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곡 2023 오픈콜-박재훈: 파생 풍경

SAM 2023 Open Call-Park Jaehun: Derivative Landscape

박재훈/ PARKJAEHUN / 朴宰勳 / mixed media

2023_1020 2023_1119 / 월요일 휴관

박재훈 _ 총체적 난국 _3D  시뮬레이션 영상 _3840×3840px, 00:02:44_2023

박재훈 홈페이지_windlessroom.com

인스타그램_@windlessroom

 

초대일시 / 2023_1020_금요일_05:00pm

입장료 / 일반( 18~64) 5,000

단체,  65세 이상, 장애인, 국가유공자, 예술인패스 4,000

초등생 이하, ICOM 무료

관람시간 / 10:00am~06:00pm / 입장마감_05:30pm / 월요일 휴관

 

주최,주관,기획 / 성곡미술관

이수균(학예연구실장)_전지희(학예연구사)

이시연(학예연구원)_김태희_박혜정(학예인턴)

전시비평 / 문혜진

 

성곡미술관

SUNGKOK ART MUSEUM

서울 종로구 경희궁길 42

(신문로 21-101번지) 2관 제1,2전시실

Tel. +82.(0)2.737.7650

www.sungkokmuseum.org

@sungkokartmuseum

 

성곡미술관은 2021년부터 청년 예술가를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해 성곡미술관 오픈콜프로그램을 운영한다. 2023년에는 이은, 이진영, 박재훈 3명의 작가를 선정했고, 올해 마지막 순서로 박재훈의 개인전 파생 풍경 Derivative Landscape을 개최한다. 박재훈(b.1986)은 스스로를 디지털 조각가, 애니메이터, 시뮬레이터라고 정의한다. 그러나 디지털 공간에 오롯한 하나의 세계관을 창조하는 지난한 작업 과정을 놓고 볼 때, 그를 단지 애니메이터 혹은 시뮬레이터로만 정의하는 것은 섣부른 명명이다. 조물주의 시선으로 사물을 창조하고 가공하고 설치하고 연출하는 박재훈은 때로는 화가이며 조각가이고, 영화감독이며 설치미술가이기도 하다.

 

박재훈_단두대가 있는 방_3D 시뮬레이션 영상_3840×3840px, 00:02:33_2023
박재훈_나뭇가지 방_3D 시뮬레이션 영상_3840×3840px, 00:03:00_2023
박재훈 _ 크롬 나비뼈의 방 _3D  시뮬레이션 영상 _3840×3840px, 00:04:00_2023

박재훈은 포인트 클라우드(point cloud)와 사진측량기술(photogrammetry)을 이용해 현실 세계의 사물을 3D 시뮬레이션으로 번역한다. 그는 직접 사물의 3D 데이터를 만들거나, 게임 개발자들이 만들어 놓은 레디메이드(ready-made) 데이터를 수집한 후 그것을 가공하고 분해하고 재조합해 가상의 디지털 공간에 배치한다. 이렇게 쌓아 올린 조각들은 현실의 구조와 법칙하에서는 성립할 수 없는 무대를 구성하는데, 이것은 현실 세계의 재현인 듯 보이면서도 어딘가 기이하고 인공적인 감각으로 점철되어 있다. 현실보다는 거울 환영에 더 가까운 이 3D 시뮬레이션은 무의식을 떠다니는 사물의 무작위 집합체처럼 보이기도 하고, 꿈을 부유하는 초현실주의자들의 회화처럼 비치기도 한다.

 

박재훈_거룩한 묘시_3D 시뮬레이션 영상_3840×2160px, 00:06:07_2022
박재훈_거룩한 묘시_3D 시뮬레이션 영상_3840×2160px, 00:06:07_2022
박재훈 _ 거룩한 묘시 _3D  시뮬레이션 영상 _3840×2160px, 00:06:07_2022

그의 작업에는 인간 대신 각종 사물이 자리하는데, 이 사물들은 인간이 만들어 낸 동시대 욕망의 총체로서 하이퍼 자본주의(hyper-capitalism) 아래 모든 질서가 종속되고 재편되는 구조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작가는 사물을 조합한 무대장치를 스펙타클의 결정체로 만들어 자본주의적 환희의 순간을 연출하는 한편, 인간의 욕망으로 인해 파괴된 종말론적 배경을 병치함으로써 자본주의가 초래하는 파멸과 비극을 암시한다.

