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 발견, 익선동

익선동은 동쪽에 종묘, 서쪽에 인사동, 아래로는 종로, 위쪽으로 창덕궁과 북촌에 둘러싸인 채 서울의 가장 깊은 곳에서 잠자고 있는 동네다. 빌딩 숲 사이 번화가에서 몇 발짝 떨어지지 않은 곳에 섬처럼 덩그러니 떠 있는 한옥 마을의 시간은 상상했던 것보다도 느리게 흐르고 있다.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옥 마을




익선동은 1930년대 주택경영회사를 운영하던 정세권이 북촌에 이어 두 번째로 도시형 한옥 마을로 개발한 곳이다. 대지가 큰 북촌에는 서울에 진출한 영호남 지주들이 들어온 것과 달리 익선동은 서민들을 위한 50m²(약 15평) 안팎의 작은 한옥들이 많다.

당시 거주자들의 삶에 맞게 변형한 퓨전 한옥으로 ㄱ자, ㄷ자, ㅁ자 외에 지금의 아파트 평면처럼 네모난 모양도 보여 20세기 초의 독특한 시대 상황을 그대로 드러낸다.

혹자는 정통 한옥의 틀을 갖추지 않은 익선동의 가치를 낮게 평가하는 이들도 있지만 시대의 모습을 그대로 기록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지켜져야 할 의미는 충분하다.

물론 이곳에도 재개발의 바람이 불어 2004년에는 한옥 마을 자체가 없어질 위기에 처했지만 종묘, 유네스코, 주민 간의 이해관계가 얽히면서 아직까지, 그리고 다행히 옛 모습 그대로를 간직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대부분의 한옥이 오랜 세월 동안 크게 개보수 하지 않아 매우 낙후되었다는 것. 생활하기에 불편한 지금의 모습을 마냥 그대로 두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건만, 아직도 이 동네가 어떻게 변화해야 할지에 대한 답은 누구도 확실하게 내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재밌는 것은 영원히 변치 않을 것 같은 익선동 마을에 지난해부터 자생적으로 조용하지만 신선한 바람이 불고 있다는 것. 디자이너, 갤러리, 게스트하우스들이 독특한 익선동 분위기에 반해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지금까지 익선동의 시계와는 다른 시간이 흐르기 시작했다.




골목 발견! 익선동 여행

20세기 초에 지은 낡은 한옥과 1950년대 성행했던 요정 문화, 서민들의 삶을 달랬던 소박한 식당들. 그리고 익선동에 새롭게 등장한 젊은이들까지 과거와 현재, 미래가 동시에 흐르는 익선동 골목은 발견하는 재미가 쏠쏠한 곳이다. 지도는 따로 첨부하지 않았다. 골목길을 헤매며 의미 있는 것들을 발견하는 것이 이번 여행의 콘셉트니!




1 아마추어 서울은 1호 원서동~ 재동, 2호 익선동, 3호 독립문~서대문을 이어 4호가 곧 발간될 예정이다.

2 보통의 가치를 소중하게 여기는 디자인을 하는 오디너리랩. 유혜인, 김지은 디자이너.

3, 4 오디너리랩의 작업실. 그들은 전통적인 문화가 지닌 매력을 현 시대에 맞게 바꾸는 일에도 관심이 많다. 책상 위에 있는 입춘첩은 '한국 식생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익선동 집집마다 붙어 있던 입춘대길, 건양다경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한 것. 익선동에서 도장가게를 운영하며 캘리그래피 작업을 하는 분과 협업했다.

디자인 스튜디오 '오디너리랩'

'오디너리랩'은 비주얼만큼 스토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두 디자이너가 만나 차린 브랜딩 디자인 스튜디오. 작년 이맘때쯤 변해버린 홍대를 벗어나 그녀들이 작업실로 선택한 곳이 바로 익선동이었고, 세월의 이야기를 품은 익선동은 작업에 많은 영감을 주고 있다.

본업인 브랜딩 디자인 외에도 자신들의 재능으로 재밌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기도 하다. '아마추어 서울'은 관광지 없는 서울 속 주목받지 못한 곳의 여행 가이드 맵을 만들고 함께 투어를 하는 프로젝트.

