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부터 22일까지 서울 인사동 노암갤러리에서
한지를 찢어서 다시 붙여 순환과 창조 표현

 

[이데일리 김인구 기자]

 

가슴앓이, 사랑앓이 등 인간의 ‘앓이’에 대한 다양한 상념이 작품으로 탄생한다.
신진 미술가 김은령이 두번째 개인전 ‘앓이, 두번째 이야기’를 16일부터 22일까지 서울 인사동 노암갤러리에서 개최한다.

‘앓이’란 인간이라면 누구나 경험하는 지독한 감정이다. 꿈이 있고 추구하는 목적이 있는 동안 인간은 행복하다고 느끼지만 그 이면에는 이를 위한 끊임없는 괴로움과 노력, 아픔도 공존한다. 김 작가가 표현하려고 하는 것은 바로 이런 인간 양면의 ‘앓이’다.

김 작가는 일상에서 접할 수 있는 모든 종이를 찢는다. 글과 낙서가 담긴 종이, 이국적인 그림이 들어있는 종이도 있다. 그러나 가장 좋아하는 것은 한국의 역사와 정서를 담은 한지다. 김 작가는 ‘찢는’ 작업으로 고통·파괴·해체를 표현하고 찢겨진 조각들을 캔버스에 붙임으로써 다시 완벽한 존재로 탄생하는 순환·창조를 그린다. 여기엔 ‘우로보로스(Ouroboros, 꼬리를 삼키는자)’란 서양철학이 숨어있다. 커다란 뱀이나 용이 자신의 꼬리를 물어 삼키는 모습이라는 뜻의 우로보로스는 고대 신화에서 나오는 상징적 형상이다. 윤회·순환·영원·무한·완벽 등의 인식이 깔려 있다.

김 작가는 “삶은 탄생과 죽음의 연속이다. 내 삶도 그러하다. 내 작업은 내 생의 무거움을 비상케하고 싶은 내 앓이의 표현이다”고 설명했다.

신진 김은령 작가 `앓이, 두번째 이야기`전 개최
김은령 ‘나비’(사진=노암갤러리)

XML

 김은령 'ARII Ⅱ 앓이, 두 번째 이야기 '
2013.10.16-10.22
노암갤러리 / 1전시실 

 


앓이, 두 번째 이야기
 김 은 령 저 · 김 동 준(이화대학교 교수) 감수



‘-앓이’에 빠진다. 무엇인가에 중독되고 헤매며 출구 찾아 부르짖는다. 갈망을 피할 길 없고 괴로움도 피할 수 없다. 가슴앓이, 사랑앓이, 중심앓이, 하늘앓이, 바람앓이, 바다앓이, 비상앓이 등 앓는 것이 많을수록 삶은 진지해지고 넓어진다고 믿는다.
내게 ‘-앓이’는 진행 중인 삶이다. 사람에게 끌리다, 나무에 꿰이다. 어떤 때는 종이와 물감에 퍼런 멍이 들었어도 내내 내 삶을 꿰어온 것은 꿈앓이다. 보물 창고 같은 어릴 적의 꿈, 그러나 다가서려해도 모래알처럼 사라지려던 상(相), 수레바퀴에 깔린 일상의 허깨비이며, 실체 없는 공상일 수도 있다. 그러나 몽상이 끊기지 않는 한, 생명의 꿈틀거림을 느끼지 못하는 한, 꿈을 꾸지 않는 사람은 없다. 나는 앓는 꿈을 나의 그림으로 꺼내는 몽상가이다
.
‘우로보로스(Ouroboros, 꼬리를 삼키는 자)’

커다란 뱀이나 용이 자신의 꼬리를 물어 삼키는 모습으로 고대 신화에서 나오는 상징적 형상이다. 수세기 동안 여러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이 상징은 시작이 곧 끝이라는 의미를 품고 있다. 윤회, 순환, 영원, 무한, 완벽, 혹은 세상의 모든 사물이 하나라는 인식이 그 속에 깔려 있다.
융(Jung, Carl Gustav : 정신의학자, 심리학자)은 우로보로스를 소멸과 생성의 관계로 풀이했다. 자신의 삶과 몸을 삼켜서 다음 삶을 비옥하게 하는 존재, 다시 죽였다가 또 다른 삶을 되풀이하는 용이 바로 우로보로스의 본질적 의미라는 것이다. 또, 이 신화적 동물은 상반된 성(姓)을 한 몸에 지닌 암수 한 몸의 운명을 타고 났다. 남성과 여성, 양과 음의 합성체인 그는 그래서 소멸시키지 못하는 것도 없고 생성시키지 못하는 것도 없다.

