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민주화운동 40주년을 기념하고 광주정신의 동시대성 탐색을 위한 기획전이

인사동 ‘나무아트’와 소격동 ‘아트선재센터’에서 열리고 있다.

 

지난 16일 전시가 열리는 인사동 ‘나무아트’를 들렸다.

요즘 전시장이 조용할 것으로 알았는데, 의외로 사람이 많았다.

김진하관장을 비롯하여 화가 최은경씨와 정복수씨 내외,

‘네오록’의 최금수씨 등 여러 명이 전시를 관람하며 환담을 나누고 있었다.

 

전시장에는 조진호씨를 비롯한 광주작가들의 5,18 목판화와 출판자료들이 전시되었는데,

목판화’를 통해 당시의 상황과 울분을 생생하게 전하고 있었다.

 

그 때의 통한을 잊을 수 있겠냐마는 또 다시 분노가 치밀었다.

철면피같은 전두환이가 아직까지 처단되지 않고 뻔뻔스런 상판대기를 내 밀고 다니니

어찌 5,18 원혼들이 편히 잠들 수 있겠는가?

그 죽일 놈 하나 작살낼 의인 한 사람 없단 말인가.

 

그동안 광주비엔날레에서 5.18을 기억하기 위한 작품들을 꾸준히 선보였다.

이번에 전시되는 ‘민주주의의 봄’은 역대 '광주비엔날레' 특별전인

5.18 민주화운동 기념 전에 소개해 온 작품을 한데 모았다.

80년부터 90년 사이 광주작가들이 제작한 작품으로 구성되었다.

 

전시작을 통해 1980년 5월 이후 40년이 흐른 시점에서

민주주의의 또 다른 표현인 ‘광주정신’을 재조명하고 있는 것이다.

 

이 전시가 중요한 것은 광주항쟁을 주제로 10년 동안 쉬지 않고 작업해 왔다는데 있다.

광주 작가들이 현장에서 직접 체험한 작업이라 누구보다 가슴에 쌓인 한과 분노가 컷을 것이다.

1980년 이후 40년이 흐른 오늘의 시점에서 ‘광주정신’을 되돌아보았다.

 

‘아트선재센터’는 7월 5일까지 열리고 ‘나무아트’는 30일까지 열린다.

다시 한 번 그 날의 아픔을 기억하자.

 

사진, 글 / 조문호

 

광주·부산 등 전국서 잇단 개최

 

올 가을 대한민국은 미술관이 됐다. 비엔날레가 서울부터 광주, 부산, 대구 등 전국 각지에서 한꺼번에 열리고 있기 때문이다.

비엔날레는 이탈리아어로 ‘2년 마다’를 뜻한다. 말 그대로 비엔날레는 2년마다 열리는 현대미술 국제전시회로 전 세계 작가들의 실험적 작품들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다. 현대미술의 현재와 미래도 조망할 수 있다.

◇그림부터 조각·사진·미디어아트까지=국내 양대 비엔날레인 광주비엔날레와 부산비엔날레가 현대미술의 모든 영역을 다룬다.

광주비엔날레는 ‘터전을 불태우라’는 주제로 지난 5일 개막했다. 지난해 베니스 비엔날레 영국관 대표 작가인 제레미 델러 등 스타작가를 비롯해 39개국 작가 115명(106개팀)이 참가했다. 영국 런던의 테이트모던 미술관 큐레이터인 제시카 모건이 총감독을 맡았다. 11월 9일까지 열린다.

20일 개막하는 부산비엔날레는 ‘세상 속에서 거주하기’를 주제로 삼았다. 프랑스 마그재단 관장인 올리비에 케플렝 전시감독이 불안정한 세상 속에서 예술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메인전시를 이끈다. 30개국의 작가 160명이 참여한다. 부산시립미술관, 부산문화회관, 고려제강 수영공장 등에서 11월 22일까지 계속된다.

미디어, 사진, 조각 등으로 장르를 특화한 비엔날레도 만날 수 있다.

