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人- 이수예 사찰문화재연구소장

20년동안 미황사·범어사 등
80여 사찰 불화·단청 작업
“불교미술 대중화에 매진하고파”

 

 

▲ 사찰문화재연구소 이수예 소장은 다양한 불화 작업으로 불교미술의 대중화를 시도하고 있다. 최근에는 장곡사 괘불탱 작업에 매진 중이다.

 

“사찰은 불국토를 형상화시킨 공간이죠. 법당 안팎의 그림들을 한 점 한 점 독립시켜 보면 그것이 곧 작품이 돼요. 이번에 모사한 미황사 부처님과 천불도 단청 등은 사찰에서만 볼 수 있던 불화들을 법당 밖 갤러리로 옮긴 셈이죠. 이번 전시로 일반인들이 불교미술을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합니다.”

 

사찰문화재연구소 이수예 소장(42)은 ‘땅끝 미황사 큰부처님 서울에 나투시다’전을 기획한 장본인이다. 불화가인 그는 이번 전시에서 사찰문화재연구소 연구원들과 함께 높이 약 1170㎝, 폭 486㎝에 달하는 초대형 걸개그림인 ‘해남 미황사 괘불(보물 1342호)’을 완성해 대중에 공개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미황사의 천불도 25점, 포벽나한도 13점, 단청문양도 114점 등 총 153여 점을 모사해 11월 4일까지 인사동 아라아트센터서 전시를 열었다.

 

이 소장은 지난 20여년 동안 금선사, 도국사, 흥국사 등 80여 사찰의 단청 및 불화 작업에도 참여했다. 특히, 지난 2007년에는 그간의 노하우를 응집해 사찰문화재연구소를 개소하고 사찰 미술 복원에 매진했다.

 

“기존 사찰 단청은 문화재수리 기술자나 보존과학을 전공하는 분들이 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이 있었어요. 하지만 이 분야를 예술적으로 잘 복원할 수 있는 사람들은 불화 전공자들이잖아요. 그래서 사찰문화재연구소를 개원해 사찰 단청을 복원하는 작업을 맡게 되었죠. 최선을 다한다면 모두가 인정해줄 거라 생각했어요. 그 첫 번째 작업이 미황사 단청과 벽화 복원이었고 미황사 괘불 모사까지 이르게 되었죠.”

 

이 소장을 비롯한 불교미술 전공 연구원 9명은 3년여에 걸쳐 안료분석과 적외선 촬영, 디지털 현미경 촬영 등 과학적 조사방법을 토대로 원본의 재료, 형태, 도상 뿐 아니라 오염 박락 손상부분 등을 복원해냈다. 해풍에 깎여 형체를 알아보기 힘든 대웅전 안팎의 단청들까지 원형을 완벽하게 찾아내 조선 후기 단청과 벽화들의 아름다움을 그대로 재현해냈다는 평가를 받았다.

 

“모사 작업이 예술이 아니라고 하는 분들도 많죠. 하지만 명나라 도자기를 복원한 청나라 도자기가 현대에 와서 문화재로 인정받듯 모사 작품도 하나의 작품이라고 저는 생각해요. 또 문화재 보호와 불화의 대중화 측면에서도 모사는 매우 중요한 작업이에요. 1대 1 모사를 통해 대중들에게 모사본을 공개하고 진품은 보관한다면 문화재 보호에 기여할 수 있겠죠.”

▲ 미황사 쾌불탱 모사도

 

 

고등학교 시절, 입시미술을 준비하며 책자를 뒤적이다 불화를 보는 순간 한눈에 반해 불교미술로 진로를 결정했다고 하는 이수예 소장. 불모는 자신의 천직이라 여기며 불화 단청 등 수많은 작업에 참여해왔다. 5번의 개인전과 17번의 단체전을 가질 만큼 작품 창작에도 최선을 다해 왔던 그는 앞으로 법당 안의 작품을 밖으로 끌어내는 작업에 진력할 계획이다.

“불교미술이 종교미술이라고 말하지만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아요. 단청 하나, 벽화 하나를 떼내면 그대로 훌륭한 미술품이죠. 절 안에 있으니 종교미술이라 하지만 절 밖으로 나오면 대중들의 눈길을 끌만한 작품들이 많다고 생각해요. 불화가들이 앞으로 다양한 작업을 통해 불화의 대중화를 이끌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이에 이 소장은 오는 12월 24일 범어사 단청을 새로운 모습으로 재구성해 대중들을 찾아간다. “단청을 설치미술로 보여줄 생각이에요. 사찰 천정을 벽으로 내려 현대적 시각으로 재구성했다고 해야할까요? 많은 대중들이 이 전시를 통해 사찰 미술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느끼고 가셨으면 합니다. 앞으로도 이런 작업을 통해 우리 불교미술의 아름다움을 알려나가고자 합니다.”

 

 

▲ 이수예 소장은 불교미술이 사찰 밖으로 나와 대중과 친숙해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 현대불교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