잠식하는 우로보로스(Ouroboros)
!
우로보로스는 내 눈을 열고 내 그림을 이끈 존재이다. 그는 강렬하게 ‘파괴와 창조 그리고 순환’의 의미를 내게 각인시켜 주었다
.
나는 틈나는 대로 종이를 찢었다. 글자가 적힌 온갖 종이를 정신 나간 듯 모아다가, 찢고 찢었다. 문자가 적힌 종이들, 내 것이든 저것이든 그것은 모두 삶이 담긴 흔적이며 소중한 삶의 기억들이라 여겼다. 그러기에 내게 종이를 찢는 행위는 삶을 ‘파괴’하는 행위이다. 그러나 종이의 재질과 결을 따라 찢어낸 조각들을 나는 다시 캔버스 위에 접착제로 붙이고 또 붙였다. 붙이는 행위를 계속하면서 나를 사로잡는 모형과 그림을 빚어내었다. 그것은 내게 ‘창조’의 의미를 띤 행위이다.

이런 나의 작업은 ‘무거움’과 ‘가벼움’을 순환한다. 무수한 삶을 안은 채 수명을 다해가는 종이는 존재의 무거움을 느끼게 한다. 하지만 파괴된 종이를 캔버스에서 재생시키다 보면 무거웠던 삶이 나의 아픔과 꿈으로 버물리면서 새로운 작품으로 태어난다. 종이에 의탁했던 과거의 삶이 다시 새로운 생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나는 가뿐함을 느꼈다.

삶은 나고 죽음의 연속이다. 내 삶도 그러하다. 그러므로 내 작업은 내 생의 무거움을 비상케 하고 싶은 내 앓이의 표현이다.

Arii ii
Written by Kim, Eun Ryung
Edited by Prof. Kim, Dong Joon (Ewha Womans University)

Be absorbed in ‘-Arii’(meant "longing" and "suffering"). Be poisoned by something and wander about where and cry out for finding an exit. Longing cannot be evaded and pain is also the same. It is believed that life is serious and broadened as much as one suffers from a lot of things such as heartburn or longing for love, sky and wind.

To me,‘-Arii’ is life in progress. When I am attached by humans and whipped by trees and even when paper and paints are covered in bruises, it is Dream Ari to whip my life. I am a dreamer putting my longing and suffering dream into my picture.

‘Ouroboros : one who swallows one’s tail, originated from Greek’

It is a feature which a large snake or dragon swallow their tail and is a symbolic shape originated from classic myths. This symbol appearing in diverse culture worlds for centuries means ‘beginning is just ending’. Samsara, circulation, eternity, infiniteness, perfectness and recognition that everything in the world is the one are included in Ouroboros.

Jung, Carl Gustav (head shrinker, psychologist) analyzed that Ouroboros is relations between creation and extinction. one who makes the next life fruitful by swallowing one’s life and body and a dragon repeating another life after killing itself again are the essential meaning of Ouroboros. In addition, the mythic animal was born under fate which has two opposed sexes in its body. It is a compound of male & female and the positive & the negative, and so can extinct and create anything.

Encroaching Ouroboros! It let me recognize the meaning of ‘destruction, creation and circulation’ strongly. I often tore paper. I collected many kinds of paper with letters like mad and tore and tore it till it reaches 'destructing'. It was thought that paper with letters was traces of life and memories of a valuable life. However, pieces torn by each material and grain of paper, I attached and attached with glue on a canvas. Continuing to do my attaching behavior, I made models and pictures which made a deep impression on me. It has the meaning of ‘creation’ to me. When I recycle destructive paper on a canvas, it is a new work by being mixed with my pain and dream in life. I felt refreshed in the process that my past life turning to paper is converted into a new life again.

Life is endless birth and death. My life is the same. Therefore, my work is expression of my Arii which I want to be relieved of the heaviness of my life.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