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장지대 武裝地帶
MILITARIZED ZONE in KOREA展
2023_0206 ▶ 2023_0226 / 월요일 휴관
1부 / 2023_0206 ▶ 2023_0216
2부 / 2023_0217 ▶ 2023_0226
참여작가
1부 / 강재구_김진하_송창_이태호_임종업_정기현
2부 / 김억_류연복_손기환_이동환_이명복_이인철
관람시간 / 11:00am~05:00pm / 월요일 휴관
나무화랑
NAMU ARTIST'S SPACE
서울 종로구 인사동길 54-1 4층
Tel.+82.(0)2.722.7760
1953년 유엔사와 북한의 휴전 협정에 의해 한반도 허리를 가로지르는 군사 분계선과, 그 선을 기준으로 남북 2km의 남방한계선/북방한계선에 의한 비무장지대(DMZ)가 설정되었다. ● 비무장지대. 말 그대로 무장이 해제되어야만 하는 곳. 그러나 현재 동서 256Km, 남북 4Km인 이곳엔 수백 만 개의 지뢰가 설치되어 있을 거라고 전해진다. 게다가 북한 G.P는 북방한계선 남쪽 1.6Km, 남한의 G.P는 남방한계선 북쪽 1.2Km까지 진입된 곳도 있다. 그러니까 양 G.P간 실 거리는 기껏 1Km의 거리. 모두 중화기로 무장한 긴장된 상태다. 일촉즉발 상태인 이곳이 어찌 비무장지대라고 할 수 있겠는가. 더불어 『비무장지대』라는 네이밍에 근거하자면, 폭 4Km의 이 공간을 제외한 북과 남쪽 국토 전체는 역설적으로 『무장지대』란 뜻이 아닌가.
지난 70년 간 우리는 분단 현장 남측 『무장지대』에서 분단 정치, 분단 문화, 여타 분단 이데올로기에 의한 온갖 부조리한 현실을 온 몸으로 겪으며 살아왔다. 국토 어디를 가더라도 만날 수 있는 벙커, 참호, 철조망, 그리고 우리들 일상에 존재하는 군사 시설들... 뿐인가, 과거 교련을 위시한 반공과 군사 교육, 관제 행사 동원, 여타 학술과 문화 예술과 대중문화에까지 드리웠던 검열과 블랙리스트의 기억까지 소환된다. ● 그 레드 컴플렉스의 작동은 최근에도 남북 관계를 더 경색 시키고, 한발 더 나가 전쟁 위기까지 부추기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치 사회적 의제에서 한반도 분단 극복과 무장지대 탈출을 위한 지성적 담론과 사회 문화 운동은 좀처럼 보기 어렵다. ● 이런 현실에서, 평소 사회 역사적 주제로 작업을 하던 작가들이 정체된 분단 논의에 파문을 일으키려 함께 이 전시에 참여했다. 이 작가들이 직접 체험한 『무장지대』에 대한 예술적 발언이, 지금 수면 아래 가라앉아 있는 분단 논의에 던져 지는 짱돌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김진하
Vol.20230205b | 무장지대 武裝地帶 MILITARIZED ZONE in KOREA展
'인사동 정보 > 인사동 전시가이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키미작展 'ARE YOU READY' (0) | 2023.02.13 |
---|---|
성태훈展 '선유도 왈츠 Seonyudo Waltz' (0) | 2023.02.11 |
김선두_김은주_정용국展 '흰 여백, 검은 선' (2) | 2023.02.01 |
인사동과 강북 지역 갤러리, 2023년 2월 전시 일정 (0) | 2023.01.31 |
현대미술의 동양 미의식 조명한 '의금상경'전 (1) | 2023.01.29 |