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하이에나처럼 걸었다’,한남동 ‘갤러리 서화’ 5월4일까지


▲최울가 ‘나는 하이에나처럼 걸었다’책 표지



파리를 중심으로 세계를 유목민처럼 떠돌며, 암벽화 같은 그림을 그려 온 최울가가 모처럼 서울에 모습을 드러냈다.


현대미술에 대한 철학적 성찰과 그의 작업행로를 담은 ‘나는 하이에나처럼 걸었다’란 책을 출판하며, 한남동 ‘갤러리 서화’에서 출판기념 특별전을 마련한 것이다. 전시는 지난 4월21일 개막돼 5월4일까지 이어진다.


원시성을 띤 그의 그림들은 너무 순수하고 자유롭다. 도상에 화려한 색을 입힌 그림들은 마치 동화 속의 한 장면같이 느껴졌다. 다양한 도형을 바탕으로 한 그의 작품세계는 드로잉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드로잉 자체가 구석기시대부터 시작된 원초적인 표현방법 아니던가. 작가의 고향이었던 울산 반구대 암각화가 연상되기도 했다. 사람이 등장하기도 하고, 동물이나 나무 같은 사물들이 무질서하게 그려 진 그림들은 원시적인 인간 본연의 삶을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기존의 가치와 질서를 무시하는 그의 아나키적 화법에서 자유로움도 만끽할 수 있었다.




▲최울가, New Storage Series, Oil on Canvas, 130x162cm, 2015


한 때 상승세를 타기도 했던 “Black and White” 연작에서는 기하학적인 모형들이 어느 정도 질서를 유지하고 있었다. 암각화 같은 조형들이 마치 바위 위에 정으로 새긴 듯 빽빽하게 그려져, 보는 이에게 말을 걸고 있었다.


그 상형문자 같은 기호들은 바로 이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의식에 다름없었다. 원시성의 훼손에 대한 물질문명의 비판을 그만이 즐기는 놀이 법으로 풍자한 것이다. 아마 문학적인 그의 그림언어로 현대인들의 숨통을 트이게 하고 싶었는지 모른다.



 ▲최울가,Infinity Series, Oil on Canvas, 100x100cm, 2015


이번 ‘갤러리 세화’에 발표된 작품은 또 다른 변화를 보여 주었다. 원시주의에 천착한 골격은 유지하고 있었지만, 선들이 굵어졌고 여백의 미도 생겨났다. 일단 보는 이로 하여금 안락한 느낌을 주었는데, 이번에 펴낸 ‘나는 하이에나처럼 걸었다’란 책을 읽고 그 원인을 짐작하게 됐다.



▲최울가,Infinity Series, Oil on Canvas, 162x130cm, 2015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언어’ 그 자체가 자신을 가로막는 장애란 것을 뒤늦게 깨달았다는 것이다. 결국 끝없이 추구하는 자유로움이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 낸 것이다. 캔버스 위에 생겨난 여백들은 바로 작가 자신의 마음의 여백으로 여겨진다. 곰곰이 그의 작업행로를 돌이켜 보면, 꾸준히 변해 온 작업여건이나 주변 환경도 작품에 반영되었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최울가,Black Play Series, Oil on Canvas, 130x162cm, 2015


이번 전시와 함께 ‘인문아트’에서 발간한 ‘나는 하이에나처럼 걸었다’에는 최울가의 예술철학과 삶의 행로가 일기처럼 상세하게 기록돼 있었다. 초창기 작품에서부터 신작에 이르기까지 130여점이나 실려 있는데다, 문학적 감수성이 배어있는 그의 글들은 최울가의 작품세계에 푹 빠져들게 한다.


문의:한남동 ‘갤러리 서화’(02-546-2103)


[서울문화투데이] 조문호기자





파리를 중심으로 세계를 유목민처럼 떠돌며 암벽화 같은 그림을 그려 온 

원시의 영혼 최울가 화백이 모처럼 서울에 모습을 드러냈다.


New Storage Series, Oil on Canvas, 130x162cm, 2015



현대미술에 대한 작가의 철학적 성찰과 그의 작업행로를 담은 나는 하이에나처럼 걸었다책을 출판하며

서울에서 특별전을 가진 것이다.

이 전시는 한남동의 갤러리 서화’(02-546-2103)에서 지난 421일 개막되어 54일까지 이어진다.




, 작가를 알게 된 지가 어언 40여년의 세월이 흘렀다. 부산에서 알게 되어 서울로 올라오며 헤어졌는데,

몇 년 후 인사동에서 우연히 다시 만나게 된 것이다. 그 때부터 그의 작업실과 전시회를 오가며 작업들을

지켜볼 수 있는 기회가 된 것이다.  