 

박재훈_빙하를 위한 제의_3D 시뮬레이션 4K 영상_3840×2160px, 00:04:16_2022
박재훈 _ 표류하는 사물들 _3D  시뮬레이션 영상 _1280×1280px, 00:06:00_2023

박재훈의 관심사는 실로 방대한데, 작품에 등장하는 다양한 사물들, 예컨대 일론 머스크의 스타링크 위성이나 물류대란을 상징하는 화물 컨테이너, 폭발한 러시아와 독일을 잇는 가스 송유관, 핵폭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붕괴한 건물의 잔해들까지 세계의 사회, 경제, 정치, 문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일련의 사건들과 이를 상징하는 사물들이 화면 속 거대한 제단을 이룬다. 이것은 또한 미술사의 풍부한 상징들로 둘러싸여 있는데, 작가는 작품 여기저기에 바니타스(vanitas) 정물화에서 가져온 도상의 상징과 은유를 흩뿌려 놓고, 이는 한데 모여 기묘한 무대 장치를 구축한다. 화면 넓게 퍼진 내러티브는 마치 동시대를 반으로 갈라 자른 듯, 자본주의라는 이데올로기의 숨 막히는 횡단면을 드러낸다.

 

수학적 알고리즘에 의해 철저히 계산된 가상의 물리 현상들은 개연성 없이 병치된 사물들과 함께 일상적 공간을 초현실적 공간으로 변모시킨다. 모든 것이 재화로 귀결되는 자본주의 법칙이 깃든, 아름답게 다듬어진 사물들의 조합은 시적이기에 역설적으로 기괴하다. 그의 작업은 종말을 향해 다가가는 이 시대 인류의 자화상이다. 박재훈은 종교가 가지던 위상마저 획득해 버린 자본주의의 파생 풍경을 기록하며 인류의 욕망이 가는 길은 어디인지를 질문한다. 성곡미술관

평평한 것들 Flatness of Things

김옥선/ KIMOKSUN / 金玉善 / photography 

2023_0609 2023_0813 / 월요일 휴관

김옥선_Adachi Portraits_acp_srw259_디지털 C 프린트_2023

김옥선 홈페이지_www.oksunkim.com  

 

기자간담회 / 2023_0612_월요일_11:00am

도슨트 / ~일요일 03:00pm

관람시간 / 10:00am~06:00pm / 입장마감_05:30pm / 월요일 휴관

 

주최,주관,기획 / 성곡미술관

 

입장료 / 일반(18~64) 5,000원단체,

65세 이상, 장애인, 국가유공자, 예술인패스 4,000

초등생 이하, ICOM 무료 인터파크 티켓예매

 

 

성곡미술관

SUNGKOK ART MUSEUM

서울 종로구 경희궁길 42(신문로 21-101번지) 1

Tel. +82.(0)2.737.7650

www.sungkokmuseum.org @sungkokartmuseum

 

김옥선(b.1967, 서울)은 사실성과 객관성에 충실한 사진으로 땅 위를 표류하는 우리 사회의 주변적 존재와 풍경을 새겨온 작가다. 떠남과 머묾, 차이의 공존, 경계에 선 이들에 주목하는 그의 시선은 결혼 이후 건너간 제주에서 30년 가까이 살며 겪은 이주의 경험과 가족을 비롯한 주변의 이방인들을 이해하려는 시도에서 출발한 것이다. 성곡미술관의 '한국중견작가초대전'으로 마련된 이번 개인전 평평한 것들 Flatness of Things은 주체와 객체, 문화와 자연의 대비 너머 차이를 딛고 존재하는 다양한 ''들의 초상을 평평한 시선으로 담아낸 김옥선의 지난 20여 년의 작업을 나란히 펼쳐 보인다.

 