아마추어 서울 2호 익선동 지도는 익선동 골목에 대한 정보가 전무해 낙심하고 있던 에디터에게 혁혁한 도움을 주었다!




1 익선동 중간에 자리한 한정식집 '도원' 역시 요정이었다. 지금은 손님들이 찾지 않아 한정식집도 폐업한 상태. 들리는 소문에는 한옥을 허물고 동사무소를 세운다고 하는데, 작은 바람이 있다면 한옥을 그대로 살리면서 그 역할을 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았으면 한다.

2 삼청각, 대원각과 함께 3대 요정이었던 '오진암'은 김두한의 단골집이자 7·4 남북공동성명을 사전 논의했던 현대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한 곳이다. 지금은 오진암 자리에 짙은 색감이 생경한 이비스 호텔이 들어섰다. 다행히도 오진암의 안채와 사랑채, 행랑채, 대문, 화장실 등은 부암동으로 이축되어 문화시설로 운영될 예정이다.

3 아직도 익선동 곳곳에 한복집들이 남아 있다.

요정 문화

익선동의 분위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1950~60년대 한국밀실정치스토리를 간직한 요정들이다. 요정이 떠나고 없는 지금도 익선동에는 악사들이 찾았던 국악사, 여인들의 옷을 짓던 한복집과 그들을 위로하던 점집 그리고 기사들을 위한 저렴한 밥집들이 여전히 남아 그 시절의 분위기를 예측하게 한다.




1, 2 익선동 초입에 늘어서 있는 갈매기살 구이집. 저녁이면 술과 함께 고기를 즐기는 사람들로 붐빈다.

3, 3천원에 배부르게 먹을 수 있는 백반 전문 수련집.

서울에서 제일 저렴한 맛집

익선동은 옛날부터 다른 동네보다 집값이 저렴했던 덕에 타지에서 서울로 올라온 서민들이 많이 살던 곳이었다. 또 같은 이유로 가난한 지식인들도 이곳에 많이 머물렀다.

그래선지 익선동에는 유독 저렴한 맛집들이 많다. 서울 시내를 통틀어 가장 저렴한 3천원 백반집인 '수련집'부터 초입에 줄지어 자리한 갈매기살 구이집, 3천5백원짜리 푸짐한 해물 칼국숫집 등 곳곳에 오랜 세월 서민들을 위로해온 맛집들이 숨어 있다.




익선동 가드너

볼품없어진 한옥의 벽, 굳게 닫혀 있는 나무 문 앞, 여기저기 낡고 깨진 기와를 감싸고 달래는 꽃과 식물들. 푹푹 찌는 여름날에는 시원한 물을 뿌려주고 담을 타고 오르는 나팔꽃에는 끈으로 길을 만들어주는 익선동 가드너들의 손길이 골목골목 묻어 있다.




패턴과 폰트 디자인

1930년대 서민들을 위한 도시형 한옥에는 규격화된 패턴과 기와 형태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정통 한옥과 현대 양옥의 중간 지점에 있는 익선동을 상징하는 패턴들을 찾아볼 것! 더불어 정직한 폰트로 쓰인 옛날 간판도 요즘의 시선으로 바라봐선지 오히려 유니크해 보인다.




1 익선동의 분위기와는 사뭇 다른 모던한 갤러리 내부.

2 익선동에 자리한 서울53호텔.

3 Art Space 53의 전시 기획 전반을 맡고 있는 A*Lab 정유정 디렉터.

갤러리 Art Space 53

부티크 호텔 서울53호텔 1층에 자리한 갤러리 'Art Space 53'. 에이랩(A*Lab)과 협업하는 이 공간은 흔히 그림만 볼 수 있는 갤러리와 다른 자유로운 주제의 전시를 만나볼 수 있다.

최근까지는 서울을 주제로 옴니버스식의 전시를 이어왔고 앞으로 미술과 디자인, 건축 등 경계를 넘나드는 작업에 관한 전시를 기획할 예정이다.

전시마다 진행하는 작가와의 대화에는 작품에 대한 토론은 물론 다 같이 저녁을 함께 먹는 시간이 있으니 전시를 깊게 느끼고 싶다면 참여해볼 것!

