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은 병원에서 퇴원하여 술 마시는 호기를 부리다 혼쭐 난 날이었다.

인사동에서 숨을 헐떡이며 돌아와서 24시간동안 정신없이 쓰러져 잤다.

당분간 술과 담배를 자제할 작정이나, 생각을 따라주지 않으니, 한 낱 구호에 불과하다.



 


병원에서의 허송세월로 밀렸던 봄의 일정을 서둘러야 했다.

강진과 정선에도 가야하지만, 중간 중간 서울에서 할 일도 많았다.





그런데 곰곰이 생각해보니 그 일이 스스로를 위한 일인지,


남을 위한 일인지도 분간 되지 않고, 하지 않는다고 문제생길 일도 아니었다.

나도 모르게 길들어왔던 관습에 불과하지만,

어쩌면, 그 귀찮은 관습을 은근히 즐겼는지도 모른다.




 

16일은 한정식선생의 생신날이라 오찬모임에 가야 했다.

정영신씨를 비롯하여 최경자여사 전민조선생 등 네 분이 만나는

조촐한 자리를 예약해 두었으나, 갑자기 전민조선생께서 일이 생겨 차질이 생겨버린 것이다.

예약 인원수를 맞추느라 계획에도 없던 내가 끼이게 되었는데, 갑자기 마음이 바빠졌다.



 


최근 한정식선생 사모님께서 병원에 입원한 후로,

매년 치루어 왔던 생신 오찬회를 그만두겠다고 하셨으나,

정영신씨가 손사래를 쳐 자리를 만들었으니, 그냥 넘어 갈 수도 없었다.

더구나 나는 음식을 가려먹어야 하는데다.

불편한 몸으로 긴 시간 같이 할 수 있을지도 걱정스러웠다.




    


어떠하든, 정영신씨를 따라 나서게 되었는데,

한정식선생의 인사동 작업실을 찾아 그동안 못들은 말씀을 많이 들었다.

사모님 걱정에 심기가 편치 않은 모습이 역역했다.






지난 해 사별하여 홀로 계신 이명동선생님의 초라한 모습을 늘 안쓰러워 하셨는데,


사진가 이완교선생 까지 사별하시어, 더 힘든 것 같았다.

이완교 선생께서는 사별한 후, 그리도 구슬피 울었다는 말씀도 전해주셨다.

혼자 남는다는 외로움의 웅덩이에 빠져보지 않은 사람은 잘 모를 일이다.





오찬장인 이화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선생께서는 운동 삼아 늘 걸어 다니시는 구간이지만,

, 힘들어 택시를 타고 싶었으나 그럴 수 없었다.

식당으로 가다 테라로사에 계시던 강운구선생과 이갑철씨를 만나기도 했다.



 



그 다음 일정은 자하문로에 위치한 이안의 개관전시에 참석하는 일이다.

개관전으로 치루어지는 더레퍼런스 #1 : Asia Art Book Library였다.

한국, 일본, 싱가포르, 중국, 대만 등 아시아 5개국의 아트북 241권을

5명의 작가들이 국가별로 재해석하는 자리였는데, 나에게는 좀 생경스러웠다.





발행인 김정은씨를 비롯하여 한정식, 황규태, 박진영, 박지숙, 김다울씨 등

여러 명이 행사장에 있었으나, 전시된 다양한 출판물들만 살펴보았다.

일행들과 보조를 맞추기가 힘들어, 인사동에서 기다릴 작정으로 살며시 빠져나왔다.



 


돌아오는 길에 인디프레스 갤러리앞에서 발길을 멈추었다.

이호련씨의 'collaged image'전이 열리고 있었는데,

쇼케이스에 걸려있는 작품 한 점에 나도 모르게 문을 밀고 들어갔다



 



전시장에는 작가는 물론 안내하는 사람조차 없었으나,

혼자서 두 개 층에 걸린 작품들을 훔쳐보듯 조심스럽게 돌아보았다.



 

 

젊은 여인들의 자유스러운 동작들이 캔버스에 그려져 있었는데,

마치 사진 같은 리얼리티가 고스란히 드러나고 있다.

사실적으로 재현한 그림인데다, 관능적이고 매혹적인 아름다움에 눈을 뗄 수가 없었다,





인위적으로 연출하여 사진을 찍은 후, 그 사진을 바탕으로 그림을 그렸는데,

그 관음증적 욕망을 끌어내는 이 은밀한 엿보기는

보는 이에게 긴장감과 함께 약간의 흥분까지 불러 일으켰다.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물장난을 치거나, 작업에 몰입하거나,

누워있는 다양한 상황이 연출된 모습을 일방적으로 지켜보게 만들었다,

철저하게 시선을 유도하려는 의도가 깔려 있었다.





