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영준씨 자당 임화녀씨(83세)가 지난 10월31일 갑작스레 돌아가셨다.

평소에 지병이 있는 것이 아니라 저녁 식사를 한 후, 속이 매스꺼워 체한 줄 알았다고 한다.

날이 밝으면 병원 갈 작정에 잠자리에 들었는데, 아침에 병원 가려다 심경경색으로 운명하셨단다.

 

처음 119를 불렀더라면 회생하실 수 있었을텐데, 얼마나 애석하겠는가?

멀리 떨어져 사는 자식의 입장으로서는 통탄 할 일이 아닐 수 없었다.

비보를 받은 상주 고영준씨가 태국에서 돌아오는 일도 간단한 일이 아니었다.

하루에 한 번밖에 없는 비행기를 어렵사리 탔으나, 검역으로 공항에 묶일 수밖에 없었다.

복잡한 절차를 마치고 장례식장을 찾아오니, 발인 준비를 해야 할 시간이 되어버린 것이다.

 

요즘 코로나 때문에 사람 모이는 곳은 잘 가지 않지만, 고영준씨 상가에는 가지 않을 수 없었다.

고영준씨는 오래 전부터 동생처럼 지낸 가까운 지기인데다, 자상한 모친을 두 차례나 뵌 적이 있었다.

 

부음을 받은 지난 1일 오후 일곱시 무렵에서야 장례식장이 있는 상계백병원으로 달려갔는데,

상주 역시 늦게 장례식장에 도착해 염하러 갔다며 자리를 비웠다.

 

그런데, 고영준씨 부친이 살아계신다는 것도 그 날 처음 알았다.

평소 가족이야기를 잘 하지 않아 홀어머니 슬하에 자란 줄만 알았다.

장례장식장에서 아버님 고동석씨를 처음 뵙게 되었는데,

갑자기 당한 사연에 기가 막히는 지 눈물이 마르지 않았다.

 

즉각 병원에 못 데려간 것이 얼마나 한이 되며,

혼자 여생을 보낼 일은 또 얼마나 막막하겠는가?

 

더구나 아버님은 한국전쟁에 참전한 국가유공자로 국립묘지에 안장되어야 하는데,

아버님이 돌아가실 때까지 어머니 유골이 다른 묘역에서 기다려야 된단다.

돌아가신 어머님보다 살아계신 아버님의 여생이 더 가슴 아팠다.

 

부디 어머님의 극락왕생과 함께 아버님의 편안한 여생을 빕니다.

 

발인 ; 2020년 11월 2일 오전8시

장소 : 수원연화장

 

배우자 : 고동석,

아들 : 고영준, 고영재, 고영기

며느리 : 한선혜, 이유영

손 : 고병수, 고병욱, 고수연

 

장례식장에는 오래전에 함께 했던 사우들이 하나 둘 모여들었다.

인사동에 있던 ‘꽃나라’라는 흑백현상소를 매개로 어지간히 어울려 다닌 벗들이다.

정영신씨를 비롯하여 하상일, 정용선, 이혜순, 김종신, 목길순씨가 차례대로 나타났는데,

옛날에는 ‘진우회’가 아니라 ‘진로회’라 부를 만큼 애주가들이 많은 사진모임이기도 했다.

 

그런데 독신녀로 살아 온 이혜순씨가 몇 년 전부터 사진을 그만두었다고 한다.

얼마나 사진에 대한 한이 많았으면, 남아 있는 사진은 물론 필름까지 모두 불태웠겟는가?

그 긴 세월 동안 기록해 온 숱한 자료들이 전문가의 검증 한번 없이 사라진 것이다.

 

어디, 이혜순씨만의 일이겠는가?

천덕꾸러기로 처 박혀 있던 필름들이 당사자가 죽으면 대개 버려진다는 사실이다.

소중한 사료들이 안타깝게 사라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

정부와 민간기구가 협력하는 사진아카이빙기구 설립이 절실하다.

 

김종신씨는 캠핑카를 마련하여 전국 유랑에 나섰다고 했다.

숙식을 해결해 주는 캠핑카는 대개의 사진가들이 꿈꾸던 선망의 차가 아니던가?

장례식장 밖에 세워두었다기에, 문상이 끝 난 후 차 구경하러 갔다.

 

6천만원이라는 차 값에 비해 편의성이 좀 떨어지는데, 

침대를 줄여서라도 일할 수 있는 집무공간을 늘렸으면 좋겠다.

전국을 돌아다니는 사진가들에게 꼭 필요한 차였다.

 

80년대 초반 ‘진우회’에서 활동하던 맴버들이 이제 세상을 떠난 분도 더러 있고,

소식 끊긴 사우가 많았다. 연락되는 사우들도 이제 퇴역이 되어 뒷전으로 밀려났다.

다들 건강을 잘 지켜 최후의 일각까지 세상을 기록했으면 좋겠다.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