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카펫-가족공동체의 욕망
박재철展 / BAKJAECHOL / 朴在喆 / painting
2020_0818 ▶ 2020_0830
박재철_붉은 카펫_한지에 먹, 채색_200×560cm_2020
●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네오룩 아카이브 Vol.20180627e | 박재철展으로 갑니다.
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관람시간 / 12:00pm~06:00pm
갤러리 더플럭스
gallery the FLUX
서울 종로구 윤보선길 28(안국동 63-1번지) 2층
Tel. +82.(0)2.3663.7537
아파트 단지 속 나무는 가지와 뿌리가 절단되고 심어진다. 아마도 운반의 편리와 아름답게 보일 목적으로 다듬어졌을 것이다. 아이러니한건 이렇게 상처 낸 나무를 다시 살아나게 하려고 천을 감고 쓰러지지 않게 버팀목을 지지하고 영양제를 꽂아 놓는 일이다. 아이러니로 서있는 처참한 나무에서 강요된 삶을 살아온 인간의 욕망과 상처를 보았다. 상처투성이 나무에서 봄날 화사한 꽃을 보려고 인간은 얼마나 처절한 노력을 하는가. 나무는 그 꽃을 피우기 위해 얼마나 고통스럽고 아팠을까.
박재철_붉은 카펫_한지에 먹, 채색_200×560cm_2020_부분
박재철_붉은 카펫_한지에 먹, 채색_200×560cm_2020_부분
결국 그렇게 핀 꽃은 예쁘게 포장된 가식이자 인간의 탐욕이자 불가능 없는 자본의 힘일 것이다. 미술이 동시대와 자신이 속한 사회를 표현하는 시각예술이라면 내 회화는 시대나 사회보다는 철저히 개인을 표현하는데서 출발한다. 각 개인들은 어떤 사회적 문제나 이슈에 공감하게 되는 동기나 시작은 각자의 환경에서 비롯하기 때문에 매우 독자적이고 특별한 형태로 출발한다. 인간은 살아가면서 어떤 개별적 체험이나 경험을 통해 축척된 인식으로 세상을 바라보며 판단하기 때문이다. 개인의 상처나 트라우마 또는 행복감 같은 문제는 개인이 속한 사회와 아무런 관계가 없어 보이지만 사회적 관습이나 규범 등에 어떤 방식으로든 반사되어 결국 개인에게 나타나는 문제이다. 아무리 개별적 인식이더라도 다른 개인들과 동시대 사회에서 마주하는 문제는 어떤 형태의 집단 이슈로 드러나는 지점(사회화)이 있는데 인간은 자신이 속한 사회의 관습이나 룰에 무의식적이든 또는 의식적이든 갇혀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사회화된 문제나 이슈는 강력하게 실재하지만 그림자처럼 실체하지는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나는 사회적 문제로 드러나기 이전의 차별화된 개인의 모습인 실체에 집중한다. 가족이라는 집단은 개인에게 소속감으로 삶을 안정시키지만 관습화된 가족형태는 개인에게 어떤 역할을 강요한다. 가족공동체의 지나친 의무감은 화단에 잘린 체 심어진 나무처럼 개인적 삶을 크게 거세시키는 형태로 드러나기도 한다. 시간은 지나도 시간을 기억하지 못하고 사건만이 기억될 뿐 깊게 베인 상처는 시간의 아득한 흐름 속에서도 좀처럼 희미해지지 못하고 뚜렷이 기억된다. 나는 이런 가족공동체의 욕망이 남긴 아물지 않은 상처를 회화의 주제로 다루어왔다
박재철_봄은 아프다_화선지에 먹, 채색_130×162cm_2016~20
박재철_본디 나비는 꽃을 좇지만 이 나비는 무엇을 좇는지 알수 없다_한지에 먹, 채색 91×116cm_2018~20
이번 전시 『붉은 카펫』은 가족 공동체의 욕망 중에서 '결혼'에 대한 생각을 다루었다. 아무런 조건없이 사랑만으로 이루어지는 결혼이 있을까? 모든 것들을 포용하고 받아들이는 두 사람의 결합이 과연 가능할까? 불가능하다. 그래서 서로의 욕망을 확인하고 상대가 나에게 어떤 이득이 있을까 셈을 해본다. 솔직히 상대가 어떤 걸 원하는지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 그보다 내가 원하는 것을 상대가 어떻게 받아들여줄지가 확실히 중요하다. 서로의 욕망을 채워주자는 약속 어쩌면 이런 욕망의 약속이 결혼이 아닐까. 내가 기억하는 동물의 세계는 종족번식을 위해 짝짓기를 하지만 인간의 사회에서는 종족번식의 우수성보다 개인의 이기적 욕망을 충족시켜주는 우수성이 짝짓기에 더 결정적이다. 인간은 욕망하지 않는 한 존재할 수 없다. 인간은 왜 그토록 끊임없이 욕망에 순교적일 수밖에 없는가. 갈망하는 욕망에 대한 순교의 끝은 무엇일까를 결혼이라는 사회적 관습의 문제를 회화로 표현하려고 했다. 나는 절대적인 문제나 학습된 지식은 신뢰하지 않는다. 내가 신뢰하는 지점은 몸이 반응하여 직접 체험된 즉 오감에 의해 육체와 접촉된 사건들과 사건의 반복과 연속성 속에 몸에 축적되고 사유된 일련의 인식이다. 이렇게 축적된 인식으로 『붉은 카펫』-가족공동체의 욕망을 이번 전시에서 담아냈다. ■ 박재철
Vol.20200818b | 박재철展 / BAKJAECHOL / 朴在喆 / painting
'인사동 정보 > 인사동 전시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정이展 '사랑꽃-양귀비' (0) | 2020.08.28 |
---|---|
默堂 박병배展 (0) | 2020.08.28 |
제주의 빛깔을 머금은 오기영씨의 ‘제주, 시간을 입히다’전 (0) | 2020.08.12 |
[전시안내] 정명희展 ‘농묵에 함축시킨 이미지의 변주’ (0) | 2020.08.09 |
성순희展 "HARMONY OF LIFE" (0) | 2020.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