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4년 중랑천 하류의 판자촌]



청계천변 제방을 파고 판재를 얼기설기 엮어 지은 이 움막촌은 판자촌보다 주거환경이

더 열악해 일명 개미촌으로 불렀다고 한다.


이 사진은 1973년과 76년 사이 일본인 사회운동가인 노무라 모토유키 목사가 찍은 사진인데,

그는 청계천빈민들의 참상에 충격 받아 청계천변 빈민구호와 선교에 나섰다고 한다.

그 당시 우리나라 사진가들 눈에는, 이 참혹한 현장이 왜 보이지 않았을까?

당시의 사회적 현실도 안타깝지만, 빈민들의 삶보다 모델에게나 카메라를 들이댄

당시 사진계의 구태가 안타까울 뿐이다.

1970년대 하반기의 청계천변 판자촌은 복개공사의 끝 지점인 마장교부터 한양대학교 뒤편까지

청계천 양쪽으로 용두동, 전농동, 답십리동, 마장동, 사근동, 용답동에 걸쳐 있었다고 한다.

그들은 이웃에 길흉사가 있으면 자기 일처럼 발 벗고 나섰고, 더러운 물이라도 받으려고

수 십 미터씩 줄을 섰고, 공중변소 앞에서 차례를 기다리며 발을 동동 구르기도 했다.

의료 사각지대에서 병들어 죽어가는 그들이 “인간답게 살게 해달라”고 외치면 경찰봉과

군화발이 사정없이 짓이겨 부서진 가재도구와 함께 주저앉아 눈물 쏟던 모습이 눈에 선하다며,

당시 사회부기자였고 지금은 사회학자인 이태호씨가 증언했다.

1977년 박정희 정권의 새마을운동에 휩쓸려, 이 곳 개미 촌과 판자촌은 완전 철거되었다.

청계천이 복개되며 이곳에 살던 주민들은 대책 없이 서울 변두리나 지방으로 뿔뿔이 흩어졌다는데,

그 때나 지금이나 힘없고 가난한 서민들만 내몰리는 건, 변함이 없다.


노무라리포트청계천변 판자촌 사람들,

눈빛출판사에서 발행한 1973-1976 노무라 모토유키 사진집에서 옮겼다.

440페이지에 달하는 방대한 사진과 글들이 수록된 '노무라리포트'는 청계천의 역사다.

    

[1974년 개미촌 움막집 들]




[1973년 답십리 판자촌]


[1973년, 용답동 제3활빈교회 앞 김종길집사와 어린이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