원시성을 띤 그의 그림들은 너무 순수하고 자유로웠다.

도상에 화려한 색을 입힌 그림들은 마치 동화 속의 한 장면같이 느껴졌다.

그 무렵 나에게 선물로 준 작품 한 점이 있다 비 맞을까 걱정되어 개구리에 우산을 받쳐 든

어린이의 형상은, 볼 때마다 배려에 대한 자성의 시간도 가질 수 있었다.



Acrylic on Korean Paper, 20x25cm 1993

 

다양한 도형을 바탕으로 한 그의 작품세계는 드로잉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드로잉 자체가 구석기시대부터 시작된 원초적인 표현방법 아니던가.

작가의 고향이었던 울산 반구대 암각화가 바로 연상되었다. 사람이 등장하기도 하고, 동물이나

나무 같은 사물들이 무질서하게 그려 진 그림들은 원시적인 인간 본연의 삶을 말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때로는 기존의 가치와 질서를 무시하는 아나키적 화법에서 오히려 자유로움을 만끽할 수 있었던 것이다.



[Everything About New York] Oil on Canvas, 259x193cm, 2001 국립현대미술관소장


White Play Series, Oil on Canvas, 122x152cm, 2012


 

그 이후 파리와 뉴욕에서 살아 자주 만날 수는 없었지만, 가끔 서울에 초대된 작품을 보며 많은 변화를 읽었다.

그 무렵 “Black and White” 연작으로 더욱 상승세를 타고 있었는데, 기하학적인 정형이나 모형들이 어느 정도

질서를 유지하고 있었던 것이다. 암각화 같은 조형들이 마치 바위 위에 정으로 새긴 듯 빽빽하게 그려져,

보는 이에게 말 걸고 있었다. 그 상형문자 같은 기호들은 바로 이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인의 의식에 다름없었다.

원시성의 훼손에 대한 물질문명의 비판을 그만이 즐기는 놀이 법으로 풍자한 것이다.

아마 문학적인 그의 그림언어로 현대인들의 숨통을 트이게 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Black Play Series, Oil on Canvas, 130x162cm, 2015



White Series, Oil on Canvas, 162x112cm, 2015


그리고 몇 년이 지난 이번 갤러리 세화에 발표된 작품들은 또 다른 변화를 보여주었다.

원시주의에 천착한 골격은 유지하고 있었지만, 선들이 굵어졌고 여백의 미도 생겨났다.

일단 보는 이로 하여금 안락한 느낌을 주었는데, 그가 펴낸 나는 하이에나처럼 걸었다란 책을 읽고

그 원인을 짐작하게 되었다.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언어그 자체가 자신을 가로막는 장애란 것을 뒤늦게

깨달았다는 것이다. 결국 끝없이 추구하는 자유로움이 새로운 변화를 이끌어 낸 것이다.

캔버스 위에 생겨난 여백들은 바로 작가 자신의 마음의 여백으로 여겨진다. 곰곰이 그의 작업행로를 돌아 보면,

꾸준히 변해 온 작업여건이나 주변 환경도 작품에 반영되었을 것이란 생각이 든다.



Infinity Series, Oil on Canvas, 162x130cm, 2015


Infinity Series, Oil on Canvas, 100x100cm, 2015


Infinity Series, Oil on Canvas, 100x100cm, 2015


처음 가본 갤러리 서화 가정집을 개조했는지 분위기가 아늑했다.

오랜만에 만난 그의 모습에 엄청 반가웠으나 작가와 진득하게 대화를 나눌 시간이 없었다.

전시 작품에 대해 물어 볼 것이 많았으나, 손님들이 내미는 책에 서명하기 바빴기 때문이다.

그리고 찾아 온 손님도 미술평론가 유근오씨 외에는 아는 사람이 아무도 없었다.

아쉽지만, 치열한 작가정신으로 날이 갈수록 더해가는 성취도에 경의의 박수를 보내며 돌아 왔다.























 

그리고 이번 전시와 함께 인문아트에서 발간한 나는 하이에나처럼 걸었다에는

최울가의 예술철학과 삶의 행로가 일기처럼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었다.

초창기 작품에서부터 신작에 이르기까지 130여점이나 실려 있는데다,

문학적 감수성이 배어있는 그의 글들은 최울가의 작품세계에 푹 빠져들게 한다


출판사 : 인문아트 /  책값 : 14,000

 

사진,/ 조문호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