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궁박물관서 유물 공개전

3일부터 연말까지 전시

400년 땅 속 묻혔던 금속활자

정교한 모습 그대로 간직

1437년 세종 명령으로 만든

천문시계 '일성정시의' 부품 공개

개인화기 승자총통도 전시

ㅸ(순경음 비읍), ㆆ(여린히읗), ㅭ(리을여린히읗)…. 전시장에 들어서자 옛 한글 자모가 새겨진 손톱만한 금속 조각들이 관객을 맞았다. 지난 6월 서울 인사동 재개발구역에서 극적으로 발굴돼 화제를 모은 조선 전기 한글 금속활자들이다. 400여 년간 땅속에 묻혀 있었는데도 활자들은 주조 당시의 정교한 모습을 여전히 간직하고 있었다. 오래도록 활자들을 품고 있던 깨진 항아리만이 그 옆 바닥에 놓여 낡은 모습으로 그간의 세월을 증언하는 듯했다.

국립고궁박물관은 3일 박물관 1층 기획전시실에서 ‘인사동 출토 유물 공개전’을 개막한다. ‘인사동 공평구역 제15·16지구 도시환경 정비사업 부지 내 유적’에서 나온 한글 금속활자와 해시계 등 유물 1755점 전체를 출토 5개월 만에 일반에 공개하는 전시다. 유물을 발굴한 수도문물연구원이 박물관과 공동으로 마련했다.

전시 1부 ‘인사동 발굴로 드러난 조선 전기 금속활자’에서는 훈민정음 창제 당시 표기법으로 만들어진 한글 금속활자 600여 점(사진)을 비롯한 1300여 점의 활자를 만날 수 있다. 이 중에서도 세종 연간 갑인년(1434년)에 만든 금속활자인 갑인자(甲寅字) 48점이 특히 주목할 만하다. 1796년 3월 17일자 정조실록에 정조가 “세종조에 주조한 갑인자를 사용한 지 300여 년이 됐다”는 구절이 나올 정도로 기술적으로 완성도가 높아 오랫동안 쓰인 글자지만, 현존 실물 활자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립고궁박물관은 “당시 인쇄한 책과 활자의 서체 및 크기를 비교해 유물 중 총 304자의 주조 시기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예컨대 이번에 출토된 활자 중 ‘火(화)’자와 ‘陰(음)’자 등은 1435년 갑인자로 찍은 《근사록》과 모양이 같은데, 이를 통해 48점을 갑인자로 판명했다. 세조 연간에 만든 을해자(1455년) 42점과 을유자(1465년) 214점은 각각 《능엄경》(1461년)과 《원각경》(1465년)을 통해 연대를 확인했다는 설명이다.

전시장에서 직접 보는 활자들은 책을 찍어내기 위해 만든 만큼 육안으로는 세밀한 부분까지 확인하기 어렵다. 전시장 여러 곳에 비치된 확대경과 사진을 담은 휴대용 컴퓨터를 이용하면 자세한 모습을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조선시대 활자 주조를 담당했던 주자소의 현판과 조선시대 활자를 주조한 연혁이 적혀 있는 ‘주자사실 현판’도 전시장에 나왔다.

소일영

2부 전시 ‘일성정시의(日星定時儀)와 조선 전기 천문학’에서는 해시계와 자동 물시계 부품 등 기록으로만 전하던 국보·보물급 유물이 관객을 반긴다. 1437년(세종 19년) 왕명으로 제작된 천문시계 일성정시의는 《조선왕조실록》에 제작됐다는 기록만 남아 있다가 이번에 처음으로 일부 모습을 드러냈다. 낮에는 해시계로, 밤에는 별자리를 이용한 시계로 쓰인 도구다. 고궁박물관이 소장한 조선시대 해시계 ‘소일영(小日影)’이 그 옆에 있어 이를 참고하면 전체 모습을 가늠해볼 수 있다. 소일영의 전체 모습이 공개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 밖에 자동 물시계 부품인 ‘일전(一箭)’도 전시장에 나왔다. 직사각형에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뚫린 부품인데, 물시계에서 시간을 알려주는 인형이 작동하도록 구슬을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조선시대 개인화기인 승자총통(1583년) 1점과 소승자총통(1588년) 7점 등도 전시됐다. 김인규 국립고궁박물관장은 “국민적 관심을 감안해 작은 조각까지 포함해 출토 유물 전체를 공개했다”고 말했다. 전시는 오는 12월 31일까지.

한국경제 / 성수영 기자 syoung@hankyung.com

 

 

 

인사동에서 나온 조선 전기 한글 금속활자

인사동에서 조선 전기 금속활자 1600여점이 한꺼번에 쏟아져 나와 세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발굴 장소는 서울 종로 피맛골 뒤편, 인사동 79번지다.

그 곳은 공평구역 도시환경 정비사업을 위해 지난해 3월부터 정밀 발굴 조사를 진행 중인 곳이었다.

‘서울 공평구역 제15·16지구 도시환경정비사업부지’ 중 ‘나 지역’으로 탑골 공원과 종로 YMCA 사이다.

