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류사랑’이 인사동에 문을 연지도 어언 20년이 지났다.
이곳은 96년 한학자 최동락씨가 차린 학당이자 대폿집이었다.
걸죽한 올갱이 탕이 좋아 가끔 들렸는데, 매주 월요일은 논어 공부도 했다.
장소는 옛날 ‘실비식당’이 있던 골목으로, 인사동8길 끝집이다.
‘사동면옥’을 지나 ‘대감집’을 꺾어 막다른 골목에 있는 집이다.

그런데, 단골만으로 운영하기엔 힘이 부쳤는지, 3년 전 점포를 넘겨버렸다.
그 뒤 콩으로 만든 두부음식 전문의 술집이었으나, 그 땐 한 번도 가보지 못했다.
몇 일전, '민예총'의 대부였던 김용태씨의 딸 보영이가 운영한다는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

운현궁 옆 골목에 있던 ‘낭만’이 헐려 인사동으로 진출했다는데, 반가운 소식이었다.

그렇지 않아도 인사동에 죽칠 곳이라고는 고작 ‘유목민’ 뿐이었는데, 한 곳 더 생긴 것이다.

일단은 술꾼들의 입맛을 잡고 있는 보영 엄마의 안주 솜씨를 잘 알기 때문이다.

그동안 장경호씨로 부터 몇 차례 전화는 받았으나, 사정이 여의치 못해 들리지 못했다.

지난 주말 13차 촛불집회 행사장에서 만난 장경호씨가 오늘 저녁은 ‘풍류사랑’에서 먹기로 했으니,

8시까지 그 곳으로 오라고 했다. 광화문광장은 눈이 내려 온 종일 돌아다니려니 힘에 부쳤다.

더구나 땅까지 미끄러워 다리에 신경이 쏠려 그런지 어깨까지 땡겼다.

시간 되기가 무섭게 인사동 ‘풍류사랑’으로 갔더니, 보영이 모녀가 반갑게 맞아주었다.

방안에는 이종률, 성기준씨 일행이 있었고, 밖에는 술상만 여러 군데 차려놓았더라.

‘민미협’에서 예약한 자리라기에, ‘광화문미술행동’팀 자리로 알고 퍼져 앉았다.

그들도 ‘민미협’ 맴버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도 아무도 나타나지 않았다. 그들이 오면 탕을 끓이려고 기다렸더니,

방에 있던 성기준씨는 민미협’ 총회가 늦는 모양이라며 먹던 술과 안주까지 챙겨 주었다.

광화문에서 사진 찍던 정영신씨까지 불러 언 몸을 녹이는데, 예약한 팀들이 몰려오기 시작했다.

최석태씨를 비롯하여 박홍순, 김치중, 천호석, 최연택, 김영중, 나중기, 백창흠, 이재민씨 등

대부분 아는 분이었으나, 미술행동 팀은 아무도 보이지 않았다.


정영신씨는 좌석이 부족해, 자기가 끼일 자리가 아니라며 먼저 일어났다.

난 오랜만에 만난 분들이라 자리를 지키고 앉았으나, 마음은 개운치 않았다.

다른 때처럼 광화문 ‘남원추어탕’에서 식사를 할 것이었다면,

미끄러운 길 따라 인사동까지 오지 않아도 될 것을, 왜 잘못된 정보를 주었을까?

추측컨대, 이인철씨가 회장으로 있는 ‘민미협’ 모임을 기록해 달라는 것이 아니라,

‘낭만’이 인사동 ‘풍류사랑’으로 옮겼다는 소식을 전해달라는 뜻인 것 같았다.

인사동 풍류를 소개해 온, 나 역시 늘 숙제로 남은 일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미 ‘풍류사랑’은 '민예총'에 소속된 작가들의 아지트로 자리잡았다,

이 글을 올리는 중에도 모여 있는 사람들의 면면이 인터넷에 떴는데,

신학철, 임옥상, 김정헌, 박재동, 박현수, 유홍준, 민정기, 박불똥, 이인철씨 등 명사들이 잔득 모여 있었다.

그래도 모르는 분은 한 번 들려 볼만한 주막이다.

인사동 구석에 위치해 젊은이들이 판치지 않는데다, 음식이 맛깔스럽다.

인사동의 마지막 풍류이기도 한데다, 운이 좋으면 예술계의 대가들과 친분도 나눌 수 있다.


주소는 종로구 인사동8길 12-7이고, 전화는 02-739-0809, 010-2770-8022번이다.

사진, 글 / 조문호






































이사진은 지난25일 김보영씨가 찍어 페북에 올린 사진을 스크랩했다.





달항아리_자연 속 한지를 그 안에 담다

김보영展 / KIMBOYEONG / 金寶英 / painting
2014_1210 ▶ 2014_1216

 

김보영_닮다_한지에 천연염료 염색, 백토_163×130cm_2014
 

● 위 이미지를 클릭하면 네오룩 아카이브 Vol.20100625f | 김보영展으로 갑니다.

별도의 초대일시가 없습니다.

