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28일, 동강할미꽃 축제장에서 뜻밖의 조각가 한 사람을 만났다.
귤암리 사는 지동진씨 소개로 만난 김영철씨는 이웃마을 비룡동에 산다고 했다.
이주 한지가 3년이 넘었다지만 여지 것 모르고 있었는데, 새로운 동지를 만난 것 처럼 반가웠다.

그의 작업들이 궁금해 곧 바로 비룡동 작업실에 처들어 갔다.
'불교미술조각연구소'란 작업실 외곽에는 불상들과 현대조각품들이 앉거나, 서 있었고,
작업실 두 칸에는 불교조각들과 공구들이 늘렸는데, 한 작가의 깊은 내공이 엿 보였다.

무슨 사연인지는 모르지만, 조각가 김영철씨는 혼자 살고 있었다.
산골에서 혼자 살면 외롭지만, 한편으론 자유롭겠다는 생각도 들었다.
새로움을 추구하는 작가는 외로움 보다 작업에만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거실 한 켠의 서재에 낮익은 책이 가지런히 꽂혀있었다.
일곱권으로 만들어진 도록 '한국불교미술대전'인데, 책에 실린 사진들을 필자가 찍었다.

94년 무렵, 몇 년에 걸쳐 찍은 전국 사찰 원고를 ‘한국색채문화사’로 넘겼으나,

출판사가 부도나 천만 원이 넘는 사진 원고료를 받지 못한, 사연 깊은 책이다.

동네 주민들과의 협조는 잘 이루어지냐고 물어 보았더니,

아니나 다를까 물을 내려 보내지 않아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며, 관청의 무관심이 더 의욕을 잃게 한다고 말했다.
외부와 단절되어 깊은 산속에서 살아 온 정선사람들의 오랜 배타적 습성이라며 위안했으나,

오랫동안 겪어 봤기에 그 고충이 이해 되었다.

이제 정선 비룡마을의 김영철씨 외에도 ‘그림바위’마을의 이재욱씨와

북평면 문곡리 남평분교에 작업실을 둔 이영학씨 등 정선에 거주하는 조각가가 세 사람이나 된다.
나전에 있는 ‘인형의 집’, 신동의 ‘추억의 박물관’에 이어 조각가들의 조각공원도 만들었으면 한다.

 

그리고 작가들의 작업과 연관된 장터박물관을 비롯한 다양한 작업공방들도 만들었으면 한다.

장승공방, 솟대공방, 사진방, 음악방, 문학방 등 다양한 작업실을 오픈하여

관광객들이 또 다른 정선문화를 접할 수 있도록 했으면 좋겠다.

 

'정선, 작가의 방 투어'라는 관광코스라도 만들면 어떨까?

사진,글 / 조문호

 

 

 

 

 

 

 

 

 

 

 

 

 

 

 

 

 

 

 

 

좌로부터 제주 환경원예조경연구소 김희주 소장 내외와 조각가 김영철씨 그리고 화가 정봉길씨




정영신,조문호의 ‘장에 가자’ 전람회가 이제 막바지에 접어들었다.

전시가 한 달간이나 이어져 지루한 감은 있지만, 언론사 나팔 덕택에 관람객은 꾸준했다.

 

지인이나 재방문 하신 분으로는 서양화가 문영태, 정복수, 장경호, 이길원씨 미술평론가 최석태씨

조각가 이재욱씨, 도예가 김용문씨, 시인 강 민, 김신용, 조준영씨, 시인 김수영씨 미망인 김현경선생,

‘눈빛출판사’ 이규상, 안미숙부부가 재방문 하셨고, 민속학자 심우성선생께서는 매일같이 출근하셨다.

성원해 주신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린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