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의 집 The house of souls


황인란展 / HWANGINRAN / 黃仁蘭 / painting
2019_0403 ▶︎ 2019_0416


황인란_영혼의 집-바람을 담다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50×60.6cm_2019

●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네오룩 아카이브 Vol.20160922h | 황인란展으로 갑니다.


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관람시간 / 11:00am~06:00pm



갤러리 그림손

GALLERY GRIMSON

서울 종로구 인사동10길 22(경운동 64-17번지)

Tel. +82.(0)2.733.1045

www.grimson.co.kr



순수와 아름다움을 지닌 얼굴 ● 그림이 무척 서늘하다. 캄캄하고 짙은 배경을 뒤로 물리고 꽃과 나뭇잎이 무성한 풍경이 병풍처럼 자리하고 있다. 전면에서 인공의 조명이 강렬하고 환하게 비추는 듯하다. 그 어딘가에 젊은 여자의 측면상이 주로 박혀있다. 비교적 깨끗하고 예쁜 여자의 얼굴은 다소 어둑하게 가라앉아있는 듯하다. 우울하다고나 할까 혹은 알 수 없는 근원적인 비애감 같은 것이 뼈 속까지 스며든 눈빛이다. 하여간 저 얼굴에서는 인간이 몸에서 풍기는 비릿함이 가셔져 있다. 무표정인지 혹은 모든 감정을 죄다 소진시킨 상태를 보여주려는지 알 수는 없다. 그러나 동시에 여성성을 품고 있는 고혹적인 표정이기도 하다. 청순함과 가련함 등의 다소 상투형 수사를 동반하는 표정 말이다. 한국 현대미술사에서 저와 같은 여성의 얼굴 표정은 비교적 익숙하게 형상화되어 왔다. 마치 영원할 것처럼 부동의 자세를 취한 여자의 몸 가까이에는 부산하고 급박한 새의 놀림이 배회한다. 그것은 적막을 깨고 정적인 화면에 문득 활력을 심어주는 편이다. 후경으로 밀려난 자연풍경과 그 앞에 자리한 여자의 육체 사이에 유일한 움직임을 만들어 흔들고 있다. 환청처럼 새의 울음과 날개짓 소리, 그로인해 바람이 갈라지는 파동이 들릴 것도 같다. 식물성과 동물성, 지상에 저당 잡힌 존재와 자유로운 비상의 존재, 화려한 꽃의 자태와 기하학적인 옷의 패턴, 뜨거운 색과 차가운 색, 물감과 연필 등 황인란의 화면은 다분히 이원적인 요소들 간의 길항과 긴장감이 팽팽하다. 그것은 순간 흔드는 것은 여자의 눈/눈빛과 그에 어울리는 표정이다. 저 눈빛과 시선은 특정 대상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피하는 시선이거나 모든 것으로부터 초월하고자 하는 시선과도 같다. 낮게 내려 깐 눈이거나 슬쩍 감은 듯한 혹은 어딘가를 응시하지만 실은 아무것도 보지 않은 그런 눈이다. 생각이 너무 많은 눈이거나 외부에 의해 견인되는 것을 두려워하는 눈빛, 아니면 오로지 자신의 내면으로 침잠하는 가늠하기 곤란한 시선이다. 깊이를 알 수 없는 구멍 같은 눈!


황인란_영혼의 집-선악의 저편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162.2×130.3cm_2018


캔버스에 아크릴릭과 연필을 이용해 공들여 그린 이 지극한 그리기는 우선 그림의 가장 기초적인 소묘에 충실하다. 작가는 재현의 능력과 기술을 유지하면서 이를 아주 납작하게 화면에 밀착시켰다. 원근이나 거리감이 뭉개진 화면은 매우 평면적이 되면서 주로 선묘적인 테크닉에 의한 기량을 만끽시킨다. 캔버스에 아크릴릭으로 물감의 층이 얇게 올라간 후에 그 피부 위를 다시 연필로 규칙적이고 일사분란하게 움직여 차곡차곡 쌓아가는, 덮어가는 선의 궤적은 정교하면서도 낯설다. 이 둘의 조화는 과연 얼마나 효과적일까? 그런데 이는 작가의 성향에 기인해 보인다. 붓질에 의해 마감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해내지 못하는 영역, 충분치 못한 부분을 연필로 촘촘히 마감해야만 하는 필연성이 있다. 사실 연필이 개입되는 특정 부분은 여자의 얼굴과 옷 사이로 드러난 팔과 같은 살이다. 전체 화면은 물감에 의해 점유되고 도포되지만 인간의 살, 여자의 피부만은 물감의 층에 의해 덮여지기를 거부한다. 그것은 가능한 순수함과 깨끗한 상태에서 다른 배경과 차별화되어야 하는 지점이다. 물감이 차마 침범하지 않고 비워둔 영역이고 예리한 연필선의 간결하고 최소한의 접촉에 의해서만 표현을 허용한다.