관람시간 / 10:00am~06:30pm

공아트스페이스GONG ART SPACE

서울 종로구 인사동 5길 14(관훈동 198-21번지)

Tel. +82.2.730.1144/735.9938

www.gongartspace.com

 

달항아리_白磁大壺 ● 조선시대에 만들어진 도자기 중에 큰 키에 둥근 모습을 한 백자항아리가 있다. 이 항아리는 조선시대 18세기에 100년간 집중적으로 생산되고 사라진 기형이다. 하얀 색의 둥글고 펑퍼짐한 모습을 본 사람들은 '푸근하다, 소박하다, 담백하다, 둥근 곡선이 아름다우며, 한국적인 美를 보여준다.'등 많은 찬사를 내놓으며, 항아리에 달이라는 단어를 붙여 '달항아리'로 부른다. 왜 이 항아리에 달이라는 명칭을 붙였을까? '달'은 예로부터 염원의 대상으로 여겨졌다. 농경사회에서는 달이 차오르고 비어지는 주기가 삶을 결정짓는 큰 부분을 차지하며, 밀접한 관계를 가졌다. 현대인의 삶에서 달이라는 존재가 생계를 움직일 정도의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몸소 느끼지 못하지만, 항아리에 달이라는 명칭을 붙여 부를 만큼 사람들의 마음속에는 자연에 대한 무의식이 존재한다. ● 달항아리는 높이가 40cm이상이고, 높이와 항아리의 둘레가 1:1의 비례가 되어, 마치 컴퍼스로 원을 그리듯 둥근 형태이다. 아무런 문양이 들어가지 않는 이 대형의 항아리는 심미적인 이유로 달항아리가 上·下·左·右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는 모습이 당시 사대부들의 주관심사인 周易의 太極을 형상화하여 이를 감상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이 기형은 중국과 일본에서 나타나지 않는 형태로 조선만의 양식을 담고 있다. 그 당시 중국과 일본, 유럽 등지에서 제작된 도자기들은 화려한 문양과 다양한 기교를 담은 인위적인 형태의 도자기들이 유행하였다. 조선에서 달항아리와 같은 기형이 만들어진 것은 당시 왕실의 든든한 후원과, 사대부 문인의 수요층이 새롭게 등장하면서 최고의 품질의 백자가 집중적으로 제작되던 시기였기 때문에 가장 조선적인 기형이 만들어졌을 것이다.

 

김보영_달을 담다 1_한지에 천연염료 염색, 백토_145×145cm_2014

 

김보영_달을 담다 2_한지에 천연염료 염색, 백토_145×145cm_2014

 

김보영_달을 담다 3_한지에 천연염료 염색, 백토_145×145cm_2014

 

 

달을 담다. ● 작가는 조선시대 18세기에 제작되어 현재 전해지고 있는 백자달항아리의 모습을 보고 천연 염색한 한지라는 소재를 사용하여 새로운 형태의 달항아리를 이번 개인전에서 전시한다. 지금 우리가 보는 달항아리는 흰 바탕에 이리저리 얼룩이 져있고, 제작되었을 당시의 순백색의 모습을 하고 있지 않다. 달항아리는 액체를 담기 위해 제작된 그릇으로 사용하는 사람과, 장소에 따라 무언가 담고 비우는 반복되는 과정에서 그 안에 흔적이 스며있다. 본성은 변하지 않지만, 그 안에 시간과 자연을 담아 지금의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다.

 

김보영_달을 담다 4_한지에 천연염료 염색, 백토_145×145cm_2014

 

김보영_달을 담다 5_한지에 천연염료 염색, 백토_145×145cm_2014

 

 

한지도 작업과정에서 당시의 환경이나, 날씨, 온도 등의 모든 조건들을 담아 각기 다른 무한한 색으로 표출한다. 천연염색을 통해 얻어진 색은 자연이 주는 강한 생명력을 한지 안에 오롯이 담아낸다. 이러한 색은 현대인들이 만들어내는 인공적이고, 인위적인 색감이 아닌 자연 그 본성이 한지 안에 나타난다. 작가는 염색작업을 통해 자연이 담긴 한지를 만들어간다. 한지는 자연이 주는 순 원료(쪽, 쑥, 오리목, 소목, 홍화 등 자연염색의 소재)를 이용하여, 염료를 끓이거나 물에 담궈 색을 추출하여 염액을 만들고, 한지를 담궈 말려 색을 정착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이는 작품에 필요한 일차적인 재료를 얻어내는 과정이자 작가 자신을 한지에 담아내는 과정이다.

 

김보영_마음을 담다_한지에 천연염료 염색, 백토_90×90cm×9_2014
 

이번 전시되는 달항아리는 백자를 만들 때 일차적인 원료인 白土를 화판 전체에 바르고, 순백 바탕의 달항아리에 자연의 元氣를 담고 있는 한지 한 조각, 한 조각이 어우러져 유기적인 존재로 결합하고, 그 배열을 통해, 각기 뽐내고 싶은 생명력을 담아 하나의 형상이 만들어진다. 작가는 자신이 반복적으로 행하는 작업과정을 통해 자연과 자연이 결합해 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작가가 이루어내는 한지의 결합은 '달항아리'라는 결정체로 재탄생된다. 작가는 그동안의 작업에서 자연에서 얻은 색이 담긴 한지로 자연의 이미지를 형상화 하는 작업을 해왔다. 이번 개인전에서는 無에서 形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보여준다. 순백의 백토 위에 한지를 사용하여 기존에 볼 수 없었던 새로운 형태의 달항아리를 만들었다. 작가는 현재 전해지는 조선시대 달항아리 모습 뿐 아니라 작가의 시점에서 재조명한 달항아리 기형도 선보이다. 조선시대 만들어진 도자기 중에서도 한국적인 기형인 대형의 백자항아리를 선택한 것은 작가가 전통과 현대를 이어가는 끈을 '달항아리'로 연결한 것이다. 작가가 시도한 이 작업은 전통적인 소재와 전통 기법의 만남이며, 이번 전시를 통해 전통과 현대가 소통하는 시간이 되고자 한다. ■ 전남언

 

 

 

Vol.20141209e | 김보영展 / KIMBOYEONG / 金寶英 / painting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