기획_이경은 사진_이과용(Raum Studio), 백가현(MoRi Studio)

레몬트리 2013 9월호

 

익선동은 동쪽에 종묘, 서쪽에 인사동, 아래로는 종로, 위쪽으로 창덕궁과 북촌에 둘러싸인 채 서울의 가장 깊은 곳에서 잠자고 있는 동네다. 빌딩 숲 사이 번화가에서 몇 발짝 떨어지지 않은 곳에 섬처럼 덩그러니 떠 있는 한옥 마을의 시간은 상상했던 것보다도 느리게 흐르고 있다.


 

                                              익선동의 모습.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옥 마을

익선동은 1930년대 주택경영회사를 운영하던 정세권이 북촌에 이어 두 번째로 도시형 한옥 마을로 개발한 곳이다. 대지가 큰 북촌에는 서울에 진출한 영호남 지주들이 들어온 것과 달리 익선동은 서민들을 위한 50m²(약 15평) 안팎의 작은 한옥들이 많다. 당시 거주자들의 삶에 맞게 변형한 퓨전 한옥으로 ㄱ자, ㄷ자, ㅁ자 외에 지금의 아파트 평면처럼 네모난 모양도 보여 20세기 초의 독특한 시대 상황을 그대로 드러낸다.

혹자는 정통 한옥의 틀을 갖추지 않은 익선동의 가치를 낮게 평가하는 이들도 있지만 시대의 모습을 그대로 기록하고 있는 것만으로도 지켜져야 할 의미는 충분하다. 물론 이곳에도 재개발의 바람이 불어 2004년에는 한옥 마을 자체가 없어질 위기에 처했지만 종묘, 유네스코, 주민 간의 이해관계가 얽히면서 아직까지, 그리고 다행히 옛 모습 그대로를 간직하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대부분의 한옥이 오랜 세월 동안 크게 개보수 하지 않아 매우 낙후되었다는 것. 생활하기에 불편한 지금의 모습을 마냥 그대로 두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건만, 아직도 이 동네가 어떻게 변화해야 할지에 대한 답은 누구도 확실하게 내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재밌는 것은 영원히 변치 않을 것 같은 익선동 마을에 지난해부터 자생적으로 조용하지만 신선한 바람이 불고 있다는 것. 디자이너, 갤러리, 게스트하우스들이 독특한 익선동 분위기에 반해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지금까지 익선동의 시계와는 다른 시간이 흐르기 시작했다.


                                         익선동의 모습.


 

골목 발견! 익선동 여행

20세기 초에 지은 낡은 한옥과 1950년대 성행했던 요정 문화, 서민들의 삶을 달랬던 소박한 식당들. 그리고 익선동에 새롭게 등장한 젊은이들까지 과거와 현재, 미래가 동시에 흐르는 익선동 골목은 발견하는 재미가 쏠쏠한 곳이다. 지도는 따로 첨부하지 않았다. 골목길을 헤매며 의미 있는 것들을 발견하는 것이 이번 여행의 콘셉트니!


디자인 스튜디오 `오디너리랩` / (1) 아마추어 서울은 1호 원서동~ 재동, 2호 익선동, 3호 독립문~서대문을 이어 4호가 곧 발간될 예정이다. (2) 보통의 가치를 소중하게 여기는 디자인을 하는 오디너리랩. 유혜인, 김지은 디자이너. (3, 4) 오디너리랩의 작업실. 책상 위에 있는 입춘첩은 `한국 식생활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익선동 집집마다 붙어 있던 입춘대길, 건양다경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한 것. 익선동에서 도장가게를 운영하며 캘리그래피 작업을 하는 분과 협업했다.

 


● 디자인 스튜디오 ‘오디너리랩’
‘오디너리랩’은 비주얼만큼 스토리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두 디자이너가 만나 차린 브랜딩 디자인 스튜디오. 작년 이맘때쯤 변해버린 홍대를 벗어나 그녀들이 작업실로 선택한 곳이 바로 익선동이었고, 세월의 이야기를 품은 익선동은 작업에 많은 영감을 주고 있다. 본업인 브랜딩 디자인 외에도 자신들의 재능으로 재밌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기도 하다. ‘아마추어 서울’은 관광지 없는 서울 속 주목받지 못한 곳의 여행 가이드 맵을 만들고 함께 투어를 하는 프로젝트. 아마추어 서울 2호 익선동 지도는 익선동 골목에 대한 정보가 전무해 낙심하고 있던 에디터에게 혁혁한 도움을 주었다!