 

옛 한양 중심부로 조선 전기까지 경제 문화중심지인 한성부 중부 견평방에 속한 곳으로 

주변에는 관청인 의금부와 전의감, 궁가인 순화궁, 죽동궁 등이 있었다.

 

가장 눈길 끄는 건 항아리에 담긴 채 발견된 금속활자 1600여점으로 모두 15~16세기 때 만든 것으로 추정한다.

한글과 한자, 서체, 크기, 형태 등 최소 5종류 이상의 활자가 섞인 한글 활자 약 600점, 한자 활자 1000여점이다.

서지학 전문가들은 “조선 전기 금속활자가 실물로 출토된 것 자체가 처음”이라고 했다.

 

이 중에는 지금까지 최고의 조선 금속활자로 알려진 '을해자'(세조 1455년)보다

21년 앞선 ‘갑인자’(1434년)로 추정되는 한자 금속활자도 다량 포함되어 있다.

향후 연구를 거쳐 ‘갑인자’로 공인될 경우, 조선 시대 금속활자 중 가장 오래된 실물 자료일 뿐 아니라

1450년대 찍은 구텐베르크 성서보다 최소 16년 앞선 금속활자가 출토되어 세계 인쇄사를 바꿀 중요한 발견으로 주목하고 있다.

 

인사동에서 나온 금속활자 발견 당시 모습

'갑인자'는 갑인년에 세종의 명으로 만든 한자 활자로서 조선시대 금속활자의 꽃으로 불린다.

그리고 '을해자'는 1443년 훈민정음 창제 후 세조가 즉위한 을해년에 주조한 한자 활자지만,

한문 원문을 한글로 번역하기 위해 만든 한글 활자도 있다.

 

 순경음(ㅱ, ㅸ), 이영보래(ㅭ) 등 15세기에 사용된 동국정운(東國正韻)식 표기법을 따른 최고 한글 금속활자. 

그간 가장 오래된 한글 활자로 알려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활자 30여점과 같은 시기로 추정되지만,

훈민정음 창제 당시의 동국정운식 표기를 포함하고 있어 의미가 더 크다고 한다.

'동국정운'이란  훈민정음 창제 초창기인 15세기에 중국 한자를 표준음에 가깝게 발음하기 위해 쓰인 한글 자음 (ㅱ, ㆆ, ㆅ)으로

일명 동국정운식 표기 한글이다. 세종이 훈민정음에 반대하는 양반들을 설득하기 위해 본보기로 펴낸

'석보상절', '월인천강지곡' 등에도 이들 표기가 나타나는데, 이 표기법의 금속활자가 실물로 확인된 것이다.

 

물시계 부속품인 '주전'으로 추정되는 동제품

금속활자 외에도 물시계 부속 장치인 '주전', 세종 때 만든 천문 시계인 '일성정시의', 중종과 선조 때 만든 총통 류 8점,

동종 1점 등 금속 유물이 무더기로 출토되어, 지난 29일 서울 국립고궁박물관에서 실물을 공개했다.

이재정 학예연구관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활자는 조선 왕실에서 쓰이다가 일제강점기 이왕직을 거쳐 조선총독부박물관으로

이관된 것들이지만, 이번 활자들은 다른 유물과 함께 ‘출토’된 최초의 활자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했다.

인사동에서 나온 총통

발굴조사를 맡은 수도문물연구원 관계자는 "건물터 형태가 매우 특이하다"며

"관이 지은 건물은 아닌 듯하고, 평범한 일자형 혹은 ㄱ자형 창고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수습한 유물이 일반 민가에서 소유할 만한 물건은 아니라는 점에서 출토 위치가 상당히 미스터리"라고 덧붙였다.

 

물시계의 중요 부품인 주전. 처음 확인되는 실물이다. 

그리고 "도기 항아리를 기와 조각과 작은 돌로 괸 것을 보면 인위적으로 묻은 정황을 알 수 있다"며

"제작 연대를 알 수 있는 유물 중 화포인 소승자총통이 1588년에 만들어져 가장 늦은 편인데,

1588년 이후 어느 시점에 한꺼번에 묻었다가 잊혀져 다시 활용하지 못한 것 같다"고 추정했다.

"구리는 조선시대에도 비싼 금속이었다"며 "유물을 값나가는 물건으로 인식했는지,

활자를 제외하고는 모두 같은 크기로 토막나 있었다고 한다.

 

인사동에서 나온 일성정시의

전문가들은 유물 매장 상황을 봤을 때 누군가가 금속품을 모아 고의로 묻었고,

나중에 녹여서 다른 물건으로 만드는 '재활용'을 염두에 뒀을 가능성이 있다고 추정했다.

 

일성정시의 및 동종 출토 모습 

문화재청 관계자는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누군가가 유물을 모아 폐기했을 수도 있다"며

"금속 유물을 무더기로 묻은 이유는 추가 연구를 통해 밝혀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글 : 조문호, 사진 : 문화재청 

 

인사동 금속유물 출토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