지난 2일 개막한 ‘미디어시티 서울’은 서울시립미술관이 주최한 미디어아트 비엔날레다. 17개국 42명(팀)의 작가들이 예술에 과학과 인문학, 테크놀로지를 덧입힌 미디어 작품을 선보인다. 8회째인 올해 전시제목은 ‘귀신, 간첩, 할머니’다. 귀신은 아시아의 잊혀진 역사와 전통, 간첩은 냉전의 기억, 할머니는 여성과 시간을 의미한다. 미디어작가 겸 영화감독인 박찬경씨가 예술감독을 맡았다. 11월 23일까지 서울시립미술관 서소문 본관, 한국영상자료원에서 진행된다.

지난 12일 개막한 대구사진비엔날레는 다음달 19일까지 대구문화예술회관, 대구예술발전소, 봉산문화회관에서 다양한 사진작품을 만날 수 있다. 31개국 250여 명의 작가들이 ‘사진의 기억’이라는 주제 아래 급변하는 사진의 표현방법과 정체성을 다뤘다.

올해로 2회째인 창원조각비엔날레는 ‘달그림자’를 주제로 25일부터 11월 9일까지 열린다. 국내·외 41명(팀)이 참여해 창원시립문신미술관, 돝섬, 마산 원도심(창동), 마산항 중앙부두 등에서 조각부터 건축과 조경, 설치, 미디어아트 등 다양한 장르의 작품을 선보인다.

자연미술을 전시하는 금강자연미술비엔날레는 지난달 일찌감치 시작했다. 14개국, 작가 26명의 작품이 11월 30일까지 충남 공주시 금강쌍신공원과 금강국제자연미술센터, 연미산자연미술공원에서 전시된다.

◇미숙한 운영에 끊이지 않는 잡음=지방자치단체들이 공적을 쌓기 위해 무리하게 비엔날레를 개최하는데다 운영 미숙으로 문제를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광주비엔날레는 본행사와 별도로 8월에 시작한 창설 20주년 기념 특별전에서 홍성담의 걸개그림 ‘세월오월’의 전시가 유보됐다. 세월호 참사를 소재로 한 ‘세월오월’에서 박근혜 대통령을 허수아비로 묘사한 부분이 문제가 됐다. 결국 작가는 걸개그림을 자진 철수했고 책임큐레이터와 비엔날레 대표는 사퇴했다.

부산비엔날레도 끊임없이 논란을 야기하고 있다. 오광수 운영위원장이 지난해 감독 선정위원회에서 1위를 차지한 김성연씨에게 동의도 구하지 않은 채 2위 프랑스 출신 케플렝에게 공동 감독직을 제안한 게 문제였다. 부산문화연대는 부산비엔날레 보이콧에 나섰고 지난 6월 오 위원장이 물러나면서 사태는 일단락되는 듯 했다. 그러나 최근 발표된 본 전시 작가 77명 중 3분의 1이 넘는 26명이 케플렝 감독과 국적이 같은 프랑스(프랑스령 포함) 출신인 것으로 알려져 특혜 논란에 휩싸였다.

그나마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는 부산과 광주는 사정이 나은 편이다. 신생 비엔날레는 예산 부족으로 운영인력조차 제대로 갖추기 어렵다. 대구사진비엔날레의 경우 개막 당일 해외 작가의 통역을 해 줄 사람이 없어 현장에서 의사 소통이 가능한 동료 작가가 통역에 나서기도 했다.

대구비엔날레 관계자는 “정부 지원이 2년 전의 18억원에서 14억원으로 줄었다. 광주비엔날레의 10분의 1도 안 되는 예산이라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미술계 관계자는 “광주·부산비엔날레 사태에서 보듯 예술 행사라는 순수성은 잃어버렸고 정치적 이벤트와 이해관계에 따른 이벤트로 변질됐다”면서 “해당 지자체 성과를 과시하는 것 외에 무슨 기능을 하는 지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

국민일보 /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