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날따라 장대비가 쏟아졌다.

혜화역 1번 출구로 나오라는 지령에 따랐는데,

먼저 온 사람들은 신발가게 앞에서 비를 피하고 있었다.

 

다들 우산을 받쳐 들고 기국서씨를 따라갔다.

학림다방 옆길을 돌아 ‘청춘포차’에 안착했다.

 

기국서, 최정철, 박준석, 김문생, 권영일, 목수김씨가 먼저 자리 잡았고,

뒤이어 박근형, 정재진씨가 왔다. 이차에 간 ‘틈’에서는 기주봉씨도 합류했다.

 

다들 연극판에서 한 가닥 하는 분이었다.

술자리에 둘러앉은 분위기가 마치 쿠테타 모의하는 것 같았다.

 

평소 예술의 전당 개혁을 부르짖는 박준석씨는

예술의 전당에 어찌 예술가가 없냐고 목소리를 높인다.

 

그곳만이 아니라 전국 공연장 문제점으로,

개선을 위한 대책과 예술가들의 연대도 절실했다.

 

최정철씨는 붕어빵식으로 열리는 축제들을 탓했다,

그 곳만의 색깔을 가져야 한다며 대안도 말했다.

 

무사안일주의인 예술담당 공무원들의 문제도 있지만,

그들을 설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접근을 달리 하라는 등,

예술계 전반의 고질적인 문제점이 나왔다.

 

두 번째로 따라 간 곳은 ‘틈’이란 술집이었다.

LP판이 벽을 채운 음산한 구석에 기주봉씨가 기다리고 있었다.

 

이미 술기운이 올라 분위기는 무르익었다.

기국서씨의 표정에 비장감이 감돌았다.

 

술 취한 독특한 비장감은 그만의 캐릭터다.

당장이라도 판을 갈아엎을 그런 분위기다.

 

시간이 지나니 한 사람 두 사람 일어서기 시작했다.

술이 취해 나 역시 일어날 수밖에 없었다.

 

추적추적 내리는 비를 뚫고, 어떻게 왔는지 모르겠다.

그 이튿날 온종일 쥐약 먹은 듯 비실비실 방구석을 기었다.

 

뒤늦게 들었지만, 기국서씨도 무탈하지 않은 듯했다.

 

노장은 그냥 죽지 않는다. 다시 음모를 꾀한다.

 

그 날 기국서씨가 던 진 말이 기억난다.

“예술이기 전에 사람이 되어야한다”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