김옥선_The Shining Things_untitled_jmd232_디지털 C 프린트_2023

언어, 사고, 문화 등 서로에게 이질적인 조건과 환경 속에서 함께 사는 커플들을 담은 초기작 해피 투게더(20022004/2023)를 시작으로, 김옥선은 결혼과 취업, 여행 등 각자의 이유로 경계를 횡단하고 모험하는 이들에 대한 관심을 이어 왔다. 특히, 베를린에 거주하는 한인 간호 여성들의 모습을 담은 베를린 초상(2018)을 계기로 근현대 역사 속에서 각자가 지닌 이산의 경험과 그로 인한 삶의 변화를 주체적으로 꾸려가는 여성들에 주목하고 있다. 그 연장선인 신작 신부들, 사라(2023)20세기 초 사진 교환만으로 성사된 결혼으로 낯선 미국 땅으로 건너간 최초의 사진신부 '최사라'와 이름 모를 신부들을 오마주하며, 베트남, 몽골, 중국 등에서 한국으로 건너온 결혼이주여성들의 초상을 보여준다. 작가는 사진신부의 기록 자료를 재현하는 대신, 어느덧 7년에서 20년 가까이 한국에서 가정을 이루고 적응하며 살아가는 이들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담아내며 지금 우리 시대의 얼굴을 마주하게 만든다. 이번 연작에서는 기존의 작업과 확연히 구분되는 극적인 조명 연출이 돋보인다. 세 방향에서 조명을 비춤으로써 빛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인물에 입체감을 부여하는 고전적인 인물 초상의 조명 방식을 그대로 사용한 것이다. 옛 사진관 사진을 떠올리게 하는 레트로한 배경과 더불어 이와 같은 시도는 황학동의 한 사진관을 섭외하며 구체화되었는데, 사진관을 거쳐 간 수많은 한국인의 얼굴과 마찬가지로 새겨진 결혼이주여성의 초상은 그 또한 오늘날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얼굴임을 환기하고 증명한다.

 

김옥선_Adachi Portraits_acp_rsj551_디지털 C 프린트_2023

김옥선의 사진에서 익명화된 이 이름 모를 얼굴들은 시공간을 넘어 서로를 비춘다. 주목하고자 하는 것은, '민족의식에 기반한 독립운동에서의 활약'이나 '외화벌이'와 같은 거시적인 목적과 성과에 기대어 기록되거나, '가족을 위한 희생'과 같은 부풀려진 서사 속에서 소비되어 온 이 개별 주체들을 김옥선이 달리 그려내는 방식이다. 그는 이 미시적인 존재들이 이주와 정착, 꿈의 실현, 가족의 형성 등 개인적인 삶의 영역에서 내린 선택들에 주목하고, 그들이 살고 있는 현재를 가시화한다. 그런데도 경계 밖으로 늘 미끄러지는 이들의 존재를, 김옥선은 사진을 통해 움켜쥔다. 오랜 시간 대상을 바라보고 사실적으로 포착하는 김옥선의 다큐멘터리 초상은 우리로 하여금 사진 속의 대상을 직시하고 그 이면의 의미를 마주하게 한다. 대상이 그 장소에 실재함을 기억하고 증거하는 사진 본연의 목적에 충실하며, 실물 크기로 확대된 사진 속 얼굴과 시선을 교환하게끔 하면서 말이다.

 

김옥선_Adachi Portraits_acp_kns324_디지털 C 프린트_2023

김옥선의 사진에서 인간, 자연, 사물은 평평한 세계에 놓여 서로를 가리켜 보인다. 이국적인 낙원의 땅을 욕망한 인간에 의해 이식된 야자수가 어느덧 제주를 상징하는 식물로 자리 잡았듯, 김옥선은 제주의 나무들에서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을 비롯해 그간 담아왔던 이방인들의 얼굴이 겹쳐 보였다고 말한다. 신작 영상에서 작가는 경계를 표류하며 새로운 터전에서 끊임없이 자신의 자리를 만들어 가는 이 존재들을 떠올리며 '야자수 인간'을 제시한다. 야자수의 외양을 하고 제주 곳곳의 풍경에 이질적으로 녹아드는 야자수 인간의 초상은 이들 각자를 연결하고 상징하며, 나아가 인간/자연, 유기체/비유기체 등의 구분을 교차-횡단하는 트랜스적 존재에 대한 작가의 상상적 산물이다.

 

