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임인식선생

임인식(林寅植)(1920~1998)선생은 평북 정주 출생으로, 1949년 육군사관학교(8기)를 졸업했다.

52년 육군 대위로 예편하기까지 국방부 정훈국 사진대에 투입된 한국전쟁 최초의 종군기자다.

 

1959년 인사동 사진전문갤러리 '신한화랑' 개관식에 참석한 사진계인사, 왼쪽 4번째가 이경모선생, 다섯번째가 임인식선생, 일곱번째는 이해선선생, 열번째가 성두경선생

예편 후에는 ‘대한사진통신사’도 설립했고,

해방 직후에는 용산 삼각지 부근에서 ‘한미사진기’점을 운영했으며

1959년에는 인사동에서 사진전문화랑인 ‘신한화랑’을 개관하기도 했다는데,

사진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에서 선구자 역할을 한 분이다.

 

1953년, 인사동 '청조다방' 앞에서 기념촬영

누구보다 기록을 중요시했던 임인식선생은 고향인 정주에서 포목점과 무역업을 하는

부유한 집안에서 자라 일찍부터 사진 활동을 했고, 1944년 서울로 이주했단다.

조선경비대 창설식, 대한민국 정부 수립식 등 정부 주요 행사를 비롯한

당시의 역사 현장을 사진으로 기록해 왔다.

 

1955년 인사동

1950년 한국전쟁이 터지자 국방부 정훈국에 사진대(隊)가 긴급 편성되었는데,

당시 중위였던 임인식선생께서 사진대장을 맡았다고 한다.

총 대신 카메라를 들고 참혹한 전쟁 발발부터 정전회담에 이르기까지

한국전쟁의 주요 국면들을 생생하게 기록한 것이다.

 

1953년 폭격을 맞은 서울 재동국민학교 앞에서..

그의 임무는 사진대를 이끌고 군이 주둔하는 도시마다 사진관을 접수한 뒤,

필름을 현상해 국내외 언론사를 통해 전황을 전하는 일이었다.

‘밀리터리 포토(Military Photo)’ 명패를 단 지프를 타고 일선에 투입되었는데,

1950년 7월 10일 충남 연기군 전의면 부근에서 촬영한

손이 뒤로 묶여 학살된 미군 사진은 미국 전역을 분노로 뒤집히게 했다.

 

1950년 서울, 소실된 보신각

1950년 8월 경북 월성에서 촬영한 안강·포항전투에 투입되는

교복 입은 학도병들의 출병 사진은 학도병 모습을 대표하는 사진으로 꼽힌다.

'인천상륙작전'을 통해 서울을 수복하던 순간에도, 북진하는 국군을 따라

평양을 거쳐 압록강까지 올라갔다가 중공군의 개입으로 후퇴하던 순간에도,

정전회담의 순간에도, 항상 그가 있었다.

 

1953년 청계천 범람으로 침수된 종로

1952년 육군 대위로 예편한 그는 한국의 ‘매그넘’을 목표로

국내 최초의 사진전문 통신사인 ‘대한사진통신사’를 설립하였으며,

정부 행사를 포함한 삶의 현장을 촬영해 정부 및 해외 언론에 제공했다.

1953년부터는 육군본부에서 유엔 참전국에 배포한 영문판 사진화보집 ‘육군화보’

제작을 맡아 전쟁을 극복해나가는 대한민국의 위상을 세계에 전하기도 했다.

 

1953년 종로의 전차행렬

사진에 대한 열정은 그로 끝나지 않고 아들 임정의씨와 손자 임준영씨로 이어졌는데,

두 살 위인 숙부 임석제(1918-1994)선생을 더한다면 4대째 사진을 이어 온 명문 사진집안인 셈이다.

아들인 임정의씨는 1973년 ‘코리아헤럴드’에 입사해 사진기자로 활동했으나,

건축가 박수근씨를 만나는 것을 계기로 건축사진가로 활동하였다.

그리고 손자 임준영씨는 2004년 샌프란시스코 AAU에서 광고사진을 공부하고,

뉴욕 SVA에서 디지털사진으로 석사학위를 받기도 했다.

 

1950년, 폐허가 된 서울시청 인근

임인식선생께서 5, 60년대 산업화 이전의 서울 풍경을 찍었다면,

임정의씨는 8, 90년대 급격하게 변모해 가는 서울을 촬영했다.

흑백사진에서 컬러사진, 그리고 디지털사진으로 이어진 사진 집안의 내력이다.

 

1955년, 종로

기록을 중요시하는 임인식선생의 빠짐없이 쓴 일기에는

당시의 카메라 시세를 알 수 있는 자료도 상세히 적혀 있었다고 한다.

“1939년에 일본제품인 럭키카메라를 27원에, 1940년 일본제 세미미놀타 카메라를 32원에,

1941년에 독일제 롤라이코드를 130원에 구입했다고 한다.

그리고 당시 집 한 채 가격에 맞먹는다는 라이카3F를 구입해 애지중지했다고 기록되었단다.

 

1954년 서울뚝섬(지금의 건국대 부근) 채소밭

또 한 가지 중요한 것은

1959년 인사동에 국내 최초의 사진전문화랑인 ‘신한화랑’을 개관하였고,

한국사진협회 창립에 참여하여 감사를 맡는 등,

우리나라 사진 문화와 사진 아카이브 개념 정립을 선도하였다는 점이다.

 

1956년, 서울 가희동 도로 포장공사

그러나 선생께서는 5.16 군사 쿠데타가 일어 난 후 은거하다 미국으로 이민하셨다.

1998년 건강에 이상이 생겨 귀국하여 서울에서 타계하셨다.

대개 대표적인 국내 종군사진기자로 임응식, 이경모, 이명동선생 등의 원로 분을 떠올리지만,

그 보다 사진대장이었던 임인식선생이 계셨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1950년 국군 위문공연

벌써 한국전쟁 일어난지가 70년이 되었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는 미래가 없다“는 말을 되세겨본다.

기록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인식하게 한다.

 

사진, 글 / 조문호

 

1950년, 무기를 지고 가는 민간 부역자들
1951년, 1,4후퇴에서 청천강을 건너는 피난민
1950년, 맥아더 장군과 정일권 장군
1950년, 경북 안강, 학도병들이 전선으로 나가며..

종군기자로 참가한 영국 처칠의 아들 랜들프 처칠과 임인식 기자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