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역에서 29 오전 열시에 출발하는 창원행 열차를 탔다.

은평역사한옥박물관학예연구사 이 랑씨를 비롯하여 정영신, 김명성씨와 함께한 자리였다.

 

조선말부터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까지 근현대사 백 년을 서예와 그림에 녹여낸

'자화상II 나를 보다' 전시 보러 경남도립미술관에 들리기 위해서다.

 

이 전시에 김명성씨가 소장한 항일우국지사 작품이 다수 걸리기도 했지만,

은평역사한옥박물관독립자료전 준비를 염두에 둔 관람인 것 같았다.

 

코로나19로 열차 좌석 배정이 띄엄띄엄 배치된 격리신세라 좀 그랬지만,

오랜만의 기차여행인데다 마산은 청춘 시절을 보낸 2의 고향이나 마찬가지라 감회가 남달랐다.

그 곳은 그리운 벗들이 많이 사는 곳이기도 하지만,

39사에서 신병훈련도 받았고, 아들 햇님이가 태어난 곳이었다.

 

결핵성복막염 수술을 잘못받아 죽을 뻔 했던 일,

교사들이 대마초 피웠다는 헤드라인으로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든

사건아닌 사건에 엮여 잡혀가는 등 수난의 일도 많았다.

 

또 하나 잊을 수 없는 일은 부산에서 운영하던 음악실을

마산 오동동으로 옮겨 바람개비를 돌렸는데, 문을 열자말자 손님이 미어터졌다.

취미로 시작된 음악실도 돈이 될 수 있었는데, 돈 버는 일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었다.

 

하루를 마다하고 싸움판이 벌어 지는가하면,

깡패들이 난입해 음악실 통유리를 깨는 등, 폭력이 난무했다.

지방 텃새인지, 시샘인지는 모르겠으나, 부산과 마산의 수준 차이였다.

아마 내 얼굴을 장식한 수많은 주름살도 다 그 때 생긴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그리고 제목과는 달리 쓴 고배를 마시게 한 감격시대

마산 생활에 종지부를 찍고 사진에 전념하게 만들 줄이야 어찌 알았겠는가?

잊으려 해도 잊을 수 없는 수많은 일들이 차창으로 주마등처럼 스쳐갔다.

 

세 시간 남짓 달려서야 창원역에 도착했는데, 창원의 김의권씨가 나와 주었다.

낙지비빔밥으로 식사를 해결한 후 경남도립미술관으로 향했다.

 

작년 3월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에서 열릴 때 보지 못한 전시를 창원까지 와서 보게 될 줄이야...

경남도립미술관은 코로나에 지친 도민을 위해 입장료도 받지 않았다.

 

자화상II-나를 보다전은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을 맞아,

글씨와 그림, 사진 등 독립운동을 위해 남긴 각계 기록을 예술적, 역사적 관점으로 풀며,

100년의 우리 역사를 서화로 돌아보는 전시였다.

 

예술로서의 독립 문제를 화두로 근현대 변혁기의 예술 활동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그리고 예술의전당 전시와는 달리 영남이라는 지역적 특성을 고려하여

문 신, 하인두씨 등 지역 작가도 다수 포함시켰는데,

독립운동의 흐름과 맥을 끊는 잘 못된 시도라는 평가도 따랐다.

 

 역사의 도도한 흐름 앞에 치열하게 때로는 처연하게 살아 낸 인간의 의지가 작품으로 승화되고 있었다.

 

전시작품 중에 시선을 끄는 것은 구한말 초상화거장 석지 채용신이 그린 초상화였다.

 

고종 어진을 비롯하여 의병장 최치원 등 항일우국지사들의 초상이

동일 규격의 극세필기법으로 그려졌는데,  초상화 제작 자체가 독립운동에 기반하고 있다는 점이다.

 

전시를 관람한 후, 김종원 관장실에 안내되어서는 물고문을 받아야 했다.

녹차만 따라주었는데, 자판기커피 맛에 길든 나로서는 고문도 그런 고문이 없었다.

 

어디를 가나 지방 미술관장의 어려움은 지역작가와의 마찰이었다.

대개 지역 작가들 전시를 원하거나 지역화단의 단체전을 요구한단다.

기획 의도나 작품수준이 중요하다는 것도 모르는 우물 안 개구리들인가?

 

관장실에서 나오니, 화가 전인경씨와 동생 전인미씨가 뒤늦게 도착했다.

다들 마산 창동으로 자리를 옮겨 화가 이강용씨 작업실에 들렸다.

 

화가가 그림 그릴 일 밖에 없겠지만, 오랜만에 가보니 많은 작품을 그려 놓았더라.

고인돌 형상의 오래된 작품들은 보았지만, 새로 그려진 작품도 많았다.

 

무채색의 산 능선 같은 미완의 작품도 눈에 띄었지만,

결정적인 작품은 84년도에 그린 오래된 작품이었다.

유령이 코로나로 환생했다면, 눈 어두운 자의 착각으로 여길까?

 

 나를 친형처럼 보살펴주는 이종호씨가 준비해 둔 선창가 어느 횟집에 갔더니,

이종호, 이종재, 이성배씨 등 이씨 문중의 세 사람이 나타났다.

 

너무 반가워 정신 없었는데, 준비된 음식도 여간 아니었다.

아이구야! 이걸 어찌 다 먹는단 말인가?

자연산 밖에 없다는 줄 돔이 줄줄이 자빠졌고, 갖가지 해산물은 맛보기였다.

 

특히 잊을 수 없는 맛은 마산 특산물 미더덕이었다.

다른 미더덕과 달리 조그마한데, 된장국의 미더덕을 터트려 먹던 어린 시절이 떠 올랐다.

 

그 날 처음 먹어 본 고추장양념에 무쳐놓은 미더덕 맛도 일품이었지만,

줄돔 구이는 둘이 먹다 한 놈 죽어도 모르겠더라.

 

딱딱하게 굽힌 줄돔 껍질이 얼마나 맛있는지, 혓바닥이 생 지랄을 떨었.

천한 입맛 수준을 한껏 높여놓아, 앞으로 살아갈 일이 막막했다.

 

그 뿐 아니라 여인숙이나 찾는 촌놈을 호텔에 집어넣어, 날 샐까 두려웠다.

이튿날 복국으로 해장까지 했으니, 원도 한도 없이 먹은 셈이다

 

 종호씨! 고마워요.

이 원수를 살아생전 갚을 수 있을지 모르겠다.

 

 

사진 : 정영신, 조문호 /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