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해로 아홉 번째인 ‘동자동 사랑방마을’ 어버이날 잔치가
지난 5월7일 오전10시부터 오후2시까지 동자동 ‘새꿈 어린이공원’에서 열렸다.
매년 어버이날마다 쪽방 주민들을 위로하는 어버이 잔치가 ‘동자동 사랑방’ 주관으로 열려왔다.
주민에게 모금한 돈으로 손수 음식을 장만하는 등 서로 정 나누는 의미 있는 자리다.
다들 꽃 달아드리는 이웃의 손길을 다소 어색한 눈길로 바라보았으나,
따뜻하고 흐뭇한 마음이 번지는 게, 금세 느껴졌다. 나 역시 그랬으니까...
쪽방 촌에 거주하는 분들은 대개 자녀가 있어도 찾아오지 않거나,
어디서 어떻게 사는지도 모르며 살아가는 외로운 분들이다.
그들에게 카네이션을 달아 드리고 음식을 대접하며,
모처럼 이웃과 어울려 대포 한잔 나눌 수 있으니, 이보다 더 좋은 날이 어디 있겠는가?
다른 식사 대접에는 공원에서 술을 못 마시게 하지만,
이 날만은 '동자동사랑방'에서 제공한 술을 마실 수 있으니, 즐거울 수밖에 없었다.
미역국과 밥, 부침개, 족발, 소주, 막걸리, 음료수 등 준비한 음식들을 사랑방 식구들이 부지런히 날랐고,
주민들은 둘러앉아 정담을 나누는 화기애애한 시간을 보낸 것이다.
그리고 주민들과 약속한 빨래집게 사진 나눔전도 열었다.
이번에는 사진가 정영신씨의 프린트 협찬으로 가능했는데,
공원에 쳐 놓은 빨래 줄에는 작년 추석 이후에 촬영된 85장과,
지난 빨래줄 전시에 걸었던 사진 중에 추가로 원하는 15점 등 모두 100점을 내 걸었다.
그런데, 뭔가 착각한 ‘동자동 사랑방’ 임원 한 사람이 사진 설치에 제동을 걸어 심기를 불편하게 만들었다.
행여 잔치 분위기를 헤칠까 대꾸하지 않은 채, 설치 예정시간보다 두 시간이나 지나서야 걸었지만,
이건 분명 짚고 넘어 갈 사안으로, 당사자의 사과와 사랑방조합의 공식 견해를 요구할 것이다.
서로 돌려보기 싶도록 빨래 줄에 건 사진들은,
본인이 갈 때 거두어 가기로 되어 있으나, 잊어버렸는지 행사가 끝났는데도 절반이 남아 있었다,
나 역시 안애경, 류성조, 정영신씨 등 손님 맞느라 사진을 챙겨 드리지 못했다.
어쩌면 사진을 빌미로 다시 술 한 잔 나눌 수도 있으니, 그리 걱정할 일은 아니었다.
그리고 미처 만들지 못한 사진이나 추가로 촬영된 사진은 올 추석에 돌려드릴 작정이다.
‘동자동 사랑방’ 추석잔치는 고향 떠나기 하루 전에 치루지만,
빨래줄 사진 나눔 전은 작년처럼 추석 당일에 실시할 예정이다.
고향이나 가족을 찾아 갈 수 없는 분들을 위한 배려이니, 착오 없으시길 바란다.
그리고 본인 사진이 없다고 서운해 하지 말고, 혹시 거리나 공원에서 만나면
“어이~ 사진 한 판 멋지게 찍어 줘”라고 말을 하라, 결국 남는 건 사진뿐이다.
그 기록들이 가난하게 살아가는 우리들의 역사가 될 것이다.
행사가 끝난 후, 찾아 온 손님들과 어울려 ‘서울역 284’에서 열리는 “Market EuRang"에 들려
젊은 작가들이 펼치는 공예의 일상화전도 들려보고, 서울역 맛집에서 늦은 점심도 먹었다.
돌아오다 보니, 서울역 주변에서 쓰러져 자는 김지은씨 등 노숙하는 친구들이 마음에 걸렸다.
그들은 어버이날 행사조차 끼일 수 없으니, 카네이션은 커녕 따뜻한 밥 한 끼 챙겨먹지 못한 것이 뻔하다.
빈속에 독주만 들이켰으니, 저렇게 쓰러져 잘 수밖에...
행사를 치룬 공원에는 몇 몇 분들이 남아 한담을 나누고 있었는데,
이상준씨는 나에게 전해 주라며 김도이씨가 맡겨 두었다는 비누와 향이 든 선물 봉지를 주었다.
조금만 일찍 왔더라면 얼굴이라도 볼 수 있었을 텐데, 그의 고마운 마음 잘 간직하겠다.
옆에 있던 이기영씨가 나를 불렀는데, 갑자기 호칭이 달라졌다.
평소에는 ”어이~“라며 만만하게 대하는 친구가 "조기자, 나 좀 보세”라고 점잖게 말하지 않는가.
닭발을 먹고 있어 "닭발에 걸려 헛소리냐“고 대꾸했더니,
나에 대해 모르는 이야기를 많이 들었다는 것이다.
찾아 온 여인들과 총총히 사라지는 모습을 보며, 여러 사람들이 내 이야기를 많이 한 것 같았다.
이기영씨야 인터넷을 하지 않으니 아무 것도 몰랐으나,
찍은 사진이 인터넷에 올라간다는 이야기도 들었고, 기자라는 이야기도 들은 것 같았다.
”배운 짓이 사진 찍는 일과 글 쓰는 일 뿐이니, 이곳에서나마 보탬이 되면 좋지 않냐고 말했으나,
예전처럼 편안한 사이가 지속될 수 있을지 걱정스러웠다.
기자와 주민 사이에 생기는 거리감 같은 경계가 쉽게 해소될 수 없을 듯 하다.
여지 것 가장 우려해 왔던 일이 현실로 다가 온 셈이다.
이날 잔치에는 ‘동자동사랑방’ 김호태 ‘회장을 비롯하여 많은 주민들이 협력하여 일사불란하게 치러졌는데,
외부 손님으로는 예술감독 안애경씨와 사진가 정영신, 김 헌씨, 그리고 류성조, 이보영씨 등
여러 명이 함께하여 보람된 어버이날 행사를 도우며 지켜보았다.
다들 건강하게 오래 오래 사시어, 내년에 다시 뵐 수 있기를 간절히 바랍니다.
사진, 글 / 조문호
'조문호사진판 > 동자동 쪽방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방촌 ‘고기방앗간’에서 배 터지게 먹었다. (0) | 2018.05.16 |
---|---|
빗물 떨어지는 노숙자의 술잔 (0) | 2018.05.15 |
달세 방에서 쫓겨 난 노숙자의 집들이 (0) | 2018.05.04 |
카메라 가져 간 이종민은 영등포 있단다. (0) | 2018.05.01 |
자신의 몸보다 라면을 더 챙기는 가난한 사람들 (0) | 2018.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