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가 김수길씨가 응암동에 “순간포착”이 아닌 “순간포차”를 차렸더라.
지난 3일, 송추 전강호씨 집에 가을소풍 갔다 오며 이차로 들린 술집이었다.
김수길, 공윤희, 민영기씨 등 몇 명이 둘러앉아, 송추에서 모자란 기름을 ‘순간포차’에서 보충하였다.
뒤늦게 조해인, 박진관씨도 나타났는데, 나만 ‘순간포차’를 몰랐던 것 같았다.






술집 분위기가 꽤 괜찮았다.
전형적인 선술집이나 통술집 스타일인데, 가뿐하게 한 잔 하기 딱 좋았다.


그런데, 돌아가신 민병산 선생 조카 민영기씨로 부터 뜻밖의 선물을 받았다.
바로 인사동 사람이라면 한두 장 쯤 다 갖고 있는 민병산 선생의 글씨였다.
아들 조햇님 결혼식을 미처 몰랐다며, 전해주라는 결혼선물이었다.






거리의 철학자로 불리는 민병산선생은 세상을 훤히 읽고 있지만, 평소 별 말씀이 없으셨다.
붓 글씨 또한 얼마나 좋은지, 추사선생께서 계셨다면 아마 스승으로 모셨을 것이다.
자유롭고 거침없이 몰아가는 바람 같은 획들이, 쓰 놓고 나면 얼마나 조형적인지,
한 눈에 반할 글씨였다. 항상 괴나리봇짐에 잔뜩 넣고 다니며 나누어 주셨다.


선생께서는 달라고 말만 하면 거침없이 주었지만, 달라고 하지 않는 사람은 절대 주지 않았다.
싫어서도 아까워서가 아니라 자기 자랑하는 것 같아 차마 주지 못하신 것 같다.
그러나 살아생전 그토록 많은 글을 쓰서 나누어주셨지만, 나는 한 장도 받지 못했다.
달라고 손을 내밀지 않아 못 받았는데, 어떻게 귀한 작품을 그냥 달라고 할 수 있겠는가?





그런데, 민영기씨가 내놓은 민병산 선생의 붓글씨 내용을 보니,
김삿갓처럼 떠돌던 당나라 시인 맹호연의 ‘봄 새벽’이란 시였다.
살아생전 그 글을 인사동 ‘귀천’에서 쓰시는 것을 보고 탐낸 적이 있는데,
하필이면 그 글씨를 삼십년 만에 만났으니, 그 인연도 예사롭지 않다.
마치, 달라지 않은 너는 가질 자격이 없으니, 자식에게나 주겠다는 것 같다.
그 시를 곱씹고 곱씹으며 민병산 선생님을 그린다.

“봄날 혼곤히 잠들어 새벽을 느끼는데
여기저기서 새 울음 들려온다.
지난 밤 비바람 사나웠기에
꽃잎이 얼마나 떨어졌는지 아누나“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