김옥선_Brides_Sara_bsp_ahs130_디지털 C 프린트_2023

2023년 착수한 아다치 초상은 재일교포 2, 연변 등 중국에서 온 교직자, 일본인-미국인 부부와 그들의 자녀 등 재일외국인의 얼굴을 보여준다. 집과 근무지, 주변 동네와 자연, 신사 등 그들이 몸담은 다양한 장소를 배경으로 촬영한 이번 시리즈는, 각자 좋아하는 제주의 풍경 혹은 그들이 머무는 실내 공간을 배경으로 제주의 이방인을 담은 전작의 양식들이 종합된 듯 보인다. 베를린 초상에서 동일한 형식의 이미지를 반복적으로 열거하되 자유로운 포즈를 허용하는 등의 유연성을 견지했다면, 아다치 초상에서 그 유사성은 더욱 느슨해진다. 대상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삼각대와 시트 필름 대신 디지털카메라를 사용하면서 보다 자유로운 카메라 워킹이 가능해졌기 때문인데, 그로 인해 인물의 자연스러운 모습과 그들의 일상적 삶에 더욱 가까워진다. 홀씨처럼 날아온 이 존재들은 어느새 지극히 평범하고 일상적으로 우리 곁에 자리한다. 김옥선은 빛나는 것들(20112014/2023)에서 뒤엉킨 잔가지와 넝쿨, 이끼가 잔뜩 낀 나무 둥치, 길 밭에 볼품없이 자란 야자수에 주목한다. 무분별한 개발이 휩쓸고 지나간 지금의 제주에서는 이 평범한 풍경마저도 찾아보기 어렵지만, 이 특별할 것 없는 주변적 존재들은 여전히 사진 밖으로 생명력과 존재감을 발산하는 듯하다. 순수박물관(2016)에서도 반핵 기호가 그려진 버려진 탁자, 손때 묻은 온도계, 지나간 계절을 뒤로 하고 우두커니 놓인 선풍기는 각자 그들이 놓인 장소의 흔적과 관계의 기억을 품은 채 잔존한다. 이처럼 초상사진의 방식을 빌어 담아낸 자연과 사물의 장면에는 이들을 독자적인 객체이자 존재로서 호명하고 존중하는 작가의 의도가 들어 있다. 김옥선은 우리의 세계가 인간과 자연 그리고 비유기체적인 사물들이 함께 얽히고 영향을 주고받으며 만들어지는 것임을 사진을 통해 아로새긴다.

 

김옥선_Brides_Sara_bsp_sph796_디지털 C 프린트_2023

2차원 평면에 인화된 사진 매체의 고유한 평면성을 넘어서, 김옥선이 말하는 '평평함'은 무엇일까. 너와 내가 '평평하다'는 것은 각자가 딛고 있는 지면이 굴곡 없이 고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건 우리 각자가 동등한 선상에 서 있다는 것이며, 서로가 위치한 장소를 긍정하는 것은 곧 그 존재 자체를 인정하는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김옥선의 카메라에 담긴 대상들은 인간, 자연, 사물의 구분과 인종과 젠더, 국경 등 각종 위계에서 자유로운 평평한 세계에 놓인다. 이처럼 각자의 다름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김옥선의 사진은 ''와 다른 존재를 이해하며 '우리'의 외연을 확장해 나가려는 노력이다. 그렇게 서로의 존재를 그러쥘 때, 서로가 정박해 있는 자리를 긍정할 때 우리 안에 자라날 환대의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지 않을까.  전지희

 

