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장에서 만난 '노동 정치 연대' 양경규 상임대표와 신화철 화백


어느 애비가 자식을 사랑하지 않는 사람이 있겠냐마는,
하나 뿐인 나의 아들에 대한 회한은 남다르다.
왜냐하면 애비구실을 제대로 못했기 때문이다.
처음 태어났을 때 얼마나 좋았으면, 이름을 ‘햇님’이라고 지었겠는가.
밝고 강하게 살라 붙였건만, 눈물을 더 많이 흘리게 했다.

무슨 대단한 일 한다고, 자식까지 팽개치고 살았는지 모르겠다.
부산에서 사진 한다며, 무작정 상경했던 시절이었다.
석관동에 셋방 하나 얻어 살았는데, 대책없이 사창가에서 윤락녀들
사진이나 찍고 있었으니 집안이 편할리가 없었다.
결국 이혼하여 아내와 아들은 연고지인 부산으로 내려가게 되었다.

이삿짐을 싸던 날, 하필이면 비가 추적추적 내렸다.
그 당시 중학생이었던 아들은 헤어지기 싫어 처마 밑에 서서 울고 있었다.
내 마음에 큰 대못을 박았다. 그렇게 헤어져 이산가족이 된 것이다.

내가 아들에게 한 것이라고는, '경성대' 사진과에 다닐 때 등록금 보내준 것뿐이다.
그 것도 등록금 때문에 ‘삼성항공’ 카메라 사업부에 계약직으로 들어갔으나 
아들 대학졸업과 동시에 그만두었다.

그 이후 아들은 패션스튜디오에서 일하기도 했으나, 돈이 되지 않아 사진을 접었다.
쥐꼬리만한 월급으로는 어머니와 외할머니를 부양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의료기 외판원에서부터 온갖 일을 다 한 것으로 알지만, 내가 도와 줄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었다.

가끔 페이스북에서 피켓을 들고 일인 시위를 하거나, 지역 봉사하는 사진들을 만나면
속이 터졌다. 그래서 정의당원으로 일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는데, 내가 말릴 일은 아니었다.
모순투성이인 세상을 바로 잡으려면, 누군가 나서야하기 때문이다.
나 역시 여지 것 정치판을 더럽다며 등 돌리고 살았으나, 비급하다는 생각에 마음을 고쳐먹었다.

그래서 오염이 안되었다고 판단한 정의당에 들어가, 아들과 동지가 된 것이다.
나야 정치판에 대해서는 아무 것도 모르는 초보에 불과하지만,
아들은 정의당 은평구위원회 사무국장으로 김제남의원 지역보좌를 맡고 있었다.

몇 일 전 신학철선생으로 부터 뜻밖의 전화가 왔다.
‘노동 정치 연대’ 상임대표로 있는 양경규씨와 같이 저녁식사 한 번 하자는 것이었다.
아들과 함께 오라기에 물었더니, 양경규씨를 돕기 위한 자리라 했다.

비가 추적추적 내리던 지난 13일 오후, 약속장소인 인사동으로 나갔다.
먼저 신학철선생을 만나러 간 ‘인사아트’ 전시장에서 양경규씨를 만났다.
노동분야 전문가인 그에 대한 이력은 알고 있었으나, 첫 만남인 셈이다.

만찬장소인 ‘하늘풍경’으로 옮겼더니, 정의당 공동대표인 김세균선생도 오셨더라.
그 날 자리는 노동과 예술을 연대하려는 양경규씨의 의도에 만들어졌다.
정의당 전사로 발 벗고 나선, 그를 돕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었다.
정의당의 대소사를 기록하고 알리는 일은 물론, 노동운동에 사진을 활용하는 방법도 제안했다.

세상이 정의롭지 못하다. 옳지 못하고 공정하지 못하다는 건 삼척동자도 다 안다.
대기업의 횡포와 각종 탈법과 편법적인 부의 대물림, 노동시장에서의 차별과 불공정,
힘없는 소수자에 대한 멸시와 핍박 등 공정 사회로 가려면 한 참 멀었다.
이런 잘못된 사회구조를 바꾸어야 한다. 그러나 물리적인 투쟁은 다수 대중과 더 멀어질 뿐이다.

인간적인 접근으로 대중의 힘을 결집시키야 할 양경규씨의 지혜가 절실하다.


사진, 글 / 조문호



정의당 김세균 공동대표


좌로부터 양경규, 김세균, 신학철선생


'노동 정치 연대' 양경규 상임대표





정의당 은평구위원회 사무국장 조햇님






좌로부터 조문호, 신학철, 김세균, 양경규씨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