러겹으로 쌓으며 면으로 구성된 층과 선으로 구성된 층이 내포하는 공간을 입체적으로 보여준 박스 연작(Void Series)은 면과 선으로 쌓아 올린 층위를 평면 회화로 옮긴 Window 시리즈(2007~2014)와 함께 오랜 시간 작가의 화두인 평면과 분할의 실험을 보여준다.

 

이교준_Void-c_합판에 아크릴채색_50.4×50.4×15cm×2_2011 ⓒ Lee Kyo Jun / PIBI Gallery

이교준의 작업은 면과 선 그 자체를 독립된 요소로 인식하고 화면 안에서 균일하게 공간성과 평면을 새롭게 인식시키고자 한다. 또한 캔버스라는 틀과 프레임에 대한 사유를 시작으로 회화의 평면성에 대해 질문하고 그 한계를 벗어나기 위한 실험으로 이어지고 있다. 그의 작품은 기존의 틀을 넘어서고자 하는 새로운 모색과 실험, 행위와 개념의 미술로 전개되었으며 앞으로 펼쳐질 작업에 대한 근간을 만들었다. 본 전시는 이교준의 기하추상회화가 본격화되기 이전 종이를 이용한 다양한 실험의 과정을 들여다봄으로써 이교준의 회화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나아가 한국 현대미술의 차원에서 재조명 받을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 피비갤러리

 

이교준_Window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162×125cm×2_2007 ⓒ Lee Kyo Jun / PIBI Gallery

 

For its first project of 2022, PIBI Gallery presents the geometrical abstract painter Lee Kyo Jun's solo exhibition titled Works on Paper (March 17 ~ May 7). Held at PIBI Gallery in 2019 and 2020 respectively, Lee's two previous solo exhibitions largely presented his early conceptual installation and photographic works from the 1970s and the 1980's, as well as geometric paintings and lead and aluminum pieces of the 1990's and the space split pieces of the early 2000's—all produced under the themes of "flat surface" and "division." Lee's third solo exhibition introduces his works on paper, produced between 1991 and 2004, as a bridge between the early installation and photographic works and the paintings. In particular, it explores the artist's experiments and processes in the period when the conceptual installation and photographic works that had formed the crux of his art in the 1970s and the 1980s transitioned into paintings based on spatial division, thereby examining the essence of Lee Kyo Jun's geometrical abstract paintings. ● Korea's avant-garde art manifested itself in a radical and experimental form in the 1960s, putting out works that emphasized conceptuality, such as Land Art, Environment Art, Object, Installation Art. Furthermore, Korean artists embraced art theories and trends from Japan and the West, while at the same time cultivating a discourse on Korean contemporary art. During this period, many artists began to recognize previously unimaginable elements such as the body, text, site, space, gravity and frame as components of art. Many artistic attempts were made to contemplate and experiment their fundamental application principles. Lee Kyo Jun was no exception. After launching his artistic career at the 1979 Daegu Contemporary Art Festival, Lee participated in a number of major art exhibitions in the Korean art scene of the 1980s, including Independants (1981) at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Ecole de Seoul (1981), and TA.RA Group Exhibition. His early experimental installation works were followed by the advent of his flat surface works in the early 2000s compos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aluminum, lead and metallic plates. The artist's renewed interest and re-interpretations of the "flatness" and the "frame" of his early photographic works later led to the discovery of the "division" element of the canvas. Lee scrutinized the geometrical compositions of dots, lines, and planes, the partitioning lines of the flat surface, and the planes created by the lines of the canvas, and thus continued to divide the flat surface by combining numerous possibilities of how all these elements may be connected or related to one another. Untitled, black and white photograph, 50x60cm, 1981(each) /ⓒ Lee Kyo Jun / PIBI Gallery Lee's works on paper can be seen as a bridge between the early installation and photographic works of the 1980s and the grid painting of the new millennium. Initially, he began by expressing malerisch gestures using charcoal and pencil on printmaking paper or hanji. Afterwards, he made attempts to create more substantial partitions of the flat surface with pencil and acrylic coloring. ● Lee has created multiple layers of neat divisions of the side using ink pen on thin, hard paper. In 1998, he conducted an experiment whereby he divided a side by folding the paper and lifting it into a three-dimensional form from the flat surface. From the early 1990s to the early 2000s, Lee expanded his works on paper using diverse materials such as aluminum, lead, and plexiglass, and introducing a new form of division. Through this period of new attempts and experiments, he transitioned into paintings that divided the canvas using minimal form and color. ● Furthermore, some of Lee's works on paper (Fig. 1) visualized the stereoscopic effectiveness of paintings by suggesting the (three-dimensional) space that could be contained within a surface through the dividing of sides within a two-dimensional plane, and the construction of lines thereof. They were followed by the Window series (2007~2014)—flat surface paintings where layers created by sides and lines are overlapped—and the Void series (2009~2012)—three-dimensional presentations of the space connoted by layers composed of sides and lines. Along with the Window series, the Void series, which used layers of plywood, shows the artist's long-standing experiment with flat surface and division. ● Lee Kyo Jun recognizes sides and lines as independent elements, and seeks to newly identify spatiality and plane on the canvas. In addition, by exploring the frame of the canvas, Lee poses questions about the flatness of paintings and continues his efforts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Lee's works can be described as art of new explorations, experiments, actions and concepts, which seek to go beyond the existing framework, and have thus laid the foundation for future works. By delving into the various experiments with paper conducted before his geometric abstract paintings took off in earnest, this exhibition confirms the identity of Lee Kyo Jun's paintings, and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examine his works in terms of Korean contemporary art. ■ PIBI Gallery

 

Vol.20220317g | 이교준展 / LEEKYOJUN / 李敎俊 / paintin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