Through her photography, Oksun Kim has been recording people as peripheral beings who are constantly drifting in our society, as well as the landscapes that surround us, all the while remaining faithful to realism and objectivity. Kim's view to focus on departing and staying; the coexistence of differences; and people straddled on boundaries started with her own experience of migration, as she has been living on Jeju Island for nearly 30 years since her marriage, with constant attempts to better understand the lives of foreigners and strangers all around her, including her own family members. Flatness of Things, a solo exhibition of Oksun Kim at the Sungkok Art Museum, juxtaposes Kim's works over the past 20 years, in which she uses an egalitarian gaze to capture portraits of various things existing with differences, beyond the contrast between the subject and object and between culture and nature. Beginning with one of her early works, Happy Together (20022004/2023), which depicts couples living together in conditions and environments that are foreign to each other in terms of language, thought, and culture, Kim has continued to pursue her interest in people who cross boundaries and venture out for their own reasons, such as through marriage, work, and/or travel. In particular, with Berlin Portraits (2018), which looks at Korean nurses in Germany, Kim paid close attention to the experience of diaspora in modern history and the women who are actively managing the changes in their lives due to such experiences. As an extension of that, her newest work, Brides, Sara (2023), pays homage to Choi Sara, the woman who is believed to have been the first Korean picture bride, and other unnamed Korean brides who crossed over to the unfamiliar land of the United States in the early 20th century through arranged marriages carried out solely after exchanging photographs. At the same time, this artwork documents portraits of migrant women who came to Korea from Vietnam, Mongolia, China, and other countries. Instead of representing the archival materials of the picture brides, the artist capturesas they arethe lives of people who have been living in Korea for between seven and nearly 20 years. Some of them have started families, while others have become naturalized citizens. In this way, Brides, Sara also brings viewers face to face with the faces of our time. With its dramatic lighting, this series is distinctly different from her previous works. By illuminating her subjects from three different directions, she adopted the classic portrait lighting method of maximizing the effect of light and giving the portrait a three-dimensional look. Along with the retro backdrop reminiscent of old photo studio photographs, the project was realized by arranging the use of a local photo studio in Hwanghak-dong, Seoul. The portraits of married migrant women, which were captured like the faces of countless Koreans who have passed through the same photo studio, remind usand provethat they are also the same diverse faces that make up our society today. In Kim's photographs, these anonymized faces mirror each other across time and space. What is noteworthy is the way in which she portrays these individuals, all of whom have been recorded in terms of macro goals and achievements such as "playing an active role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based on national consciousness" or "earning foreign currency," or consumed in inflated narratives such as "sacrificing for family" in a different way than before. Instead, Kim focuses on the choices these people make as microscopic beings in their personal livesmigrating and settling, realizing dreams, starting familiesand visualizes the present situation in which they live. And yet, their existence, which is always slipping outside the boundaries, is captured by Kim through her photographs. By looking at her subjects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and capturing them realistically, her photographs force us to look directly at the subjects and face the meaning behind them. Ultimately, she stays true to the purpose of photography, which is to remember and testify to the existence of the subjects in each specific place, as she allows us to exchange gazes with the faces in the photographs that are enlarged to life size. In Oksun Kim's photographs, humans, nature, and objects point to one another. Just as the palm tree, transplanted by humans who desired an exotic paradise, has become a symbol of Jeju, Kim says she saw in the trees of Jeju the faces of the strangers she had been capturing, including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her new video Home (2023), the artist presents "palm tree humans," recalling these beings who are drifting over boundaries and constantly making their places in new lands. The portrait of the palm tree human, which has the appearance of a palm tree and blends into the landscape of Jeju, is the product of the artist's imagination, which connects and symbolizes these people. Furthermore, it is also a symbol of a transitional being that crosses over and traverses the divisions of human/nature, organism/non-organic objects. Begun in 2023, the series Adachi Portraits shows the faces of expats in Japan, including second-generation overseas Koreans in Japan, lecturers from Yanbian and other cities in China, as well as a Japanese-American couple and their child. Photographed in various places where they stayed, including their homes, workplaces, and neighborhoods, the series seems to be a synthesis of styles from her previous works, which depicted Jeju's foreigners against the backdrop of their favorite Jeju landscapes or the interior spaces they occupy. If Berlin Portraits maintained flexibility by enumerating images in the same format but allowing for free poses, the similarities are even looser in Adachi Portraits. This is because the use of a digital camera, instead of tripods and sheet film that restrict the movement of the subjects, allows for free camera work. This brings the artist's work closer to the naturalness of the subjects and their everyday lives. These beings that flew here like spores became part of our everyday lives in the most ordinary and mundane ways. In The Shining Things (20112014/2023), Kim pays attention to the tangled branches and vines, the moss-covered base of a tree trunk, and the palm trees that grow unattractively in the roadside field. Even these ordinary scenes are hard to find on Jeju now that sprawling development has swept across the island, but these unremarkable peripheral beings still seem to radiate vitality and a sense of presence in the photographs. In Museum of Innocence (2016), an abandoned table with an anti-nuclear sign on it, a hand-stained thermometer, and a lonely electric fan are objects that remain, bearing the memories of the places they are placed, and perhaps more directly than the portraits, attest to the traces of existence. These scenes of nature and objects, captured in the manner of a portrait photograph, reflect the artist's intention to recognize and honor them as unique objects and beings. Through her photographs, Kim clearly conveys that our world is created as humans, nature, and non-organic objects intertwine with and influence one another. Beyond the inherent flatness of a photograph printed on a two-dimensional plane, what does Kim mean by "flatness"? For you and me to be "flat" means that the ground we stand on is even, without curvature. It means that each of us is on an equal footing, and to affirm each other's place is to acknowledge its existence. In this sense, the subjects of Kim's camera have the same degree of being-ness, free from all hierarchies, such as those based on factors related to humans, nature, objects, race, gender, or boundaries. Her photographs, which reveal their differences as they are, are an effort to expand the periphery of "us" by understanding beings who are different from "me." When we grasp each other's existence in such a way, when we affirm the place where each other is anchored, we are more likely to discover the possibility of hospitality that will grow within us.  Jihee JUN

 

 작가 도슨트- 진행자: 김옥선(참여작가)

- 일시: 1- 2023610() 오전 11         

           2- 2023723() 오후 2

- 장소: 성곡미술관 1

 아티스트 토크-박상우 &김옥선

- 진행자: 박상우(서울대학교 미학과 교수) &김옥선(참여작가)

- 일시: 2023624() 오후 2- 장소: 성곡미술관 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