실제이면서도 허구이자 사실적이면서도 어딘지 추상적인 분위기가 감돌았다.


나이 많은 사내가 젊은 여인을 훔쳐본다는 생각에 이르니,

요즘 부는 미투의 휘오리에 휘말릴 것 같은 두려움마저 생겼다.



 

 

미술평론가 박영택씨는 서평에 이렇게 썼다.

작가가 그린 신체는 단지 대상의 닮음 꼴에 그친 도상,

대상의 외관에만 머무는 것이 아니라, 대상의 감각이고 대상의 신체에 해당하는데,

그것은 작가가 나름 강렬하게 감각하고 욕망화한 것, 체험한 신체의 대상화이다.

그래서 보는 이들의 신경, 감각을 다분히 건드리는 그림이 되고 있다.





그러나 그 대상은 저기에 있다.

그림 안에서 유령처럼, 환각적인 존재인 냥 자리하고 있다.

구체적인 실체이면서도 물질적 존재감 없이 몽롱하게 아른거리는 아지랑이 같은 저 존재성은

욕망의 대상이 과연 어떤 것인가를 실질적으로 방증하는 회화적 제스처로 다가온다적고 있다.


우연히 보게 된 독특한 체험의 전시였는데, 오는 331일까지 이어지는 전시다.



 


지름길인 국립고궁박물관으로 들어섰는데, 정영신씨로부터 전화가 걸려왔다.

돌아보니, 한정식 선생을 모시고 내가 가는 길을 따라 오고 있었다.

살다보면, 우연하게 통하는 일도 많다.

인사동에서 한정식선생을 배웅한 후, 유목민에 잠시 들렸다.

갈증도 풀 겸, 화장실에도 들려 잠시 쉬고 싶었다.



 


그 다음의 일정은 태국에서 귀국한 고영준씨를 만나는 일이었다.

그는 40년 지기의 사우였지만, 사업장을 태국으로 옮기고 부터

일 년에 한 번 만나기도 어려운 처지가 되었는데,

이틀 뒤 아들의 결혼식이 있어 귀국했다는 것이다.



 


사실은 주말에 강진으로 떠나야 했으나, 그 결혼식 때문에 연기한 셈이다.

그를 만난 김에 축의금만 전해주고, 결혼식은 빠질 심산이었던 것은

축의금이래야 두 사람 밥값도 미치지 못하니, 그게 나을 것 같았다.

약속장소인 멕도날드에 들렸더니, 고영준씨 뿐 아니라

오래된 사우인 유성준씨와 최성규, 김흥묵씨도 있었다.





40여년 전, 인사동에 있었던 꽃나라라는 흑백 암실에서 만나기 시작한 분들인데,

오랫동안 하는 일이 다르고, 사진에 대한 생각마저 달라,

같은 서울 하늘 아래 살지만, 좀처럼 만나지지 않는 분들이다.



 

 

그러나 우연히 만나니 반갑기 그지없었다.

그 당시 만난 많은 선배들이 돌아가셨다는 뜻밖의 소식도 접했다.





한 평생 누드를 찍어왔던 정운봉 선생을 비롯하여,

백로사진을 열심히 찍던 경찰서장 출신의 이봉하선생,

사진계 소식지를 만들어 사진인들에 돌렸던 정철용씨,

작년 까지만 해도 주말이면 인사동거리에서 망원렌즈로 사람을 찍던

이기윤씨 등 많은 분들이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들었다.


! 그렇게 한 사람 한 사람 떠나는 구나

안타깝고 허무했으나, 나 또한 멀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니 쓴 웃음이 흘렀다.



 

 

고영준씨는 태국에 살지만, 폐친이라 나의 근황을 잘 알고 있었다.

내가 카메라를 잃어버렸다는 글에 마음이 아렸던지, 자신의 카메라를 싸 들고 왔다.

난 이미 카메라를 구했고, 다른 카메라는 잘 사용하지도 않지만,

사람 사는 인정에 콧 잔등이 찡했다.



   



다들 툇마루에 가서 된장비빔밥이나 한 그릇 하자고 했는데,

술 한 잔 하자는 인사법에서 밥 한 그릇 먹자는 인사로 바뀐 것도 변화라면 변화다.

여섯명이 소주 한 병으로 끝냈는데, 겨우 반잔 밖에 마시지 않았으니, 입만 버린 셈이다.

밥값은 정영신씨가 내고 생색은 내가 내는 이 웃기는 짜장면은 또 무얼꼬?

 


사진, 정영신, 조문호 / 글,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