 

 

요정 문화 / (1) 익선동 중간에 자리한 한정식집 `도원` 역시 요정이었다. 지금은 한정식집도 폐업한 상태. (2) 삼청각, 대원각과 함께 3대 요정이었던 `오진암`은 김두한의 단골집이자 7·4 남북공동성명을 사전 논의했던 곳이다. 지금은 이비스 호텔이 들어섰다. 다행히 오진암의 안채와 사랑채, 행랑채, 대문, 화장실 등은 부암동으로 이축되어 문화시설로 운영될 예정이다. (3) 아직도 익선동 곳곳에 남아 있는 한복집.


● 요정 문화
익선동의 분위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은 1950~60년대 한국밀실정치스토리를 간직한 요정들이다. 요정이 떠나고 없는 지금도 익선동에는 악사들이 찾았던 국악사, 여인들의 옷을 짓던 한복집과 그들을 위로하던 점집 그리고 기사들을 위한 저렴한 밥집들이 여전히 남아 그 시절의 분위기를 예측하게 한다.


]

 

 

서울에서 제일 저렴한 맛집 / (1, 2) 익선동 초입에 늘어서 있는 갈매기살 구이집. 저녁이면 술과 함께 고기를 즐기는 사람들로 붐빈다. (3) 3천원에 배부르게 먹을 수 있는 백반 전문 수련집.


● 서울에서 제일 저렴한 맛집
익선동은 옛날부터 다른 동네보다 집값이 저렴했던 덕에 타지에서 서울로 올라온 서민들이 많이 살던 곳이었다. 또 같은 이유로 가난한 지식인들도 이곳에 많이 머물렀다. 그래선지 익선동에는 유독 저렴한 맛집들이 많다. 서울 시내를 통틀어 가장 저렴한 3천원 백반집인 ‘수련집’부터 초입에 줄지어 자리한 갈매기살 구이집, 3천5백원짜리 푸짐한 해물 칼국숫집 등 곳곳에 오랜 세월 서민들을 위로해온 맛집들이 숨어 있다.


             (왼쪽) 익선동 가드너 (오른쪽) 패턴과 폰트 디자인


 

● 익선동 가드너
볼품없어진 한옥의 벽, 굳게 닫혀 있는 나무 문 앞, 여기저기 낡고 깨진 기와를 감싸고 달래는 꽃과 식물들. 푹푹 찌는 여름날에는 시원한 물을 뿌려주고 담을 타고 오르는 나팔꽃에는 끈으로 길을 만들어주는 익선동 가드너들의 손길이 골목골목 묻어 있다.

● 패턴과 폰트 디자인
1930년대 서민들을 위한 도시형 한옥에는 규격화된 패턴과 기와 형태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정통 한옥과 현대 양옥의 중간 지점에 있는 익선동을 상징하는 패턴들을 찾아볼 것! 더불어 정직한 폰트로 쓰인
옛날 간판도 요즘의 시선으로 바라봐선지 오히려 유니크해 보인다.


                      갤러리 Art Space 53 / (1) 익선동에 자리한 서울53호텔.

                      (2) Art Space 53의 전시 기획 전반을 맡고 있는 A*Lab 정유정 디렉터.

                      (3) 익선동의 분위기와는 사뭇 다른 모던한 갤러리 내부.

 


● 갤러리 Art Space 53
부티크 호텔 서울53호텔 1층에 자리한 갤러리 ‘Art Space 53’. 에이랩(A*Lab)과 협업하는 이 공간은 흔히 그림만 볼 수 있는 갤러리와 다른 자유로운 주제의 전시를 만나볼 수 있다. 최근까지는 서울을 주제로 옴니버스식의 전시를 이어왔고 앞으로 미술과 디자인, 건축 등 경계를 넘나드는 작업에 관한 전시를 기획할 예정이다. 전시마다 진행하는 작가와의 대화에는 작품에 대한 토론은 물론 다 같이 저녁을 함께 먹는 시간이 있으니 전시를 깊게 느끼고 싶다면 참여해볼 것!

중앙일보
기획 이경은 레몬트리 기자
사진 이과용(Raum Studio), 백가현(MoRi Studio)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