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 월곶면의 살림집에 들어앉은 별난 전시장 '민예사랑'에서 특별한 전시가 열렸다.

지난 5월20일부터 28일까지 열린 초대전은 도예가 변승훈씨와 서양화가 최선호씨의 '빙빙유람'전 이었다.

 

'민예사랑'은 꽃 피는 오월을 맞아 일 년에 한 차례만 전시를 연다는데, 올 해로 벌써 열세 번째 전시라고 한다.

 

동양화가 출신의 서양화가 최선호씨와 섬유미술가 출신의 도예가 변승훈씨는 전공을 바꾸어

또 다른 세계를 개척한 이력이 서로 엇비슷하다.

 

 

추상화 중 추상화인 미니멀리즘으로 무장한 화가 최선호씨는 한국의 색을 탐구하는 작가로 알려졌는데,

단색으로 이루어진 시적 느낌의 추상화가 매우 인상깊었다.

 

 

변승훈씨는 분청사기기법을 현대화한 부조작업으로 도자벽화 등 여러 가지 설치작품들을 만든 실험적인

성향의 작가인데, 덤벙기법으로 제작된 그의 분청그릇들은 자유분방한 멋을 한 껏 풍기고 있었다.

 

 

실내에는 품격있는 조선의 고가구 사이사이로 단색의 그림과 분청 그릇의 정겨운 질감이 오밀 조밀 전시되어 있었고,

정원에는 돌확과 장대석, 동자석등 몇 백 년은 됨직한 갖가지 골동들이 토종 나무들과 어울려 제 자리를 지키고 있었다.

 

서양화가 문영태씨의 아내 장재순씨는 인사동에서 30여 년 동안 '민예사랑'이란 앤티크숍을 운영해 온 골동전문가지만

이렇게 훌륭한 생활공간을 갖추고 오순도순 사는지는 미처 몰랐다.

 

중요한 것은 이 모든 것이 보여주기 위한 장식품이 아니라 두 부부의 생활이라는 점이다.

작품이나 생활 용품 모두가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적절하게 배치해 주변과 조화를 이루었다.

 

문영태씨는 내가 동강생태환경 기록하려 정선 만지산에 가서 눌러 앉듯이

민통선 따라가는 기행문을 연재하다 이곳에 정착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의 책상 앞 창문을 통해 북한 산하가 바로 눈에 들어오니, 늘 남북을 오가는 셈이다.

 

그런데 전시회를 개최하며 방명록 첫 장에다 '봄맞이, 이천 몇 년 꿈속에서'란 글을 쓰며

자신의 이름 영태를 적는다는 것이 우연찮게 용태로 적었다는 것이다.

하필이면 글 쓴 날이 김용태씨가 세상을 떠난 지 일주기가 되는 날이었단다.

 

"전시회 준비하느라 일주기에 참석하지 못해 '용태형'이 직접 찾아 왔다"며 그가 웃었다.

 

사진,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