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가 양재문의 초대전 ‘아리랑 판타지’개막식이
지난 21일 오후3시경‘금보성아트센터’에서 열렸다.
전시장에는 김보성관장을 비롯하여 이기명, 김종호, 한선영, 제이안 리,
유병용, 한명숙, 소피아, 은효진, 김가중씨 등 많은 분이 참석하였으나,
오랜만에 만난 분들이 너무 많아 성함이 잘 기억나지 않았다.
나이가 들수록 기억력이 희미해져 가는 것은 세상사 하나하나 잊으라는 것일 게다.
기억하지 못한 분들은 널리 양해하기 바란다.




개막식은 국악 공연장을 방불할 만큼, 춤과 소리가 어우러진 신명난 한마당이었다.
양재문 작가도 한 소리했는데, 이러다 사진가에서 소리꾼으로 전업할지도 모르겠다.




전시된 양재문씨의 사진은 제목처럼 한국적 환상이었다.

색의 흘림과 감춤으로 형성된 그 이미지가 이국적이지 않고 한국적인 것이,

어디 전통 춤꾼이 펼치는 춤사위라는 데만 있었겠는가?

바로 그 이미지에 우리민족의 한과 기가 서려있었기 때문일 것이다.




민중의 삶이 꿈틀대는 움직임과 새벽의 고요함이 어우러진 양재문씨의 이미지들은 가장 한국적인 정서를 담고 있다.

우리 춤은 고요한 가운데 서서히 움직임이 보이기 시작하고, 움직임 속에서 고요함이 드러나는‘정(靜)중(中)동(動)의 미학이다.

은은한 감춤의 미가 그토록 매혹적인 것을 어디 모르는 사람이 있겠는가?




느린 셔터로 잡아 낸 흔들리는 동작의 이미지가 보는 이로 하여금 무아 경지로 빠져들게도 하는데,

얼핏 한지에 살며시 번지는 물감처럼 애잔하다.




춤꾼이 춤사위에 자신의 기를 풀어 놓기 시작하면, 양재문은 그 춤꾼의 기를 받아 자신의 색으로 다시 풀어낸다.

그 색은 요염한 여인네의 교태미가 되기도 하고 정숙한 여인네의 숭고미가 되기도 하며 우리만의 색으로 정체를 드러낸 것이다.

그 춤꾼의 몸짓에서 뿜어져 나오는 기가 작가에게 전이되어 ’아리랑 환타지‘로 승화한 것이다.




추상화를 그리는 화가가 그리기 전에 표현할 이미지를 예견하듯이 사진가 역시 셔터를 누르기 전에 전체적인 밑그림을 예견한다.

그 기가 합일점을 찾아 작품으로 탄생하기 까지는 수없이 반복하는 인내가 뒤 따를 수밖에 없다.

예술에 끝이 없듯, 양재문씨의 작업 역시 끝이 아니라 진행형이다.




양재문씨는 오래전부터 우리 춤을 통해 자신의 색깔을 만들어 낸 배태랑 작가다.

20여 년 전에 보았던 ‘풀빛여행’의 그 몽환적 춤 여행의 기억이 아직도 선명하다.

그리고 2년 전에 보여 준 ‘비천몽’은 흑백에서 컬러로 바뀌어, 한 폭의 수묵채색화처럼 아름다웠다.




긴 세월동안 한국 전통춤을 통해 자신만의 색깔을 만들어 온 양재문씨가 이번에 보여 준

‘아리랑판타지’는 역동성이 개입된 것이 또 다른 변화라면 변화다.

1미터에서 4미터에 이르는 대형 작품 군무(群舞)를 통해 여지 것 볼 수 없었던 강한 역동성을 표현한 것이다.

집단적 신명성을 끌어내기도 한 그 사진은 마치 우리민족의 함성이 들리는 것 같은 환청도 일으켰다.

그 함성에는 동학의 목소리도 있고 광주항쟁의 목소리도 뒤섞인 것 같았다.




전시 작품들을 돌아본 후, 지하 전시장에 다과 차려 놓은 곳으로 내려갔다.
막걸리도 몇 병 있었으나, 술은 아무도 마시는 사람이 없었다.
이 건 술에 대한 모독이라며, 한 병을 혼자 다 마셔버렸다.
술은 주거니 받거니 해야 하는데, 혼솔은 진짜 찐 맛 없더라.




개막식 다음 날인 22일에도 전시를 보지 못한 정영신씨와 다시 방문할 기회가 생겼다.
'금보성아트센터' 김보성 관장을  만나 차 한 잔 마시며, 지난 이야기 나누느라 시간가는 줄 몰랐다.




이 전시는 오는 29일까지 열리니, 시간나면 꼭 한 번 보시기 바란다.
금보성아트센터(02-396-8744)

사진, 글 /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