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정식선생의 사진 산문집 ‘마구간 옆 고속도로’가 ‘눈빛출판사’에서 나왔다.

초창기 사진으로 엮은 ‘사라지는 풍경, 사라진 풍물’이라 부제를 단 산문집에 눈이 번쩍 띄었다.

‘북촌’과 ‘흔적’에 이어 사진의 기록성에 초점을 맞춘 작품집으로는 세 번째인데,

50여년 전의 도시풍경으로 구성된 사진 산문집이었다.

 

된장이나 와인처럼 세월에 의해 숙성된 사진이라

보면 볼수록 아련한 추억을 불러일으키며, 마음이 따뜻해졌다.

성남의 허허벌판에 들어 선 복덕방들이나 포니 승용차에 무탈하길 빌며 고사 지내는 장면 등

요즘 젊은이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장면의 사진도 많았다.

칠순이 넘은 나 역시 리어카에 사진관 배경 막을 실고 다니는 장면은 처음 보았다.

사진 기록성의 가치를 다시 한 번 절감한 것이다.

 

당시의 상황이나 사진에 대한 이야기로 엮은 산문 읽는 재미도 솔솔했다.

서울대 문학도였던 선생의 글 솜씨야 모르는 사람이 없지만,

감칠맛 나는 산문이 사진의 품격을 더해주었다.

더구나 선생께서 투병 중에 집필한 글이라 더욱 가슴 시리다.

 

사진이나 글이나 한 치의 허점도 용납하지 않는 선생의 빈틈없는 성격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었다.

이 산문집도 편집자 실수로 사진 한 장이 빠져 다시 찍었다고 한다.

 

 

그 사진들을 살펴보며 예술사진에 밀려난 기록의 한국 사진사를 다시 되돌아본다.

초창기에 활동한 원로사진가들은 대부분 기록에 초점을 맞추셨다.

임응식선생의 생활주의 리얼리즘에 이어 ‘세계적인 사진전 ’인간가족전‘ 유치와

사진평론 하셨던 이명동선생이 관여한 ’동아일보‘ ’동아사진콘테스트‘ 바람에

스트레이트한 사진이 날개를 달았던 때다.

 

주명덕선생의 ‘혼혈아’나 최민식선생의 ‘인간’ 등 리얼리즘 사진이 주도했지만,

사진 본연의 기록성이 예술이란 겉멋에 현혹되어 어떻게 하면 그림을 닮아갈까 고민하던 시기이기도 했다.

작가의 주관도 없는 아름다운 풍경사진에만 매달리는 수많은 아마추어를 양산한 것도 모두 그 때문이다.

제대로 된 사진가 없는 공룡 집단 ‘사협’의 존재가 그 대표적이다.

 

한정식선생께서도 일본에서 사진유학 한 후

'중앙대' 사진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리얼리즘사진과 결별하게 된다.

선생의 깨우침에 의한 ‘고요’라는 주제에 천착해 일가를 이루었으나

리얼리즘 사진에서 보면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어디 한정식선생 뿐이겠는가? 주명덕선생도 어두운 톤의 풍경사진으로 바뀌지 않았던가?

일관되게 작업해 온 최민식선생의 '인간'이나 김기찬선생의 ‘골목안 풍경’이

그런대로 우리나라 대표적 리얼리즘 사진으로 남았다.

 

물론, 예술사진에 대한 집착이 사진의 다양성에 기여한 바는 크지만,

세월이 흐르면 또 어떻게 바뀔지는 아무도 모른다.

지금도 우리나라 사진사에 주명덕선생의 풍경보다 ‘혼혈아’가 먼저 오르고,

한정식선생의 ‘고요’보다 ‘북촌’이 호출되는 것이 무엇을 말하는가?

오죽하면 사진의 기록성을 가장 중요시하는 ‘눈빛’ 이규상대표가 출판을 위해 보내 온

한정식선생의 사진원고를 보며 “최고의 역작”이라 감탄했겠는가?

 

아직까지 사진작업의 방향을 정해지 못했거나, 갈팡질팡하는 사진인이 계시다면

다시 한 번 현실적 기록성에 주목하기 바란다.

하기야! 입에 풀칠이라도 하려면 예술로 포장해 사기를 쳐야 살아남지...

 

한정식선생의 산문집 ‘’마구간 옆 고속도로‘를 강력하게 권합니다

책값은 18,000원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