황인란_영혼의 집-바람을 담다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65.1×181.4cm_2019


근작은 채색의 농밀함을 동반해 이전보다 회화성이 보다 진하게 감촉된다는 느낌이다. 붓의 터치와 약간의 질감도 동반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 민화에서 차용한 듯한 구성과 상징성이 짙은 도상의 연출로 인해 서사성이 보다 자연스럽고 짙게 내려앉아 있다. ● 작약이나 모란꽃이 무성하고 자지러지게 피어있고 울울한 잎사귀들이 바글거리는 숲은 화려하고 아름답지만 젊은 여자는 그로부터 빠져나와 무관한 표정을 지으며 돌아서있거나 외면하고 있다. 머리 근처에서 성가시게 하는 새 역시 여자의 관심을 빼앗지는 못한다. 이 고독하면서도 대단한 자존감을 지닌 젊은 여자는 자기만의 영역 안에서 비타협적인 왕국을 도모한다. 여자의 얼굴 표정이 그것을 방증한다. 착하고 선하면서도 자신의 기준에 충실한 원칙주의자의 얼굴이다. 따라서 여자의 희고 맑은 얼굴은, 연필의 선에 의해 조율된 효과로 자신의 이상을 선언하는 상징성 짙은 텍스트에 해당한다



황인란_영혼의 집-푸른 꿈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60.6×90.9cm_2019


어찌보면 황인란의 그림은 다분히 도상적인 그림에 해당한다. 여자, 새, 꽃, 숲이란 몇 가지 기호들이 결합되어 지속적으로 배열을 조금씩 달리하면서 모종의 서사를 직조한다. 저 기호들은 단어가 되고 그림은 문장의 형식을 취한다. 또한 문장과도 같은 그림들은 상징성 짙은 이미지를 거느리면서 출현한다. 그 그림들은 자신의 자화상에 해당되어 늘상 자신의 삶을 추스르는 경계의 지점에서 작동한다. ● 그렇다면 작가의 그리기는 다분히 수행적이고 어떤 의미에서는 실천적인 작업인 셈이다. 작가는 "우리가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추구해야만 할 인간으로서의 어떤 당위가 있다면 나는 그것을 도덕성에 근거한 선함의 추구라고 말하고 싶다"라고 한다. 그러니 이 작가의 작업이 어떤 맥락에서 출현하는지 알 것도 같다.



황인란_영혼의 집-세계의 끝_캔버스에 아크릴채색_90.9×65.1cm_2019


결국 작가의 그림은 그러한 선함과 아름다움의 실현에 방점이 놓여 있다는 생각이다. 활짝 핀 꽃과 잎들로 무성하고 울창한 정원, 그 어딘가에 위치한 젊고 아름다운 여자의 얼굴과 마냥 조심스러운 자세, 영혼의 상징이자 지상계와 천상계를 떠도는 새들은 화면 안에서 작가가 상정한 순수와 아름다움의 세계를 가설한다. 이 가설에는 특히 성실하고 극진한 공력이 희생처럼 얹혀져있다. 그림을 그리는 방식에서 이미 그 종교적인 수행성은 마치 의식처럼 실현되고 있다. 꼼꼼하고 치밀하고 정성을 다하는 사실적 묘사, 그리고 물감에 만족하지 못하고 연필 터치를 통해 온몸으로 밀고 나가 선 하나하나로 이루어야만 하는 경지가 있는 것이다. 전적으로 이 작가의 성정에서 출현하는 그림이자 자신이 설정한 생의 원칙에서 나오는 그림이기에 그렇다. 바로 이 점이 황인란 회화의 엄격함과 반듯함을 이루는 근간이 된다. ■ 박영택



황인란_봉인된 시간-침묵의 알레고리_캔버스에 아크릴채색, 연필_112.1×162.2cm_2018


작가로 산다는 일은 – 오랜 침묵과 긴 노동, 건조한 호흡 등을 요하는 고되고 힘든 과정이지만 아름답고 숭고한 일이다! (2019년 봄) ■ 황인란



Vol.20190403h | 황인란展 / HWANGINRAN / 黃仁蘭 / paintin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