밭으로 가는 길.. 

오늘은 김장 배추와 무를 심고 가을 내내 먹을 채소를 심는 날입니다. 밭고랑을 만들 쇠스랑과 괭이, 씨앗을 섬세하게 덮어줄 잔발쇠스랑을 챙겼습니다. 밭을 만들 땐 먼저 밭으로 쓸 경계를 잡고 가장자리 흙을 걷어 올려 주면서 시작합니다. 그리고 작물에 따라 밭을 좁게 혹은 넓게 만드는데, 쇠스랑의 길이에 맞추어 곧게 흙을 걷어 올리면 밭둑과 골의 경계선이 만들어집니다.

 

 

 

농사는 자연이 해준다라는 말을 많은 분들이 하기도 합니다. 아마 농사는 꼭 사람이 한 것만으로는 다 되지 않는다는 말 일 겁니다. 아무리 좋은 땅이어도 그 식물의 조건에 맞추어 주는 노력은 사람이 해야 하는 것이기에 자연에만 의지할 수는 없습니다. 

저는 올봄에 처음으로 해바라기 씨를 심었습니다. 밭과 길을 걸어 다니면서 해바라기를 보고 싶은 곳에 흙을 파고 씨를 뿌렸습니다. 싹이 났지만 얼마 못 가 시들고 말라버렸습니다. 장소도 적절치 못했지만 흙을 파서 씨만 뿌린다고 자라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흙을 파고 씨를 뿌린 뒤, 흙을 덮어줄 때 약간 오목하게 해 줘야지만 씨가 마르지 않습니다. 그런데 흙을 팠다가 다시 그 흙을 다 덮으면 수북하게 쌓이게 되는데 그러면 빗물이 씨앗이 있는 쪽으로 내려가지 않고 옆으로 흘러가 버립니다. 해바라기는 대가 크고 키가 높게 자라는 식물이므로 주변의 자리가 넉넉해야 하고 모든 씨앗을 심을 때는 수분이 마르지 않도록 오목하게 만들어주어야 싹이 나와 뿌리가 튼튼해질 때까지 마르지 않고 잘 자랄 수 있었다는 것을 뒤늦게야 알게 되었습니다.

씨앗을 뿌릴 밭을 만들 때는 이처럼 이랑을 타고 골을 만들어 씨앗을 뿌립니다. 처음 농사를 짓는 사람들이 흔히 하는 실수가 밭 둑을 만들고 그 위에 씨앗을 뿌리는 것입니다. 그러면 제가 심은 해바라기처럼 수분이 부족하여 시들고 말라버리게 됩니다. 이랑을 만들 때도 작은 씨앗은 작게 굵은 씨앗은 더 크게.... 사실 씨앗의 크기가 작거나 크다고 하여 많은 차이가 나는 것은 아니지만 그 작은 것들을 섬세하게 살피고 가려야 하는 것이 바로 사람의 몫입니다. 씨앗 크기의 2-3배 정도 깊이로 심는 것이라고 말씀하시는데, 거의 1mm 정도 크기의 씨앗이니 2-3mm 정도만 덮일 수 있게 골을 타고 씨앗을 넣는다는 말이 됩니다. 대략 아무렇게나 하는 듯이 보이는 농사지만 그 속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이렇듯 세심하고 정밀함이 필요한 것이 농사이기도 하다는 걸 알게 됩니다.

 

배추모종

 

배추와 아욱싹
김장 무와 가을채소( 상추, 시금치, 아욱) 씨앗을 뿌렸습니다.

 

 

 

 

 

이곳을 올라오는 산길 옆으로는 논이 있습니다. 논둑에는 풀이 뒤덮히고 산자락 옆으로 칡이 엉켜 내려오기도 합니다. 풀 때문에 제초제를 뿌린 풍경은 푸른 벼와 그 옆자락에 있는 잡초는 노랗게 질려 시들어 있습니다. 농약과 제초제를 뿌리는 농민들을 비난하거나 좋지 않게 말하는 분들도 있지만 저 많은 풀을 감당할 수 없으니 약을 뿌리는 것이 어쩔 수 없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그리고 어떻게 노력할 수 있을까, 노력하면 될 수 있는 것일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가끔 농민 분이 혼자 오셔서 벼 사이 풀도 뽑고 논둑의 풀을 예초기로 깍지만 풀은 때마다 무성히 자라는데 그 넓고 많은 논자락을 그분 혼자서 손으로 다 뽑을 수 없을 것입니다.

이것은 현실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